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media.daum.net/politics/administration/newsview?newsid=20130322161212246
제주 4·3사건 관련 기록물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해서는 기록물 수집과 세계사적 의의에 대한 정리, 도민 공감대 형성 등 다방면에서 준비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일부 우익세력의 반대운동에 대비해야 한다는 제언도 나왔다.
안종철 국가인권위원회 기획조정관은 22일 제주도의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4·3특별위원회 출범 20주년 기념 공동정책 세미나에서 '4·3 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의 의의'에 대해 주제 발표했다.
안 기획조정관은 과거 5·18 기록물 유네스코 기록유산 등재추진단장을 맡아 자료를 수집하고 각계의 지원을 받아 등재에 성공한 경험을 바탕으로 4·3자료의 등재를 위한 시사점에 대해 제언했다.
안 기획조정관은 우선 4·3 관련 자료를 계속 수집하고 여러 단체와 기관에 분산된 4·3 관련 자료를 한곳에 통합해 재분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광주의 경우 등재를 준비하면서 핵심적인 자료는 광주시청 5·18 자료실로 통합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4·3사건이 2차대전의 종전과 동서의 냉전 시작 시기에 발생한 사건인 만큼 전문가팀을 꾸려 당시 국제사회에 어떤 영향과 결과를 만들어냈는지 세계사적 시각에서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5·18 자료 등재 당시 우익단체들이 반대의견을 제출하는 등 방해를 펼쳐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며 4·3 등재 준비에서도 반대운동에 대해 대비해놓을 필요가 있다고도 말했다.
허권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교수는 사료가치가 갖는 학술적 객관성과 우수성, 파급성의 차별적 가치를 부각하는데 중점을 둬야 하며 민·관·학이 힘을 모으고 일반 시민들이 적극 참여하는 네트워크를 구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재순 국가기록원 학예연구관은 다른 기록유산과 비교되는 독창성을 어떻게 부각시킬지 연구가 필요하며 사회단체의 반대운동까지 고려해 등재 추진 체계를 구성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주제발표와 토론에 앞서 고창훈 제주대 교수는 기조강연을 통해 4·3문제 해결을 위한 새 정부의 역할과 과제에 대해 발표했다.
그는 앞으로 각계의 힘을 모아 4·3에 대한 미국정부의 사과와 배상을 요청하는 절차를 밟아나가야 하며 4·3을 소재로 한 영화 '지슬'의 성공사례를 바탕으로 문화예술계에 적극 지원해 그들의 노력을 뒷받침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제주도의회에 '제주4·3 비극의 완전한 해결과 세계 평화의 섬 정신 정립을 위한 특별위원회'를 설치, 국가추념일 지정과 희생자·유족 배상, 국제적 해결 등 4·3의 완전한 해결을 위해 남은 과제를 수행해나가는 방법을 제안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