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공게에 적당한 게시물에 대한 제 생각을 좀 말해보겠습니다.
게시물ID : panic_67849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청몽
추천 : 15
조회수 : 1418회
댓글수 : 24개
등록시간 : 2014/05/14 21:15:37

일단 이 글을 읽어보세요.
---------------------------------
 예술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우리는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모나리자’나 베토벤의 교향곡이나 ⓐ발레 ‘백조의 호수’ 같은 것이라고 대답할지 모른다. 물론 이 대답은 틀리지 않았다. 하지만 질문이 이것들 모두를 예술 작품으로 특징짓는 속성, 곧 예술의 본질이 과연 무엇인지를 묻는 것이라면 그 대답은 무엇이 될까?

  사실 같은 이름으로 불리는 ⓑ어떤 그룹에 속한 것들 모두에게 공통되는 속성이 하나쯤은 있어야 한다는 생각은 자연스럽다. 그렇지 않다면 대체 이들을 같은 이름으로 부르는 근거가 무엇이겠는가. 예술의 본질을 찾으려는 노력도 이러한 가정 하에서 전개되었다. 그래서 예술은 곧 모방이라는 서양의 전통적 시각이나, 예술은 감정의 표현이라는 주장, 또 예술은 형식이라는 주장까지 모두 예술의 본질에 대한 답변으로 간주되었다. 하지만 이들이 모두 정답으로 경쟁한다면, 그 중 어느 것이 정말 예술의 본질인가? 

  20세기 들어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은 이 문제에 다른 방식으로 접근하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비트겐슈타인은 ‘게임’을 예로 든다. 누군가가 게임의 본질적 속성을 ‘경쟁’으로 본다고 해 보자. 곧 반례가 만들어질 것이다. 예를 들어, 전쟁은 경쟁이라는 속성을 가졌지만 게임은 아니다. 한편 게임 중에도 경쟁이 아닌 것이 있다. 무료한 시간에 ⓒ혼자 하는 카드놀이가 그 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식으로 따져 가다 보면 모든 게임에 공통적인 하나의 본질을 찾는 일은 불가능해 보인다. 그런데 비트겐슈타인은 이것이 바로 게임이라는 개념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라고 한다. 

  비트겐슈타인에 따르면, 게임은 본질이 있어서가 아니라 게임이라 불리는 것들 사이의 유사성에 의해 성립되는 개념이다. 이러한 경우 발견되는 유사성을 ‘가족 유사성’이라 부르기로 해 보자. 가족의 구성원으로서 어머니와 나와 ⓓ동생의 외양은 이런저런 면에서 서로 닮았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셋이 공통적으로 닮은 한 가지 특징이 있다는 말은 아니다. ㉠비슷한 예로 실을 꼬아 만든 밧줄은 그 밧줄의 처음부터 끝까지를 관통하는 하나의 실이 있어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짧은 실들의 연속된 연계를 통해 구성된다. 그렇게 되면 심지어 전혀 만나지 않는 실들도 같은 밧줄 속의 실일 수 있다. 

  미학자 와이츠는 예술이라는 개념도 이와 마찬가지라고 주장한다. 그에게 예술은 가족 유사성만을 갖는 ‘열린 개념’이다. 열린 개념이란 주어진 대상이 이미 그 개념을 이루고 있는 ⓔ구성원 일부와 닮았다면, 그 점을 근거로 하여 얼마든지 그 개념의 새로운 구성원이 될 수 있을 만큼 테두리가 열려 있는 개념을 말한다. 따라서 전통적인 예술론인 표현론이나 형식론은 있지도 않은 본질을 찾고 있는 오류를 범하고 있는 것이 된다. 와이츠는 표현이니 형식이니 하는 것은 예술의 본질이 아니라 차라리 좋은 예술의 기준으로 이해되어야 한다고 한다. 그는 열린 개념으로 예술을 보는 것이야말로 무한한 창조성이 보장되어야 하는 예술에 대한 가장 적절한 대접이라고 주장한다.
-------------------------------------



2007년 수능 지문입니다. 문맥상 나누면 좀 이상해져서 그냥 다 가지고 왔는데 중요한 건 굵게 표시한 지문입니다. 

공포의 기준도 저런 가족 유사성을 가진  중에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이게 공포다 라고 할 수 있는 건 없죠. 사실 이건 공포고 이건 공포가 아니야 라고 확실히 말할 수 없는 것들도 있죠.
일단은 인간의 감정에 대해서 다루는 거니까요.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소름끼치는 것을 공포라고 정의해봅시다. 
그러면 확실히 귀신사진이나 이런 걸보면 소름끼치니까 맞다고 할 수 있겠죠.
하지만 반례가 생깁니다. 노래를 엄청 잘 부른다거나 하는 어떤 분야의 극에 달한 것을 보면 소름이 끼치죠. 
그렇다고 그걸 공게에 올리면 맞는 걸까요? 아니죠. 

