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펌) 이 나라의 보수를 날카롭게 정의한다
게시물ID : sisa_44666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GAIA
추천 : 3
조회수 : 267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3/10/21 22:29:07

이 나라의 보수를 날카롭게 정의 한다

 

시사평론가 정관용 한림대 국제대학원 교수의 인터뷰 모음 <문제는 리더다>(메디치)에서

보수정권 장관과 국회의원을 지낸 원로 언론인 남재희씨는 이렇게 말했다.

 

“우리나라 보수는 보수주의가 아니다. 그냥 기득권의 축적이다.

왜정 때 친일세력, 친일세력과 우익을 중심으로 한 한민당 세력, 일본이 물러나고

미국과 손잡은 군정청 관리며, 적산 불하 등을 받은 세력, 만주나 일본에서 군관학교 나온

세력 등 기득권층의 축적이지 주의(主義)라고 할 수 없다.

주의(ism)는 세계에 대한 일정한 철학적 관점이니까 그냥 생기는 건 아니다.

뭘 한 번 깨뜨리고 새롭게 만들었거나, 개혁을 한 번 했어야 만들어지는 거다.

우리의 보수는 수동적 축적일 뿐 아닌가. 거기에 미국과 일본의 국제적 지원과 북한과의

극한 대치 상태에서 더 막강해지기만 했다. 게다가 지역감정 문제까지 더해서 강력해진 거다.”

 

남씨만이 아니라, 윤여준, 김종인, 이해찬씨 등 이 인터뷰 집에 등장하는, 정치적 입장이

제각각인 원로들은 한목소리로 이명박 대통령과 그 측근 및 집권세력(야당에 대해서도 그랬지만) 의

편향과 단견과 무능을 걱정하고 질타했다.

 

자본주의적 성장과 소비문화에 대한 맹신이 바보짓이라면,

김종철 교수 말마따나 “어디서 녹색이라는 게 좋다는 얘기를 들었는지,

녹색적 가치를 정책을 통해 실천하려는 마음은 전혀 없으면서 입만 열면 녹색 운운”하는

아둔한 보수가 지배하는 국가, 한국에서의 삶이란 도대체 어떤 것인가?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