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게시물ID : science_63319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때때찌찌★
추천 : 1
조회수 : 410회
댓글수 : 3개
등록시간 : 2017/04/22 10:41:22
K=1이 당연하다는 주장이 문제인겁니다
더플랜에서는 기존 사례를 볼때 k는 당연히 1이여야하므로 1.5가 나온 1.5는 비정상이기 때문에 조작되었다 라고합니다
과게에서 지적하는것은 "k값이 1인것이 당연하다는것은 증명돠지 않았으니 k=1.5가 비정상이라는 논리전개는 잘못된것이다." 인걸로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첫번째로 해야하는건 당연하다고 주장한 더플랜쪽이 왜 k=1 이 당연한건지를 중명하면 됩니다.
증명하면 더플랜의 주장이 신빙성을 얻을것이구요.
못한다면 k=1.5가 나온 이유가 뭘지 연구해 보면 됩니다.
과게에서는 k=1이 아닐수 있는 이유를 아직 연구 해보지 않아서 정확하게 제시는 못하지만 k=1이 아닐 가능성은 제시한것으로 보입니다
댓글 분란 또는 분쟁 때문에
전체 댓글이 블라인드 처리되었습니다.
2017-04-22 12:37:58추천 1
그렇군요.. 왜 K=1 이어야 하느냐의 문제...
즉, 단순히 무작위성에 근거한 분류표와 미분류표가 비슷한 비율로 나와야 한다는 채택이 불가능한건가요?
음... 더 플랜에서 보여준 공이 96대4로 나갈때나 17대 3개 개표소로는 부족한가 보군요...이거 고민이 ^^;;
2017-04-22 15:55:12추천 0
왜 K가 1이어야되는게 비논리적인지 설명좀요.
샘플링이 아주 적으면 그럴수도있어요.
근데 3000만개의 샘플에서 그럴수있는 이유좀 설명해주세요.
2017-04-22 18:13:40추천 0
미분류표가 무작위샘플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bias를 가졌기때문에 미분류가 된 표들을 sample bias가 없는 무작위샘플이라고 자꾸 가정하니 계속 문제가 생기는겁니다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