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나라별 선호차량 제각각…나라별 선호차량 다른 이유 알고보니?
게시물ID : car_3541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
추천 : 1
조회수 : 902회
댓글수 : 3개
등록시간 : 2013/10/27 00:02:00
나라별로 선호하는 국산 중고차 차종도 각각 달랐다.


요르단의 경우 대부분 배기량 1600cc 이하의 소형차량이 팔린다. 중·대형 차량에 물리는 세금이 많기 때문이다.



최근 한국 중고차 최대 수출국은 리비아다. 이 나라에선 수입 중고차에 연식 제한이 걸려있으나 내전 후 사실상 무정부 상태가 이어지면서 무의미해졌다. 리비아 토호세력은 한국차를 대량으로 사들인 뒤 북아프리카 인근 국가로도 재수출한다. 산유국 특성상 다른 수출국에 비해 가솔린 엔진 차량이 더 잘 팔린다.



러시아는 주로 SUV나 중·대형 승용차를 선호한다. 산악지형이 많고 눈이 많이 내려 소형차보다는 힘이 좋은 차량이 험한 지형 운행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몽골과 키르기스스탄 등 중앙아시아 국가는 블라디보스토크 항에서 시베리아횡단철도(TSR) 등을 이용해 차를 운반하기 때문에 운송비가 많이 든다. 때문에 컨테이너에 많이 실을 수 있는 경차가 주로 팔린다.



베트남은 현지에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 조립공장이 있지만 현지에서 만드는 부품의 질이 떨어진다는 인식 때문에 국산 중고차가 더 인기를 끈다. 미얀마는 왼쪽 핸들을 사용하는 국가임에도 일본에 대한 우호적인 이미지가 커 중고 승용차 시장의 대부분은 일본차가 휩쓸고 있다. 디지털뉴스부
 
 
 
 
 
---------------------------------------------------------------------------
 
 
우리나라에서도 이래저래 욕먹는 기업들이 많은거 같은데 도대체 베트남은 얼마나 안좋길래 저런말이 나올까요. 하하하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