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오늘도 한문단 해봤습니다!!
게시물ID : english_779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이기ㅎ
추천 : 2
조회수 : 435회
댓글수 : 4개
등록시간 : 2013/11/22 22:06:43
8번 문장이 익숙치 않은 구조라 맘대로 해석해버렸습니다...  오늘도 많은 feedback 부탁드립니다 !!
 
 
1.3. Incremental validity of the HEXACO framework beyond the big five and FFM
 빅5FFM을 넘어서는 HEXACO틀의 부가타당도*
 
The research summarized above indicates that the HEXACO structure provides advantages over the Big Five or FFM both as an empirical summary and as a theoretical interpretation of human personality variation.
 HEXACO연구는 실증적 개요와 인간 성격차이의 이론적 해석 두 면에서 빅5FFM보다 이점을 제공한다는 것을 나타내는것 이상으로 요약했다.
 
But from the point of view of practical utility, there remains the question of the incremental validity of the HEXACO framework over the five-dimensional system.
 그러나 실증적 유용성 관점에서는, 5-차원 시스템을 넘어서는 HEXACO틀의 부가타당도에 대한 의문이 남아있다.
 
That is, are there important personality-related constructs that are much better accommodated by the HEXACO structure than by the Five-Factor structure?
 즉, 5구조에 의해 적용된 중요성격관련 구조 보다 HEXACO구조에 의해 적용된 중요성격관련 구조가 더 나은가? 하는 의문이 남아있다.
 
The results of several recent investigations indicate that the answer is yes.
 최근 연구의 결과들은 그렇다 이다.
 
Perhaps the clearest example is the study by Lee, Ogunfowora, and Ashton (2005), who examined the variables of the Supernumerary Personality Inventory (SPI; Paunonen, 2002).
 아마 명백한 증거는 수많은 성격 특성항목표(SPI; Paunonen, 2002)를 검토한 LeeAshton(2005)가 실시한 연구일 것이다.
 
The SPI was designed to assess a variety of important personality characteristics that are largely ‘‘beyond the Big Five”, and Lee et al. did find the SPI scales to be rather modestly associated with measures of the classic Big Five factors.
 SPI는 다양한 주로 "5 넘어서는"주요 성격 특성들을 평가하기위해 개발되었다,LEE .
 
In contrast, however, most of the SPI scalesincluding Integrity, Egotism, Manipulativeness, eductiveness, Risk Taking, and Femininityshowed rather large correlations with the factors of the HEXACO Personality Inventory (HEXACO-PI; Lee & Ashton, 2004), especially HonestyHumility and Emotionality.
 그러나, 대조적으로 대부분의 SPI척도는- 진실성, 이기주의, 조작성, 추론성, 위험감수성, 여성성을 포함한- HEXACO 성격 항목 요인과(특히 정직-겸손성, 정서성) 제법 큰 상관을 보여준다.
 
For the SPI scales listed above, the difference between the multiple correlations obtained by the HEXACO and Big Five instruments ranged from .11 to .31, thus indicating a major advantage for the HEXACO framework in accommodating these variables.
 위에 언급된 SPI 척도에 대한, HEXACO 모델에 의해 획득된 다중상관과 빅5모델에 의해 획득된 다중상관 차이의 범위는 .11에서 .31 사이이므로, 이런 변수들을 수용하는데 있어서 HEXACO 틀을 위한 주된 이점으로 나타난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