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영국인 2000명 중 1명이 광우병(vCJD) 단백질에 감염?
게시물ID : science_64737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응??
추천 : 2
조회수 : 906회
댓글수 : 11개
등록시간 : 2017/07/15 18:21:28

베오베에서 광우병 얘기가 나와서 요즘 유병률을 찾다가 보니까 WHo자료와 2013년 nature지에 나온 이런 내용을 보게 되었습니다.

web-C0152730-CJD-SPL-BG2.jpg

영국인 2000명 중 1명이 광우병(vCJD) 단백질에 감염되었을 수 있다.

  • 175 cases of vCJD were reported in the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United Kingdom), and 49 cases in other countries from October 1996 to March 2011. -WHO
1996-2011년까지 영국에서 광우병 환자 175명, 다른 나라에서 49명이 보고 됨.

  • Following the successful containment of the BSE epidemic in cattle, the number of cases of vCJD in the United Kingdom has declined since 2000.
1980년도~1990년도의 광우병 유행 이후, 1998년경부터 영국에서 대량으로 가축들을 살처분 하였고 그것이 효과를 발휘하여 환자 발생률은 2000년도의 28명 이후로 현재는 연간 0.5~2명 정도로 감소 하였습니다.(살처분 때, 영연방이자 낙농국가인 호주, 뉴질랜드 언론에서는 이를 중요하게 다루었습니다)

How common is vCJD?

얼마나 흔한가:
아무도 정확히 모릅니다.
Because of the uncertainty over how many people carry the vCJD-causing prion, a body that advises the UK government on the disease called for a comprehensive prevalence survey in 2008. 
그래서 영국 정부에서 2008년도부터 광우병(정확히는 vCJD의 원인인 prion의 캐리어)가 얼마나 많을지 연구를 시작합니다.

The study was led by Sebastian Bradner, a neuropathologist at University College London, and it tested for PrP in 32,441 appendices from anonymized donors, collected from 41 UK hospitals. The researchers found 16 positive cases, translating to a prevalence rate of about 1 in 2,0001.
41개 영국 병원에서 무기명의 환자에게서 얻은 32441개의 맹장 중에서 vCJD의 프라이온 단백질(PrP)이 발견된 것은 16건 이었습니다.
전 인구로 환산해서 유병률을 계산하면 영국인 2000명 당 1명이 vCJD(광우병) 캐리어라고 하네요.


Does this mean that 1 in 2,000 people in United Kingdom will develop vCJD?

그럼 영국인 2천명 중 1명이 광우병에 걸린다는 것인가요?

This is unlikely.
These cases of detected prions could represent silent carriers, who will not go on to develop clinical vCJD.
아닐겁니다. 
동물 실험 결과, PrP는 뇌보다 림프조직(편도선, 비장)에 감염되기 더 쉬웠습니다.
(즉, 광우병소의 PrP를 먹어서 소화기-맹장에 들어간다고 해도 뇌로 들어간다는 보장은 없다는 말이겠죠)
프라이온이 발견 되었더라도 그냥 임상 증상 없는 조용한 캐리어 상태로 살아갈 수도 있습니다.

“We have no idea if none or a proportion of these people will develop clinical disease, that remains to be seen," says Graham Jackson, a researcher in molecular diagnostics at the Medical Research Council Prion Unit at University College London.
그 중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광우병으로 진행될지 모릅니다.

결론 3줄 요약:

1. 2000년도까지 영국에서 몹시 증가하던 광우병 환자들은 영국 정부의 대대적인 가축 살처분으로 2년에 1명 정도 보고되는 정도로 대폭 줄었다.

2. 2013년 네이쳐지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영국에서 조사한 결과 영국인들 중 vCJD PrP(무증상 캐리어) 유병률은 2000명 중 1명이었다.

3. 하지만 그게 문제가 되어서 미래에 얼마나 많은 영국인들이 실제 임상적으로 광우병에 걸릴지는 모른다.

출처 https://www.nature.com/news/one-in-2-000-uk-people-might-carry-vcjd-proteins-1.13962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180/en/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2017-07-15 18:37:41추천 1
이제 광우병 시위보고 뭐라 하던 사람들은...
댓글 1개 ▲
2017-07-15 18:51:39추천 1
차이점은 일단 미국에서는 vCJD로 인한 발병이 셋 밖에 없고 그나마도 미국 소하고는 연관이 없는 사람이었다는거죠.

저도 괜히 불안하게 타국가에 비해 혜자 같은 조건으로 미국 소고기 사올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는 축이긴 한데(소고기 싫어해요) 영국에서 문제 있던거지 미국까지는 연관 지을 수가 없는 것 같아요.
[본인삭제]응??
2017-07-15 19:12:48추천 3
댓글 1개 ▲
[본인삭제]응??
2017-07-15 19:17:33추천 2
2017-07-15 19:19:14추천 0
인육이라도 먹지 않는 이상 문제가 확대되는 일은 없겠죠.

...그런데 장기기증이나 헌혈은 괜찮은걸까요?
댓글 5개 ▲
2017-07-15 19:35:50추천 1
vCJD는 헌혈로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vCJD자체가 박멸되다 시피했으므로 걱정없어 보입니다. 오히려 수혈은 에이즈가 더 문제 겠죠.
2017-07-15 20:17:03추천 0
2000명 당 한 명이 무증상 캐리어일 가능성이 있다는 보고를 보면 아직 vCJD가 박멸되었다고 보기는 어렵지 않나요?
아니면 무증상일 때는 수혈로 전염되지 않는 건가요?
2017-07-15 20:27:15추천 0
정확히 말하자면 맹장에서 발견된 거죠. 광우병 쇠고기를 먹는다던가 해서 응가에 prp가 있다고 해서 뇌에 들어가서 증상을 일으킨다는 증거는 없는 상태이며 질환으로 발병된 사례는 근래 들어선 2년에 1명 정도이므로 희귀 질환이 되었죠.
2017-07-16 01:27:45추천 0
2천명 중 1명이 헌혈했을 때 다른 사람을 발병시킬 수 있다면 환자 수가 유의미하게 늘어나야 하지 않을까요?
2017-07-16 10:33:03추천 0
이 prion이 혈액이나 림프절로는 쉽게 들어가도 뇌로 들어가는 것은 쉽지 않으므로 평생 발병 안할 수도 있다는 게 현재로써의 정론입니다.
환자 숫자도 거의 사라지다 시피 하고 있고요.
다만, vCJD말고 CJD의 경우에는 수혈.병원 수술 도구 등으로 감염 가능한게 잘 알려져있습니다. 65세이상 노인에서 발병합니다만 이 또한 치매처럼
흔한 질환은 아닙니다.
2017-07-16 14:46:54추천 0
홈플러스에서 저렴하게 내놓은 미국산 살치살 부채살 많이 사먹었는데...급 후회되네요..
어차피 이렇게 된거 ㅠㅠ
댓글 1개 ▲
2017-07-16 18:01:36추천 0
괜찮아요. 자동차 사고로 돌아가실 확률에 비하면 광우병에 걸릴 확률은 매우 작아요. 걱정말고 드세요~

정 걱정되시면 자동차를 타지 마시길...
2017-07-16 17:49:48추천 0
우유가 유익하냐 무익하냐를 두고
아직도 논란 중인 그 분들 아닌가요?
댓글 0개 ▲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