더 플랜의 주장이 어떤 논리구조인지의 문제이죠.
사실 지금의 상황은 통계 보다는 논리문제에 가까운 거 같아요.
우선 더플랜을 보고난 사람들의 대부분이 잘못 오해하게되는 게
K 값은 무조건 1이어야 한다라는 선입관입니다.
아무때나 K 값 1 나오는 것은 아니고 그런 이상적인 조건이 갖춰져야 1 나와요.
http://todayhumor.com/?sisa_895822 : 미분류표, 어떤 때에 K는 1이고 어떤 때에 K는 1이 아닌가?
더플랜의 주장을 부분별로 나눠서 살펴봐야 합니다.
(1) K 값이 1이어야 하므로, 1.5 가 나온것은 조작의 증거이다.
<-- 이 말은 다시 (2 ) 번과 같이 제대로 고쳐 씌어져야 합니다.
(2) "조작이 없었더라면 " K 값은 1 나왔어야 한다. 1.5가 나온것은 조작의 증거이다.
<-- 그런데 더플랜에서는 관객들에게 자신들의 전제사항을 감췄죠?
. 의도적으로 감춘건지 몰라도 제대로 하면 (3)번 입니다.
(3) "조작이 없었더라면", "미분류표가 랜덤추출이라는 가정하에" K 값은 1 나왔어야 한다. 1.5 가 나온 것은 조작의 증거이다.
<-- 요게 제대로 된 문장일 겁니다. (문제는 더플랜을 본 사람들의 대부분이 따옴표 내용은 인식 못하는 상황. )
#-----------------------------------------------------------------------------------
[ 조작이 없었더라면
. {미분류표가 랜덤추출이라는 가정하에 K 값은 1 나왔어야 한다.}
]
1.5 가 나온 것은 조작의 증거이다.
#-----------------------------------------------------------------------------------
이렇게 놓고보면 대충 모습이 보일 꺼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