그러면 깜짝 놀라는 걸 공포라고 해보죠. 
분명 귀신몰카나 이런 건 깜짝 놀라니까 공포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일반 몰카는 깜짝 놀라기는 하겠지만 유머게가 더 적당하겠죠. 

이런 식입니다. 공포게시물 마다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그것들 사이의 유사성에 의해서 공포게시판이 생기는 겁니다. 

분명 사람마다 이런 게 공포일껄야 라는 기준은 있을 겁니다. 그게 귀신이 됐던 괴담이 됐던 어떤 장소가 됐던. 
보통 사람마다 사람들이 공포를 느낄 수 있겠다고 생각하는 건 있다는 거죠. 
어떤 사람은 물이 무서울 수 있습니다. 매우 소름끼치도록. 그렇다고 평균적인 사람들도 물을 무서워 하는 건 아니죠. 
물론 심해같은 건 공포가 될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고 시냇물같은 것도 일반적으로 무서워하는 건 아니죠. 
그래서 공포증같은 경우에는 공게에 적당하지 않은 겁니다. 

공게에서 원하는 건 그 일반적인 겁니다. 특수한 게 아니라.
특수한 걸 공게에서 다 받아주다보면 ( 받아주다가 이렇게 된거지만 ) 결국은 일반적인 사람들은 공감하지 못하는 게 더 많아 질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가 공포 는 ~~에 해당하는 게시판으로 가는 게 맞는 거죠. ~~가 더 중요한 거니까요. 공포인게 중요한 게 아니라. 
예를 들자면 현 시국이 공포는 시국이 중요한 거니 시사게로.
어떤 사고가 공포는 사고가 중요한 거니 사건사고게로
멘붕스러운 경험이 공포는 멘붕이 중요한 거니 멘붕게로 말이죠. 
사실 시국을 제외하고는( 너무 확실해서 제외입니다.) 사고나 경험도 충분히 공포가 될 수 있지만 애매한 것은 그 쪽 게시판으로 가는 게 맞는 것 같습니다. 점이나 무당, 아니면 귀신 관련해서 정말 무서운 경험은 공게도 괜찮겠지요. 

정리하자면 게시물 올리는 사람이 알아서 판단하되 이건 좀 애매하다 싶으면 올리지 않는 게 맞겠죠.
그리고 공게에 자주 오는 사람들이 그런 애매하거나 아니다 싶은 게시물을 반대를 먹여서 베스트를 못 가게 하는 게 맞겠구요.
제 생각엔 이렇게 상호간에 조율에 따라 자정시키는 수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공포라는 특성상 과게나 컴게처럼 공지를 만들기도 힘들구요. 
앞서 말했다시피 공포는 딱 이게 공포야 라고 할 수 있는 게 없으니... 
아니면 올리기 전에 적당한지 아닌지 생각해 달라는 공지를 올려도 괜찮을 수도 있겠네요. ( 근데 생각해보면 공지 읽을 정도면 알아서 구분하지 않을까 싶기도 하네요. )

엄연히 따지면 아마 제가 쓰는 신기한 생물들도 공게에 올리긴 애매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냥 공게분들이 너그러이 넘어가주시는 거겠지요. 아무래도 제가 글을 쓰는 노력이나 이런 걸 봐주시는 거 아닌가 싶습니다. 

마지막으로 혐오에 대해서 인데요.
혐오는 그 게시물에서 부수적인 요소가 되어야지 주 요소가 되면 안된다고 봅니다. 
일단 혐오는 그 자체로 트라우마가 생기기 쉬워요. 특히 어린 아이들한테는. 오유는 확실히 초등학생도 하는 사이트입니다. 
당연히 진정한 의미의 극혐은 안되는 거고 ( 예를 들자면 시체사진이요. 사실 이게 구글에서 확실하게 시체사진을 뜨게하는 검색어가 있는데 못 쓰겠네요. )  어느정도 이상의 혐오도 안될 것 같네요. 

----------------------------

생각해보니 안 쓴게 있어서 씁니다.
공포게시판은 조회수가 높은 편입니다. 글 리젠은 느린데 보는 사람은 많아서 게시물을 보면 다른 게시판에 비해서 좀 높은 편이죠. 
그 말은 베스트에 가지 않아도 상대적으로 노출이 많이 된다는 이야기죠. ( 시간에 비례해서 보면 평균 2~3배, 페이지 수만 봐서 보면 거의 10배 정도 차이나는 것 같네요. )
아마 이 점을 노리고 쓰는 분들도 있지 않을까 싶네요. 물론 그러면 안되는 것이겠죠.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