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이양자성 산에서 pH를 계산할 때 두가지 방법이 있는데...
게시물ID : science_668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동글몽실
추천 : 0
조회수 : 1387회
댓글수 : 1개
등록시간 : 2011/07/27 21:09:59
일단 네이버 지식인에 질문한건데요 여기에도 한번 여쭤봅니다. :D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15&docId=134368833

어떤 곳에서는 (주로 일반화학책)

H2 A (aq)  ⇄ H3O+ + HA- (aq)   

HA- ⇄ H3O+ + A2- (aq)              Ka2

 

일 때  Ka1>>Ka2 이므로  [H+] 는  H2 A (aq)  ⇄ H3O+ + HA- (aq)  반응에 의해 결정된다고 하고 계산을 하고

(그러니깐 첫번째 반응으로 [H+]를 구하고 이에 다른 화학종들의 농도를 맞춰나가는 식)

 

 

어떤 곳에서는 (주로 학원강의 들을 때)

 

NaHCO3는 물에 녹아 HCO3- 이온과 Na+이온으로 완전히 나누인다. HCO3-이온은 그 중 일부분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가수 분해 반응을 한다.


      HCO3 + H2O = H3O+ + CO32-

      HCO3- + H2 = H2CO3 + OH-


  이들 반응은 각각 가역 반응으로서 평형 상태에 있다. 

 또 생겨난 H3O+ 와 OH-이온들은 H3O+ + OH- = 2H2O의  반응으로 거의 완전히 없어진다. 그러므로 위 두 반응이 오른쪽으로 진행되는 정도는 거의 같고, 따라서 묽은 NaHCO3 용액 중에서 CO32- 농도와 H2CO3 농도는 같아진다.

 

 

요런 식으로 생각해서

라고 생각하던데 어떤게 더 맞을까요?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