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개인공부를 위해 영어논문 몇 문단을 번역해봤습니다!
게시물ID : english_7771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이기ㅎ
추천 : 1
조회수 : 413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3/11/19 23:38:34
안녕하세요!! 예전에 영어책 번역을 몇일간 올리다가 이렇게 다시 개인 공부를 위해 논문번역을 하게 되서 글을 올립니다.
 
완역한다고 해봤는데 한국어휘도 부족하고 영어실력도 부족해서 엉망인거 같네요. 하루에 1~2문단씩 해보려고 합니다.
 
여러분들이 feedback을 주신다면 더 나은 내용이해와 영어실력향상에 도움이 되기때문에 이렇게 염치없이 올려봤습니다.
 
번거로우시더라도 시간괜찮으시다면 읽어보시고 많은 지적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The prediction of Honesty-Humility-related criteria by the HEXACO and Five-Factor Models of personality.
 
HEXACO와 성격5요인에 의한 정직-겸손-관련 준거예측.
 
 
1. Introduction
 
An important recent development in personality psychology has been the finding that human personality variation is best summarized by a set of six broad dimensions. During the 1980s and 1990s, many researchers had adopted the Big Five or Five-Factor Model (FFM) of personality structure, but the results of more recent investigations have converged on a six-factor structure that we have called the HEXACO framework (e.g., Ashton & Lee, 2007). This six-dimensional space has emerged repeatedly in lexically-based studies of personality structure conducted in diverse languages, and supersedes the Five-Factor structure that was observed in early studies of the English personality lexicon. In this article, we examine the incremental validity provided by the HEXACO modelbeyond the level of validity provided by the traditional Five-Factor structurein predicting several important variables.
 
 
1. 서론
 
성격심리학에서 중요한 최근의 발전은 6개의 넓은 차원으로 구성된 하나의 set에 의해 인간 성격 차이가 잘 요약된다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많은 연구자들이 성격5요인 구조를 받아들였지만, 많은 최근의 조사 결과들은 HEXACO 틀 이라 불리는 6요인 구조에 집중되었다(Ashton & Lee, 2007). 6차원 공간은 다양한 언어권에서 시행된 성격구조의 어휘 기반 연구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났고, 영어 성격어휘로 구성된 이전 연구들에서 관찰된 5요인 구조를 대체했다. 이 글에서, 우리는 여러 중요한 변수들을 예측하는데 HEXACO model에 의해 전통적 5요인 구조에 의해 제공된 타당도 수준을 넘어서는제공된 부가적 타당도*를 검토한다.
 
 
*부가적 타당도 : 주어진 기준변인의 예언에 있어서 새로운 예언변인의 추가가 그 예언능력을 증가시키는 정도.
 
 
1.1. The Big Five and the FFM
 
 
The classic Big Five factors as observed in English-language lexical studies of personality structure are generally known as Extraversion,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Emotional Stability (versus Neuroticism), and Intellect/Imagination (see Digman & Takemoto-Chock, 1981; Goldberg, 1990; Hofstee, de Raad, & Goldberg, 1992; Saucier & Goldberg, 1996). The findings from these lexical investigations, and from analyses of personality questionnaire scales that had also been inspired by lexical research, led to the development of the FFM (e.g., McCrae & Costa, 1985 see history by McCrae, 1989). The Big Five and the FFM are in most ways almost identical, but there are at least two noteworthy differences between these five-dimensional structures. First, the Big Five Intellect/Imagination factor incorporates an element of intellectual ability that is not incorporated within the corresponding dimension of the FFM. The latter factor, called Openness to Experience (e.g., Costa & McCrae, 1992; McCrae & Costa, 1985), is instead defined by a rather broad array of traits, most of which are associated with imagination. Second, the Big Five Agreeableness factor is somewhat less broadly defined than is its counterpart in the FFM. The Big Five and FFM variants of Agreeableness share traits of kindness and cooperation, but FFM Agreeableness also incorporates some other traits, such as straightforwardness and modesty, which are not central aspects of Big Five Agreeableness (see detailed discussion in Ashton & Lee, 2005). Although the Big Fiveand ultimately, the FFMwere derived from lexical findings in the English language, the popularity of these five-dimensional systems is in large part attributable to the questionnaire-based research conducted by Costa and McCrae during the 1980s and 1990s. Their investigations showed that a wide variety of personality inventory scales had substantial associations with one or more of the dimensions of the FFM (e.g., McCrae, 1989). In addition, translated versions of FFM marker variablesspecifically, the scales of the NEO Personality InventoryRevised (NEO-PI-R; Costa & McCrae, 1992)were found to define the same five-dimensional space in countries around the world (e.g., McCrae & Costa, 1997).
 
 
성격 구조의 영어 어휘연구에서 관찰된 고전적 빅5요인은 일반적으로 외향성, 원만성, 성실성, 정서적 안정성( 신경증적 성격 과 반대되는), 그리고 지적능력/상상력으로 알려져 있다(see Digman & Takemoto-Chock, 1981; Goldberg, 1990; Hofstee, de Raad, & Goldberg, 1992; Saucier & Goldberg, 1996). 이런 어휘연구로부터 얻은 결과와, 또한 어휘연구에 의해 영향을 받은 성격검사 분석에 의해 얻은 결과는 FFM의 발전을 이끌었다(e.g., McCrae & Costa, 1985 see history by McCrae, 1989). 5FFM은 대부분의 방식에서 거의 동일하지만, 적어도 이것들 간에는 두 개의 주목할 만한 차이점이 있었다. 첫째, 5 지적능력/상상력 요인은 FFM의 해당 차원에는 포함되지 않은 지적능력 요소를 포함한다. 경험에 대한 개방성이라 불리는(e.g., Costa & McCrae, 1992; McCrae & Costa, 1985) 후자의 요인은 대부분 상상력과 연관된 꽤 광범위한 특질들에 의해 대신 정의된다. 둘째, 5 원만성 요인은 FFM에서 대응 관계에 있는 것 보다 다소 덜 넓게 정의되었다. 5의 원만성과 FFM 원만성은 친절함과 협동의 특질들을 공유하지만, FFM 원만성은 빅5 원만성의 주된 관점이 아닌 솔직함과 겸손 과 같은 약간 다른 특질들을 포함한다(see detailed discussion in Ashton & Lee, 2005). 5궁극적으로, FFM까지영어권에서 실시한 어휘연구에서 부터 유래되었지만 이 5-차원 시스템의 인기는 대부분 1980년대와 1990년대 동안 CostaMcCrea 에 의해 실시된 질문지법 연구 때문이었다. 그들의 연구는 매우 다양한 성격검사척도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FFM의 차원들과 실질적으로 연합 했다는 것을 보여줬다(e.g., McCrae, 1989). 게다가, FFM 채점 변수들의 번역된 버전이특히, NEO Personality Inventory 척도개정된(NEO-PI-R; Costa & McCrea, 1992)세계 전역에서 이 같은 5-차원 영역을 뚜렷이 보인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