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경영학도가 보는 게임중독법의 깨알같은 6%
게시물ID : gametalk_125163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롤롤님롤롤
추천 : 11
조회수 : 581회
댓글수 : 15개
등록시간 : 2013/11/13 10:41:44

게임중독 예방세 5%
게임중독 치유세 1%
총 6%

순이익6% ? ㅋㅋ그럴리가
총매출6% ! 


의미
50000원짜리 게임 1만장을 팔아서 5억의 매출을 올린 회사A
50000원짜리 게임 한개에 개발비, 원재료비, 물류, 유통, 사용자재상각비, 판매, 관리비, 법인세 등등 모든 소모비용을 합치면 원가 47000원
3000원 순이익. 
여가부 : ㅋ? 총매출 5억원의 6% 3천만원 남았네? 가꼬와


추가세금 6%가 가지는 추가적인 의미
1. 순이익의 감소 = 주식배당금의 감소 = 주가의 하락 = 기업 재무상태 약화
2. 순이익의 감소 = 발전투자금의 감소 = 소극적 투자 = 제대로된 상품이 안나옴
3. 순이익의 감소 = 주식가격의 감소 = 자산의 감소 = 재무건전도 약화 = 대출이자 증가

풀이* 순이익은 연말 주주총회에서 주주들에게 배당, 회사발전을 위해 보류(재투자) 이렇게 크게 2가지 용도로 사용된다.
 하지만 순이익금이 없을 시 주주들에게 돌아갈 배당금이 없어 주가가 하락하고 이는 곧 회사의 가치가 하락하는것과 동일하다.
 주가의 하락은 회사 자산의 하락과도 일맥상통하므로 재무건전성이 나빠진다. 따라서 은행대출 및 채권을 발행할때 이자금액이 높아질 수 밖에 없다.




후기
정치에 관심을 끊고사는 많은 사람들이 있습니다. 직접 피부에 안와닿기 때문인데요 
사실 우리생활의 모든부분은 정치와 맞닿아 있습니다. 슈퍼마켓 캔커피 한잔에도, 세수하러 트는 수도꼭지 하나 물한방울에도 법이 녹아 있습니다.
이 모든 법은 입법기관인 국회에서 국회의원(영어로 Lawmaker)들이 만들어내지요 
6% 추가세금법안.. 총매출액의 6%가 세금으로 징수가 된다는 말은 
총 게임산업 종사자들의 6%가 회사에서 잘린다는 말과 같으며
모든 국산 게임의 질이 6% 하락된다는 말과 같고
아니면 우리가 게임을 즐길때 내야 할 돈이 6%증가한다는 것과 같습니다. 물론 구매는 현재와 똑같은 빈도로 할 때 말이죠. 말도안되는 소리지만.
게임업계에 부과된 세금은 누구나 인터넷을 하고 친구들과 피시방가서 게임을 접하고 즐기는 요즘 이때에 단지 게임업계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우리 모두의 지갑에 빨대를 꽂는 일임을 알아야 합니다. 왜냐구요? 게임비가 6%만큼 비싸질것이기 때문이죠. 
중소기업을 살리네 서민경제를 살리네?ㅋㅋㅋ 개뿔 지1랄들을 하세요..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