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추천!)책속의 명언62 - 명작순례 /유홍준<우리 옛그림과 글씨의 멋>
게시물ID : lovestory_67896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좋아헤
추천 : 0
조회수 : 764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4/08/02 10:51:48
환경 여건상 사진 첨부가 안되네요..... 나중에 수정해서 꼭 올리겠습니다, 일단 URL첨부만 할게요ㅠㅠ!

출판일 13.11.15
읽은날 14.08.01

26p. 탄은 이정
풍죽도, 이정. 17세기 초, 비단에 수묵. 미국 Mary and Jackson Foundation 소장
http://blog.naver.com/moretumblers/220058520919

42p. 연담 김명국
달마도, 김명국. 17세기 중엽, 종이에 수묵.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48498&cid=49299&categoryId=49299

48p. 공재 윤두서
벗들이 증언하는 공재의 못브은 외모를 보면 장수와 같으며 그 기상은 일국의 재상이 되고도 남음이 있다고 했다. 공재의 그런 인간상에 대해서는 그의 유명한 <자화상>에 담헌 이하곤이 붙인 시에 잘 나타나 있다.

육 척도 안 되는 몸으로 사해를 초월하려는 뜻이 있었네
긴 수염 길게 나부끼고 얼굴은 기름지고 붉으니
바라보는 자는 사냥꾼이나 검객이 아닌가 의심하지만
저 진실로 자신을 낮추고 양보하는 기품은
또한 돈독한 군자로서 부끄러움이 없구나

50p. 공재 윤두서
옥에 흙이 묻어 길가에 버리시니
오는 이 가는 이 흙이라 하는 고야
두어라 알 이 있을지니 흙인 듯이 있거라
- 옥玉, 윤두서

모기는 일어나고 파리는 잠드니 날이 더울까 두렵고
푸르고 설익은 보리는 밥을 끓여 이룰 수 없구나
이웃집 개는 짖고 외상 술빚은 급한데
고을 서리마저 세금을 재촉하러 깊은 밤 문에 이르렀구나
- 전가즉사田家卽事, 윤두서

78p. 능호관 이인상
수하한담도, 이인상. 18세기 전반, 종이에 수묵.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551524&mobile&cid=46702&categoryId=46739

80p. 현재 심사정
딱따구리. 심사정, 18세기 중엽, 비단에 채색. 개인 소장
http://hanulh.cafe24.com/474

82p. 현재 심사정
노안도, 심사정. 1763년, 종이에 담채. 개인 소장
http://blog.joins.com/media/folderlistslide.asp?uid=chungsong&folder=36&list_id=8181616

86p. 호생관 최북
계류도, 최북. 18세기 중엽, 종이에 담채. 고려대학교박물관 소장
http://blog.naver.com/cannonfort/50169125331

111p. 단원 김홍도
돌이켜보건대 단원이 뛰어난 화가라고 해서 <기로세련계도>라는 불후의 명작이 탄생한 것은 아니었다. 개성 사람들의 주문이 없었다면 단원의 이 그림은 탄생하지 못했다. 이런 대작을 주문할 정도의 경제적, 문화적 풍요로움과 미술에 대한 사회적 수요가 있었기에 가능했던 것이다.
이로써 볼 때 미술문화를 창출하는 것은 공급자가 아니라 오히려 소비자임을 알 수 있다. 공급자인 화가는 그러한 문화적 수요가 일어났을 때 자신의 기량을  십분 발휘하는 것으로 자기 몫을 다할 뿐이다. 그런 의미에서 문화는 소비자가 만든다.

기로세련계도, 김홍도. 1804년, 종이에 담채. 137.0x53.3cm, 개인 소장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563564&cid=46721&categoryId=46878

134p. 수월헌 임희지
묵란도, 임희지. 19세기 전반, 종이에 수묵.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http://blog.naver.com/dankoon2001?Redirect=Log&logNo=60105485794

146p. 우봉 조희룡
홍매(대련), 조희룡. 19세기 중엽, 종이에 담채. 개인 소장
http://www.kyeonggi.com/news/articleView.html?idxno=551510

162p. 일호 남계우
호접도, 남계우. 19세기, 종이에 채색. 개인 소장
http://blog.naver.com/kmozzart/40103828055

164p. 몽인 정학교
괴석도, 정학교. 19세기 말, 종이에 수묵. 개인 소장
http://blog.naver.com/dankoon2001/60108212770

190p. 수화 김환기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김환기. 1970년, 면포에 유채. 개인 소장
http://blog.naver.com/demsun?Redirect=Log&logNo=70186489089

194p. 수화 김환기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는 절친한 선배이기도 한 김광섭의 시 <저녁에>에 붙인 그림이다.

저렇게 많은 별 중에서
별 하나가 나를 내려다본다
이렇게 많은 사람 중에서
그 별 하나를 쳐다본다

밤이 깊을수록
별은 밝음 속에 사라지고
나는 어둠 속에 사라진다

이렇게 정다운
너 하나 나 하나는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214p. 홍랑
절유시, 홍랑. 16세기, 종이에 묵서. 개인 소장

238p. 추사 김정희
운외몽중 표제(운외몽중 시첩 중), 김정희. 1827년, 종이에 묵서. 개인 소장
http://blog.naver.com/b12144/20149505303

266p. 책가도
남공철의 <금릉집>에는 이런 얘기가 나온다.

정조는 화공에게 명하여 책가도를 그리게 하여 자리 뒤에 붙여두시고 업무가 복잡하여 여가가 없을 때는 이 그림을 보며 마음을 책과 노닐게 했다.

책가도(8곡 연결병풍), 이형록. 19세기 후반, 종이에 채색. 140.2x468.0cm,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569334&cid=46702&categoryId=46739

280p. 영조
영조가 세손에게 이르는 글인 <유세손서諭世孫書>가 함께 전한다. 영조가 직접 썼다.

아! 해동 300년 우리 조선왕조는 83세 임금이 25세 손자에게 의지한다. 오늘날 종통을 바르게 하니 나라는 태산반석처럼 편안하다. (중략) <승정원 일기>의 세초 삭제는 실로 너의 뜻을 따른 것이다. 또 듣건대 어제 무덤(사도세자의 무덤)에서의 네 모습을 본 사람들은 눈물로 옷깃을 적시었다고 한다. 
국초에 보인을 만든 예에 따라 특별히 효孝 자로 그 마음을 세상에 드러내며 이 일을 후대의 본보기로 삼으니 산천초목과 곤충인들 누가 이 뜻을 모르겠는가.
아, 내 손자야! 할아버지의 뜻을 체득하여 밤낮으로 두려워하고 삼가서 우리 300년 종묘사직을 보존할지어다.

유세손서, 영조. 1776년, 종이에 묵서.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http://blog.naver.com/ximetal/110186697474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