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저는 명품이 구역질나게 싫습니다
게시물ID : sisa_445254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유토피아?
추천 : 10/4
조회수 : 799회
댓글수 : 9개
등록시간 : 2013/10/13 23:17:57
심지어 명품이 가진 철학마저도 싫어합니다.

99%의 완성도를 위해 들어가는 시간과 자원이면

90% 완성도 물건 10개를 만들 수 있죠.

보다 많은 사람이, 보다 많은 물건들로 물질문명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232323.png

(그렇다고 장인문화가 실종되어서도 곤란하죠. 그러면 문명엔 퇴보가 찾아올지도 몰라요
출처 : 두리(bhkimc)님 블로그 )







100%완성도의 마스터 피스를 위한 방망이 깎는 노인들의 열정을 이해 못하는 바는 아니지만,

물이 묻었다고 얼룩이 져 지워지지 않는 수백만원 짜리 가방과 치마가 마스터피스 같지는 않군요.

호주의 한 여성은 악마가 입는 그 제품을 입었다가

168만원짜리 치마에 얼룩이 안지워져 소송끝에 승소 했군요. 심사임당이 그 파티에 있었다면.

( 명품백 손잡이 물얼룩 : http://kin.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kin&query=%EA%B0%80%EB%B0%A9%EC%86%90%EC%9E%A1%EC%9D%B4+%EB%AC%BC&ie=utf8&nso=so:r,a:all,p:all&sm=tab_nmr
 호주 여성 뉴스 : http://www.yonhapnews.co.kr/culture/2013/09/05/0910000000AKR20130905146700093.HTML)




AS를 믿고 맡길 수 있다고요? 그렇죠. 다만 지퍼 수선에만 한달반이 걸리고 작은 흠집에도 200만원을 내야하지만요.
(http://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N1000848009)




디자인이 우수하다고요? 그렇죠. 로고가 박혀있기 전까진 엄마가 매는 시장 바구니 가방이지만,
로고 하나만 박히면 너무너무 예쁜 명품 신상백으로 돌변하죠.




로고를 지우고 올리면,

01.png
02.png




로고를 지우지 않고,

03.png
04.png


(정말 가방이 이쁜거 맞습니까? PRADA 이 글자가 예쁜거 아니고?)










"내 돈내고 내가 사겠다는데 왜 난리냐"

정론이죠. 사실 저도 별 생각없었습니다.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인지하기 전까진요.

3초백. 5초백. 뭔말이지 했더니, 수백만원 명품가방이 3초에 한번씩 5초에 한번씩 거리에서 볼 수 있다고 붙여진 별명이라더군요

1인당 GDP 34위의 이 쬐끄만한 나라에서
(2012년 기준 네이버)

명품이라면 비싸도 사겠다는 열망이 세계 4위로 조사되고, 그 열망만큼 명품시장은 급속도로 성장했습니다.
(명품선호도 중국 세계1위, 한국 4위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756897)

수입이 없는 대학생들도 85%가 명품을 가지고 싶으며, 54%가 이미 명품을 소지하고 있고,
(대학생들도 명품열풍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21130MW162136570296)

그 대학생들의 명품이 가지고 싶은 이유 1위 65%가 "품질이나 디자인이 좋아서"(정말요??)

구매력이 없는 계층까지 명품명품 타령하다보니 명품회사들은 아주 베짱장사에다가 비싸도 더 잘팔리니 
세계 2위의 가격으로 눈탱이를 쳐버립니다. 그래도 잘팔리죠.
(한국 명품가격 세계2위 http://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N1001728972)

세계적으로 매출액의 일부를 사회환원을 하는게 기업이미지와 매출에 영향이 많이 가기에 해왔지만, 한국시장은 그런거 없어도 잘 팔립니다.
("한국시장은 봉?" http://news1.kr/articles/912854)







이쯤되면 한국인의 명품에 대한 인식은 어딘가 병들어 있다고 밖에 생각할 수 없습니다.

자신에 대한 자존감이 부족하니 고가의 액세서리로 자존감을 보충하려는 작태.

대중교통을 탑승하면서 수백만원짜리 가방을 들고다니는 경제관념

가격이 비쌀수록 더 사려고 하는 소비심리인 베블런 효과(Veblen Effect)

고상한체 하는 속물근성이자 과시욕의 하나인 스노비즘(snobbism)

일반 명품이 맥럭셔리현상으로 3초백 5초백이 되니 더 비싼 위버럭셔리를 동경하는 작태.
(맥럭셔리 McLuxury : 맥도날드 햄버거처럼 누구나 쉽게 구입할 수 있도록 명품이 대중화되는 현상)
(위버럭셔리uber-luxury는 일반 명품보다 많게는 수십 배 이상 비싼 초고가 명품을 말한다)



한국에서의 명품이란 저에게 있어 저 아둔하고 더러운 단어들을 똘똘 뭉친 썩은내 나는 물건으로 밖에 보이지 않습니다. 엿이나 먹으라죠.

이쯤되면 명품 포비아라 칭해질 수준인거 같군요 - _-

(개인적인 기준이지만 100만원 수준의 가방은 하나정도 있어도 괜찮을법 합니다. 소득수입이 있다는 전제하에요.)




해결법은 간단합니다. 물건의 '본질'만 파악하면 되지요.

집은 투기수단이 아니라 '사는곳'
자동차는 '운송수단'
가방은 그저 물건을 담아옮기는 '가방'
...과시용이 아니라요.

그 외에 옵션으로 집은 접근성이나, 자동차는 안전성, 가방은 디자인 정도가 있겠군요.





34343.png
샤넬 재테크인 샤테크를 위해서 물건에 손상이 가면 안된다고요? 

당신은 가방을 "소지"하고 있습니까 "떠받들고" 있습니까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