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조만간 한국식 서브프라임터질듯
게시물ID : sisa_452241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거긴앙돼형아
추천 : 0
조회수 : 360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3/11/12 23:14:12
■ 급팽창한 시장

부실채권을 매입하는 가장 큰 회사들은 '자산관리회사(AMC)'라고 불리는 곳이다. 국내에는 연합자산관리(유암코)와 우리에프엔아이(F&I)가 지난해 연말 기준으로 시장의 70.9%를 장악하고 있으며, 이들은 부실채권 중 주로 담보가 있는 채권을 사들여 경매로 다시 넘기거나 실수요자에게 되팔아 수익을 낸다. 자산관리회사라도 자신의 장부에 부실채권을 담을 수는 없기 때문에, 한시적으로 존재하는 일종의 페이퍼컴퍼니인 '유동화전문회사(SPC)'를 세워 부실채권을 처리하는 과정을 거친다.

유암코 이성규 대표는 "보통 1000억짜리면 750억~800억 정도에 낙찰을 받는다"며 "회계사 20명 정도를 데려다가 권리분석을 거친 뒤 30억원 이상짜리는 우리가 직접 처리하고 10억원 이하 물건은 외주로 돌린다"고 말했다. "외주로 돌리는 10억원 이하 물건은 기계적으로 법원 경매를 통해서 담보물건을 처분한다. 30억원 이상은 공장이 많은데 우리가 직접 실수요자를 찾아 매각한다"고 말했다.

자산관리회사가 장악하고 있는 은행발 부실채권(고정 이하 여신) 매각 시장 규모는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08년 1조6000억원에서 2009년 4조6000억원, 2010년 6조4000억원, 2011년 7조4000억원, 2012년 6조8000억원, 올해는 9월까지 3조9000억원으로 금융위기 이후 급팽창했다. 은행 전체 고정 이하 여신 규모는 연말 기준으로 국제통화금 사태 여파가 가시지 않는 1999년 약 61조원이었다가 2007년 7조7000억원으로 줄었으나, 2008년 14조7000억원, 올해는 9월까지 25조8000억원을 기록하고 있다. 올 연말이면 부실채권이 매각 등으로 일정 부분 없어지겠지만. 지난해 연말 부실 채권 규모인 18조5000억원과 비슷하거나 넘어설 가능성이 크다.

은행 부실채권 시장 확대의 원인은 국제회계기준(IFRS) 도입과 불황 두 가지다. 직접적인 원인은 국제회계기준 도입으로, 2010년 도입 전까지는 은행들이 스스로 유동화전문회사를 세우고 자산유동화증권(ABS)을 발행해서 처리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도입 이후에는 이 경우 유동화전문회사가 부실채권을 매각하지 않는 한 부실채권 비율이 은행 회계 기록에 남게 됐다. 감독 당국이 요구하는 부실 채권 비율을 장부상 맞추려면, 은행들은 부실 채권을 자산관리회사에 매각하는 편이 낫게 됐다. 금융감독원은 올해 3분기 기준 은행 전체 여신 대비 부실채권 비율은 평균 1.8%이며, 연말까지 평균 부실채권 목표 비율은 1.49%라고 최근 밝혔다. 국제회계기준 도입된 2010년 이후 은행들의 자체유동화 기록은 없다. 이 대표는 "국제회계기준 도입이 직접적이지만 불황도 부실채권 시장 확대의 원인"이라고 말했다.

자산관리회사들의 이익은 짭짤하다. 업계 1위인 연합자산관리의 당기순이익(연결재무제표 기준)은 2011년 164억에서 지난해 912억원으로 껑충 뛰었다. 업계 2위인 우리금융의 자산관리회사 우리에프앤아이(F&I)가 최근 시장에 매물로 나오자, 증권 유관기관인 한국증권금융과 증권사 등 8곳이 서로 경쟁을 벌이는 것도 부실채권 시장의 높은 수익성 때문이다.

이 대표는 "국제통화기금 사태 때 외국계 증권사 등이 한때 수익률이 25% 정도 된 적도 있다. 지금은 수익률이 10%에 미치지 못하지만 그래도 주식이나 회사채 수익률이 5%가 안 되는 것에 견주면 높은 수익률이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다만, 부실채권은 경기에 후행하기 때문에 지금이 시장의 정점일수도 있다"며 "또한, 부실채권 시장은 전문가 시장이기 때문에 개인이 뛰어드는 것은 위험하다"고 말했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증권사들에서도 크지 않은 규모로 부실채권을 다루고 있다. 최근엔 증권 매매 중계 수수료 일변도에서 벗어나 수익을 다각화할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고 말했다.

은행발 부실채권 매각시장
금융위기 4년새 1.6조→6.8조
'국제회계기준 도입'도 성장 한몫
주식·회사채보다 수익성 좋아
자산관리회사끼리 매입 경쟁
부실채권 쪼개 매각…재매각…
대부업체서 받아 불법추심 우려

■ 종착지는 어디?

담보가 없는 부실채권은 보다 많은 과정을 거친다. 은행들은 6개월 이상 연체된 무담보 채권을 신용정보회사들에 우선 위탁하는 경우가 많다. 신용정보회사들은 추심을 대행하고 20% 정도의 수수료를 받는다.

기경민 신용정보협회 본부장은 "신용정보사들은 통상 1년이나 1년6개월 채권 추심을 하는데 회수율은 12% 수준이다. 우리는 현행법상 채권을 매입할 수 없기 때문에 회수 못 한 채권은 반납한다"며 "은행 등에서는 반납받은 채권을 다른 신용정보회사에 위탁하거나 매각한다. 매각하는 경우 이 채권들을 사들이는 곳은 대부업체 등에 팔린다. 대부업체 등에서도 채권은 쪼개져서 계속 재매각되고 나중엔 불법추심 우려가 높아질 수 밖에 없다."라고 말했다. 기 본부장은 "대형 자산관리사가 처리하는 담보 부실채권도 그 중에는 결국 담보로 처리해도 남는 채무액이 있는 잔존채권이 생길 것이고 이 채권들은 재매각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담보가 없는 부실채권과 동일한 과정을 거칠 것이며, 결국 종착지는 비슷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기준 의원은 최근 금융감독원 자료를 분석해 은행들이 2010년부터 올해 9월까지 대부업체에 매각한 부실채권이 2만7414건 약 1193억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부실채권이 은행만 있는 것은 아니며, 제2금융권 등까지 합치면 100조원이 넘을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신용카드 연체금은 본사에서 6개월 이상 관리하다가 신용정보회사에 위탁추심하는 경로를 거치지만, 일부에서는 바로 매각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한국대부금융협회 관계자는 "대부업체들은 상호저축은행이나 캐피탈, 여신금융전문회사 같은 제2금융권에서 주로 채권을 매입한다. (채무자 1인당) 300만원 이하 소액을 선호하며 채권금액의 10%이하에서 사들인다"며 "1년 안에 회수되는 비율은 3.5% 정도고 해가 갈수록 비율은 낮아진다. 3년 정도 추심하다가 남는 것은 국민행복기금 처럼 정부의 채무조정 기관에 매각하는 게 요즘 추세"라고 말했다.

http://m.media.daum.net/m/media/economic/newsview/20131112202010632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