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응답하라 1970
게시물ID : sisa_649343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스매싱펌킨스
추천 : 1
조회수 : 390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6/01/13 19:15:57
박 대통령은 13일 기자회견 과정에서 "박근혜 정부의 주요 개혁 법안을 비롯해서 경제 활성화 법안이 줄줄이 좌초돼 있다"는 지적과 함께 법
 
안 처리와 관련한 '묘안'에 대해 질문이 나오자 "제가 국회까지 찾아가서 법안 통과 꼭 해 달라고 누누이 설명을 하고, 야당 대표 전부 청와대
 
에 초치해서 그걸 여러 차례 설명을 하고 그랬는데도 지금까지 통과를 시켜주지 않고 있다 그러면, 이제 국민한테
 
직접 호소할 수밖에 없지 않겠습니까?
 
그러나 청와대에서 추후 배포한 질의응답 보도자료에는 "초치"가 '초청'으로 바뀌어 있었다.
 
물론 이는 실무자의 단순 실수일 수 있다. 분명한 것은 현장에서 박 대통령은 "야당 대표 전부 청와대에 초치"라고 말했고,
 
'초치'라는 단어를 정확하게 구사했다는 것이다.
 
 

 
문제는 이 단어의 뉘앙스다.
 
초치의 사전적 의미는 "불러서 안으로 들임"이다. 그러나 쓰임새를 보면, 이는 주로 상급자가 하급자를 불러들일 때
 
사용하는 말이다.
 
우리 정부는 독도 문제나, 위안부 문제 등과 관련한 일본 정부의 '망언'이 있을 경우, 주한일본대사를 외교부청사로 불러들일 때 등에
 
이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사전 일정 논의 없이 '외교부로 오라'고 사실상 강제하는 의미다. '초치했다'는 것 자체가 '항의'의 의미로
 
받아들여지는 이유는, 외국 대사의 신변에 제약을 가하는 것이어서 그렇다. 사실상 특정 장소로 이동하도록 강요하기 때문이다.
 
 

과거 박정희 전 대통령 시절에는 야당 대표나 국회의장을 청와대에 불러들일 때 '초치'라는 표현이 사용됐다. 그러나 이는 권위주의
 
독재 정권 시절에 가능한 일이다. 일반적으로 최근에는 야당 대표나 국회의장을 '초치했다'는 표현을 사용하지 않는다.
 
단어에서 상대를 격하하는 뉘앙스가 풍기기 때문이다.

박 대통령이 야당 대표를 바라보는 인식이 은연중에 드러난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권위주의적 태도가 무의식적으로 드러났다는 것이다.
 
 
 
박근혜, "야당 대표 초치했다" 발언 논란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32516&ref=nav_mynews
 
 
 
아버지에게 배운 단어를 그대로 수첩에 적고
 
그게 옳다고 쓰고 있으니
 
지금이 응답하라 1970도 아니고...
출처 http://www.etorrent.co.kr/bbs/board.php?bo_table=humor_new&wr_id=3524646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