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 한개가 온전히 들어가는 정사각형 통을 만듭니다.
그 정사각형 대각선과 정사각형 한변의 길이로 직사각형 통 (동일한 높이)을 만들어서 거기에 사과를 담아 주면되죠.
최대한 균일하게 담기 위해 갈아서 담으면 되겠죠.
단 모든 사과는 균일하다는 조건하에서요 이런거 안쓰면 큰일나는거죠 ㅋㅋㅋ
용석님 하시는 말은 그냥 수학을 쓸모없게 만드는 발언이예요.
자연계에서는 수학따위하면 안되죠. 원자 갯수 조차 정확히 셀수조차도 없는데말이죠.
비율의 기준이 뭐냐고 물으시는 분이 저한테 이렇게 말씀하시면 안되시죠.
게다가 루트2 작도 같은걸 가르치는 수학들은 다 개구라네요 거기에는 분명히 분자 몇개 정도 차이는 존재하는데 말이죠.
1+i 개의 경우 아직 본적이 없어서 어떻게 나눠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나중에 보게 되면 말씀드리죠
원자를 쪼개고 쿼크를 쪼개고 계속 쪼개다가 모든 물질이 균일하게 존재하는 에너지 상태임으로 이야기 되면
그때는 나눌수 있는겁니까?
왜 수학을 추상한 개념이라고 이야기하면서 갯수로 추상해보자하면 왜 그렇게 난리십니까?
사과가 루트2개 존재하는 상태를 상상해보는 것이 뭐가 나쁩니까?
저는 사과가 루트2개는 존재할 수없어라고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보다는 한번 생각하기 시키는게 낫다고 봅니다
이제 우리는 유리수까지는 갯수로 볼수 있다고 정도 까지 얘기는 된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