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144억 광년 보다 먼 곳에 있는 천체의 관측
게시물ID : science_6611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lylaapril
추천 : 2
조회수 : 1511회
댓글수 : 18개
등록시간 : 2017/10/27 00:00:18
옵션
  • 본인삭제금지
제가 계산을 잘못한 것 같기도 한데 설명 좀 부탁드립니다...

우주의 나이 = 약 138억년

지구에서 관측 가능한 가장 먼 은하 = 133억 광년 거리

허블상수 = 67.8km/s.Mpc
1Mpc(megapasec) = 3,260,000광년
따라서 약 14,424,778,800(144억)광년 거리부터는 광속을 넘는 속도로 멀어지게 되는 계산.

공교롭게도 현재 관찰 가능한 가장 먼 천체(133억 광년 거리 은하 GN-z11 기준은 지금 지구에 도착한 빛이 기준으로, 지금쯤 320억 광년 떨어져 있을 것으로 추정.)보다 조금 더 큰 값임.

우주의 추정된 크기 = 460억 광년

질문1. 우주의 크기는 460억 광년인데 허블 상수로 빛의 속도를 넘는 거리에 있는 천체가 관측되지 않은 것은 우연인가요?

질문2. 그보다 먼 우주는 그렇다면 빛의 속도보다 빠르게 멀어지고 있나요? observable universe라는 개념이 나오는데 그러면 우주에서 144억 광년 이상 먼 거리에 있는 천체들은 우리와 다른 별개의 세상(관찰될수도 알 수도 없는 곳)이 되는 것인가요?

질문3. 우주가 계속 가속팽창해서 끝날 때 즈음이 되면(열죽음, heat-death 이후에도 계속해서...), 각 원자가 서로로부터 144억 광년까지 멀어지면서 원자 한 개 한 개가 영원히 고립되고 서로의 우주 밖으로 밀려나는 건가요?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