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주민등록번호의 비밀
게시물ID : science_25143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강원평창수3L
추천 : 0
조회수 : 1510회
댓글수 : 3개
등록시간 : 2013/10/05 16:07:00
주민번호에서 뒷자리  첫번째 수가 성별을 나타낸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을거에요
1은 남자고 2는 여자죠.

하지만 오늘 안 사실은 - 3,4도 있다는 것!!!!
그리고 성별 숫자를 통해 탄생한 시대도 알 수 있다는 겄!
신기방기해서 과학게에 올립니다.

--------------------------------------------------------
1900년대(1900~1999) 출생한 남성은 1
1900년대(1900~1999) 출생한 여성은 2
2000년대(2000~2099) 출생한 남성은 3
2000년대(2000~2099) 출생한 여성은 4 

1800년대(1800~1899) 출생한 남성은 9
1800년대(1800~1899) 출생한 여성은 0
--------------------------------------------------------

더불어 주민번호 마지막 자리 수가 과학적으로 접근해서 
주민번호가 맞는지 틀린지 여부를 판단 할 수 있다는  것을 아시나요?

마지막으로 마지막 자리는  패리티코드입니다. 바로 유효성을 검사하는 코드죠. 주민등록번호가 맞는지 틀린지를 검사하는 코드입니다. 이 검사 방법은 이미 알려져 있고, 이 방법을 배포하거나 이 방법으로 프로그램을 짜거나 하는 것은 합법적입니다. 다만, 그 결과물을 이용하는 것이 불법일 뿐입니다. 패리티 검사방법을 알아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A*2)+(B*3)+(C*4)+(D*5)+(E*6)+(F*7)+(G*8)+(H*9)+(I*2)+(J*3)+(K*4)+(L*5)} ≡ M1 (mod 11)
11-M1 ≡ M (mod10)
(a ≡ b (mod m) 는 a - b = mk (k 는 어떤 정수) 가 성립)


즉, 각 자리에 2부터 9까지, 곱한 수를 11로 나눈 나머지를 11에서 빼고 그것을 다시 10으로 나눈 나머지가 숫자가 바로 M인 패리티코드입니다.

[출처] 주민등록 번호 생성 원리 및 검산기 (java)|작성자 동네선홍이형

마지막으로 마지막 자리인 M은 패리티코드입니다. 바로 유효성을 검사하는 코드죠. 주민등록번호가 맞는지 틀린지를 검사하는 코드입니다. 이 검사 방법은 이미 알려져 있고, 이 방법을 배포하거나 이 방법으로 프로그램을 짜거나 하는 것은 합법적입니다. 다만, 그 결과물을 이용하는 것이 불법일 뿐입니다. 패리티 검사방법을 알아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A*2)+(B*3)+(C*4)+(D*5)+(E*6)+(F*7)+(G*8)+(H*9)+(I*2)+(J*3)+(K*4)+(L*5)} ≡ M1 (mod 11)
11-M1 ≡ M (mod10)
(a ≡ b (mod m) 는 a - b = mk (k 는 어떤 정수) 가 성립)


즉, 각 자리에 2부터 9까지, 곱한 수를 11로 나눈 나머지를 11에서 빼고 그것을 다시 10으로 나눈 나머지가 숫자가 바로 M인 패리티코드입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