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탄수화물을 먹어줘야 하는 과학적인 이유
게시물ID : humorbest_666748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차가운바나나
추천 : 40
조회수 : 10191회
댓글수 : 2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3/04/27 09:59:15
원본글 작성시간 : 2013/04/26 21:32:48

다이어트 하는 많은 분들에게 가장 큰 적은 역시 누가 뭐라고 해도 먹는 것일테죠.

그리고 많은 글들 TV 프로들에서 나오는 이야기들이

탄수화물 섭취를 줄이고 단백질 섭취를 늘려야 한다는 말입니다.


맞는 말이기는 합니다.

탄수화물 섭취가 많기 때문에 줄여야 할 필요성은 있습니다.

하지만 탄수화물 섭취를 너무 적게 하면 어떻게 될까요?


물론 다게에서도 많은 분들이 탄수화물 섭취의 중요성을 강조하셨지만,

오늘 베오베 글에도 있었죠.

저는 좀 더 생화학적인 측면에서 설명을 해보려고 합니다.


우리 몸에 음식물이 들어오면 소화가 되죠?

비타민이나 다른 무기질 들은 따로 흡수가 되서 필요한데 쓰이지만,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이 세 영양분은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가장 작은 사이즈로 분해해서

에너지원이나 우리 몸에 필요한 부위로 가 각자의 역할을 합니다.


매우 다양한 성질을 갖고 있지만

간단하게만 요약을 하자면

당장 필요한 에너지는 탄수화물

근육 등 신체를 주로 구성하는 건 단백질

남는 에너지를 보존하는 건 지방

이라고 설명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물론 각자 다른 역할들도 합니다.


그런데 우리 몸이 신기한건 이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이 특별한 대사를 통해 탄수화물이 지방이 되기도 하고 단백질이 되기도 합니다.

당이 분해되는 과정인 Glycolysis와 당을 합성하는 과정인 gluconeogenesis 중간에 있는 중간 물질들이

지방이나 단백질로 변할 수 있고 또 지방과 단백질이 이런 과정을 통해 탄수화물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탄수화물만 먹어도 단백질이 생기니 굳이 단백질을 챙기지 않아도 되지 않을까?


그건 아닙니다.

단백질의 기본 성분은 아미노산인데, 우리 몸에 아미노산은 20가지입니다.

탄수화물에서 변할 수 있는, 즉 우리 몸에서 생성 가능한 아미노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아미노산은 꼭 섭취를 통해서 얻어야 하는데

이것이 필수 아미노산이구요, 이게 또 식물에 있는 것과 동물에 있는 것이 다르기 때문에

채식만 하는 경우에는 따로 필수 아미노산을 보충해줘야 할 필요가 생기게 됩니다.


이야기를 조금 돌아서 왔는데


위의 내용에서 중요한 점은

1. 당장의 에너지원으로 탄수화물이 쓰인다.

2. 단백질이나 지방에서 탄수화물을 만들 수 있다.


이 두가지 입니다.


이제 다음으로 넘어가겠습니다.


우리 몸에는 기초 대사량이라는 게 있습니다.

전혀 움직이지 않더라도 필요한 에너지 량이죠.

어떠한 움직임에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우리 몸을 유지하고

생명 활동을 원할하게 하기 위해 에너지는 꼭 필요합니다.

그리고 여기서 쓰이는 에너지는 주로 탄수화물에서 나옵니다.

에너지원으로써 사용되는데 시간이 걸리는 단백질, 지방보다

탄수화물은 훨씬 빠르게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죠.


특히 뇌에서는 탄수화물인 포도당만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합니다.

아미노산이나 지방에서 나온 지방산은 뇌에서는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초콜릿 같은 단 거 먹으면 시험 잘 본다고 하잖아요.

뇌로 가는 에너지원이 많아져서 그런겁니다.


뇌가 제 역활을 못한다면?


나중에 대참사가 일어나겠죠?


그런데 제가 위에서 말씀 드렸다시피, 탄수화물이 없으면 지방이나 단백질에서 탄수화물을 만들면 되지 않을까요?


네. 맞습니다.

우리 몸은 탄수화물이 없을 때 지방과 단백질에서 당을 만들어냅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지방에서는 케톤이 생기게 됩니다.

케톤은 어떻게 될까요?


케톤은 산성 물질입니다.

그리고 우리 몸은 정밀한 신체 기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케톤이 쌓이게 되면 우리 몸의 성질은 산성으로 변하게 되고,

pH에 민감한 단백질들은 제 기능을 못하게 되겠죠.

뿐만 아니라 케톤이라는 놈을 우리 몸에서 탄수화물 대용으로 사용하기 쉽지 않지만

어쩔 수 없이 사용하게 되면

애가 저질이라 우리 몸에 무리가 많이 가게 됩니다.

탄수화물이 적절히 섭취되지 않으면 다양한 증상들이 나타나게 되고 심할 경우 사망도 할 수 있다고 합니다.


요부분은 검색했어요.

3~4년 전에 배운거라 기억이 잘 안남.


어쨋든 내용은 좀 길었지만

탄수화물의 섭취는 꼭 필요합니다.

탄수화물 뿐 아니라

나트륨 같은 경우도 WHO에서 하루 권장 섭취량이 있잖아요?

다들 그 정도는 필요하기 때문에 섭취를 권장하는 겁니다.

우리가 그걸 까딱하면 훅 넘어버리기 때문에 조절이 필요한 거구요.

중간중간 내용이 좀 새기는 했지만

우리 모두 영양을 생각한 건강한 다이어트합시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