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바텀 초반 라인전 정리
게시물ID : lol_648234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그런데말이지
추천 : 7
조회수 : 1036회
댓글수 : 2개
등록시간 : 2016/01/19 20:10:10
옵션
  • 창작글
큰 차이는 없지만 레드진영을 기준으로 작성

라인전이 끝나는 시기인 0~7분까지 해야하는 행동과 유리하게 이끄는 점을 정리

바텀라인은 탑의 텔, 미드 텔을 들고오는 경우가 늘어 외부개입에 의해 판도가 변할 수 있다. 그 점을 항상 유의하고
상대 라이너와 정글의 위치를 항상 생각해둬야한다.


0~1:40 인베 또는 방어

1.jpg4



상대 조합에 블츠, 쓰레쉬, 브라움 등등 cc기가 강하고 1렙에 쌘 애들이 많을 경우 인베를 올 확률이 크다.
그럴 경우 깊숙이 들어가지 말고 안전하게 1, 3번에 와드를 하고 서폿은 정글몹이 나오기 전에 2번에서 늦인베 올 것을 대비
적 아래 부쉬 삼거리에도 와드를 박아도 되긴 하지만 그랩류가 있거나 아군이 인베를 가는 경우가 아니라면 무리해서 박을 필요가 없다.

4번은 압박용 와드, 5번은 팀원들이 같이 인베를 갔다 돌아올 경우 상대 정글이 레드 시작인지 작골 시작인지 확인 할 수 있어 와드를 박을 수 있으면
좋다. 그 이유는 상대 정글이 2렙갱이 가능한 정글일 경우 (예 리신, 판테온, 자르반 등등) 위치 파악이 가능하여 봇 2렙 싸움을 할지말지 정할 수 있다.
특히나 레드 진영일 경우 적이 2렙갱을 많이 오고 레드를 들고있어 더 위협적이다.



1:40 ~ 2:20 2렙 싸움이 일어날 수 있는 구간과 2렙갱의 위험

미니언은 1분 15초에 나오며 30초 마다 리젠된다. 그리고 3번째 마다 공성 미니언이 추가돼서 나옴

정글을 리쉬해주고 미니언을 놓치지 않았다면 2번째 웨이브에 근거리 미니언을 다 죽였을 시 2렙이 된다.
2렙 찍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레벨업이 되어 스펙이 올라가고 상대보다 스킬을 하나 더 쓸 수 있어 큰 실수를 하지 않는 이상 이기게 된다.
여기서 실수란 스킬을 못 맞췄을 경우, 미니언 어그로를 계속 끌어 너무 많이 맞았을 경우, 선 2렙을 찍어서 들어갔으나 상대도 바로 2렙을 찍어
미니언한테 맞으면서 상대 스킬까지 맞을 때 등등이 있다.
항상 주의해야할 점은 초반 미니언들은 상당히 아프다. 미니언 어그로란 적 챔피언을 공격할 경우 미니언들이 자신을 때리는 것을 말한다.
어그로를 풀기 위해서는 미니언의 시야에서 벗어나기 위해 부쉬속으로 들어가거나 사거리가 닿지 않는 곳까지 가야한다. 단 부쉬에 적이 와드를
박았을 경우 풀리지 않는다.
특히나 미니언 어그로를 생각하지 않고 딜교를 하는 경우가 많기에 지는 경우가 많다.

2.jpg

장신구 와드를 사용하지 않았다면 1번에 와드를 미리 박아놔 적 정글 2렙갱을 대비해야 한다. 2번의 경우 적 서폿이 잘 숨는 위치이기에 박아둔다.
이상하게 적 봇듀가 라인을 시작부터 당길 경우 특히나 주의해야한다. 또는 선 2렙을 찍었다고 달려들었으나 적 정글이 대기하고 있는 경우도 종종 있기에
상대 정글러가 레드부터 먹었는지 작골부터 먹었는지 알아두면 방비가 된다.
2렙갱이 올 것 같은 때는 무난하게 흘러가게 한다. 적 정글러가 대기하고 있을 경우 적 정글은 손해를 입게 된다.

2:20 ~ 7:00

적 정글이 2렙 갱을 오지 않는 경우 외부개입을 별로 생각하지 않고 싸울 수 있다. 하지만 적 정글과 미드 위치 탑의 텔 스펠 여부를 알아두어야 한다.
라인전의 기본은 라인을 미는 것이다.

라인을 밀었을 경우 장점은

1. 적 cs손실
2. 레벨의 우위
3. 선공권과 딜교이득
4. 딜교시 미니언 어그로 관리 수월 등등이 있고 
5. 갱에 당하더라도 cs손실과 렙차가 크지 않음
6. 서폿 로밍이 가능

단점은

1. 로밍과 갱의 위험부담이 커짐이다.

저렙 구간에서는 미니언과 같이 싸우는 것이 챔프를 하나 더 끼고 싸우는 것과 비슷하다. 초반 정글이 갱승을 하는 이유 중 하나가 미니언딜을 무시하기 때문이다. 미니언은 논타겟 스킬을 맞아 줄 수 있고 상대방의 무빙을 제한한다.

라인을 밀어도 되는 경우는

1. 적 라이너의 위치와 스펠의 유무를 알때
2. 스펠을 가지고 있을 때
3. 아군이 도주기가 있거나 갱회피에 좋을 때
4. 적 정글이 갱이 약하거나 적 봇듀가 갱호응이 약할 때 
5. 집을 가기 전에
6. 아군 정글러가 역갱을 잘 봐줄 것 같을 때
등등이 있다. 적당히 상황을 보면서 미는 것이 좋다.

라인을 밀게 되면 적 미드나 정글, 탑의 시선이 봇으로 가게 된다. 이럴 경우 이득은 미드나 탑이 갱을 당할 상황이 적게 된다. 갱에 안 당할 자신이 있고 실력에 자신이 있다면 아군을 위해 밀어도 된다. 
만약 갱에 당해 죽더라도 상대 봇은 갱호응을 하느라 밀려있는 cs를 못 먹어 그리 큰 격차가 벌어지지 않는다. 간혹보면 상대방은 엄청 죽었는데 cs가 서로 비슷하거나 상대가 많은 경우가 이런 경우이다. 그리고 약 cs20개는 1킬과 비슷하다.

라인을 당겨야 하는 경우는

1. 상대 탑 미드가 로밍이 상당히 좋다. 특히 6렙 이후 사려야하는 경우가 많다. 트페나 쉔 등등
2. 상대 갱호응이 좋거나 육식 정글일 때
3. 적 정글이나 라이너의 위치를 모를 때

라인을 당기는 것도 요령이 있다. 
3.jpg

적 원거리 미니언을 타워 사정거리 밖에 있도록 만들고 아군 미니언들은 타워 사정거리 안 쪽에 두게 하여
그 라인을 유지시키면 상대 원딜은 cs를 먹기가 힘들게 되고 라인이 밀어져 갱과 로밍에 위험부담이 크게 된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