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륨이 공기보다 가벼우니 하늘로 떠오르자나요.. 그럼 아예 공기를 빼서 진공으로 만든 공이 있다면 더 강한 힘으로 띄울수 있나요? 매우 가볍고 단단한 용기가 있어 충분한 크기의 진공상자 등을 만들수 있다면, 이를 하늘에 띄우거나 짐의 무게를 줄이는 등의 목적으로 쓸수 있을지 궁금해지네요. 그 정도 무게에서 진공을 견딜 강도의 재료가 없는건지, 아니면 풍선과 같은 기압차가 없는 이런 구조에서 부력 자체가 발생하지않는 건지 잘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쓰다보니 진공 상자가 공기로 채운 상자보다 물에 더 잘뜨는지도 궁금해지네요... 아마도 해당 부피의 물의 무게에 해당하는 부력이 동일하게 발생하고, 진공 상자보다 공기의 무게가 더해진 상자가 근소하게 중력을 더 많이 받아 가라앉을 것으로 예상은 되는데, 맞는 생각인지...
왕관의 무게를 대충 100g 정도만 치고 (참고로 신라 금관의 무게는 1.3kg 임) . 100 g 이면 엄청 작게 잡은 거임. 금의 밀도 19 g / cm^3 .. 은의 밀도 10 g / cm^3 왕관에 은을 10% 정도 썼다고 칠때 부피 차이 계산해 봐라. 중고딩도 계산가능하다.
고대 그리스임을 감안하더라도 충분히 측정가능한 수준으로 차이가 나오는데, 그걸 못했을 거라고? 뭐 은이 하나도 안쓰였냐? 1% 쯤 쓰였냐? 구분해야 한다면 어려울 수 있지만, 러프하게 10% 쯤만 두어도 충분히 구분가능하다. 왕관의 무게가 더 무겁다고 가정하면 그 차이는 더 커질 꺼고.
https://en.wikipedia.org/wiki/Archimedes 뭐 여기 동영상 하나 보면 바로 알 수 있는거죠. 기원전 2세기 전 사람이고 유레카에대한 언급이 출간된 책이 2백 년 후에 나왔다고 하며 스토리에 일부 학자들은 논란을 제기 했다..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1600년도에 논란을 제기하고 해법을 제시 했다거나 뭐 그런 내용도 적혀 있고요.
헐레벌레는 맞는말 틀린말이 막 섞여서 맞는말도 틀린말처럼 들리게 하는 묘한 재주가 있음 게다가 누가 뭐라하기도 전에 첫 댓글부터 공격적이라 맞는말도 반발심이 들게하는 재주가 있음
맞는말 1. 넘친 물의 부피를 재서 순금과 합금을 구분했다 는건 틀렸다 그당시 기술로 측정 불가하고 표면장력이나 외벽에 묻는 등 변수가 많다 2. 만약 합금과 순금을 찾으려면 물의 부피를 잴 필요도 없이 그냥 같은 무게의 순금을 담궜다가 빼고 거기다 왕관을 넣어보면 된다 (혹은 물속에서 양팔저울 사용)
반만 틀린말 1. 넘친물의 부피는 부력과 아무 상관이 없다 -> 마치 밀려난 물의 부피와 부력은 아무 관련 없다는듯 말하는데 외벽에 묻는 물의 양이나 표면장력등의 오차를 제외한다면 가득찬 통에 물체를 담궜을때 넘친물의 무게(부피가 아님 무게)는 물속에 담긴 물체가 받는 부력과 완벽히 일치합니다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죠 부피가 100L인 물체를 물이 가득찬 통에 담궜다면 당연히 물이 100L가 흘러넘치죠? 그럼 물속에 담긴 물체가 받는 부력은 물100L에 해당하는 무게 즉 100KG만큼 부력을 받습니다
즉 오차때문에 넘친물의 부피가 담긴 물체의 부피가 아니므로 넘친 물의 부피과 부력은 상관 없다는걸 말하고 싶었겠지만 이론적으로는 틀린말이 아니므로 반만 틀린말임
틀린말 1. 원통이란...밑면이 원인 실린더. 그리고 윗면과 밑면이 평행해야 함. -> 어차피 두경우의 부피 차이만 확인하면 되기 때문에 평행할 필요는 없음 동등한 조건이면 됨 즉 기울어져있다면 그위치 그대로 그만큼 기울어져 있는 상태에서 실혐하면 됨
2. 비커가 놓인 책상이 수평이어야 함 -> 이것또한 마찬가지 수평일 필요는 없음 기울어져있어도 됨 사실 어느정도 기울어져 있을때 표면장력의 영향과 물이 넘칠때 여기저기 묻지 않아서 오히려 실험은 정확해질듯 게다가 실린더 역시 기술어져있어도 됨 정확한 부피를 재기 위함이 아니라 두 경우에서 부피 차이만 확인하면 되기 때문에 기울어져 있다면 똑같이 그자리에 그만큼 기울어져 있는 상태로 똑같이 하면 됨 예를들어 100ml와 110ml 인데 기울어져 있어서 눈금에는 각각 110ml 와 120ml로 라고 나왔다고 그 차이만 확인하면 되기 때문에 기울어져 있어도 상관 없음
3. 왕관 크기가 100g이면 적당하다고 하지만 찾아보니 고대 그리스 왕관은 큰건 750g이상 나감 천마총 금관같은경우는 1.2kg이상이고 100g이면 부피가 약 5.2cm^3도 안되는데 가로 세로 높이 1.8cm도 안되는 크기의 금으로 왕관을 만드는게 적당하다고하는게 어떤 근거가 있는지 모르겠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