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현장24] 구급차가 20분 만에...아이 끝내 사망을 보고..
게시물ID : freeboard_730121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러키가이다잉
추천 : 2
조회수 : 565회
댓글수 : 1개
등록시간 : 2013/11/28 11:30:36
 
원문 : http://www.ytn.co.kr/_ln/0103_201311280515445065

[앵커]
YTN 현장 24!
오늘은 구급차가 늦게 도착하면서 환자를 죽음에까지 이르게 한 어이없는 사건을 고발합니다.
YTN 취재 결과 기도가 막혀 응급조치가 절실한데도 119구급차는 신고 20분 뒤에야 현장에 도착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8살짜리 어린이는 한 달 넘게 사경을 헤매다 결국 숨졌습니다.
한동오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기자]
아파트 엘리베이터 안에서 어린이가 장난을 칩니다.
문이 열리자마자 밖으로 뛰어 나갑니다.
친구를 따라 달리던 아이!
갑자기 머리를 움켜쥐며 도로변에 힘없이 쓰러집니다.
사탕이 목에 걸려 의식을 잃은 겁니다.
[인터뷰:목격자]
"입술이 창백했고 얼굴이 파랗게 돼 있는 상태였고 주위에 사람도 많이 모여 있었고..."
5분 뒤 아이를 발견한 행인이 119에 신고한 시각은 오후 5시 27분!
1초가 아쉬운 급박한 상황이었지만
구급차는 무려 21분이 지난 5시 48분에야 도착했습니다.
아이가 쓰러진 현장입니다.
이곳에서 소방서까지 차를 타고 얼마나 시간이 걸리는지 제가 직접 재보겠습니다.
4분 20초로 2km 떨어진 소방서까지 5분도 채 걸리지 않는 거리입니다.
아이는 뇌사 상태로 한 달 넘게 중환자실에서 사경을 헤맸고, 결국 지난 23일 8살이라는 어린 나이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인터뷰:사망 어린이 아버지]
"한 달 동안 준비하라는 말을 세 번 들을 정도였으니까...표현할 수 있는 말이 있으면 좋겠어요."
구급차 출동이 왜 이렇게 늦어진 걸까?
현장 근처의 119안전센터에서 다른 곳으로 출동을 나가 10km 가까이 떨어진 다른 소방서에서 구급차를 보냈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퇴근길 혼잡까지 겹치면서 길을 비켜주지 않는 차량도 많았고, 소방서 역시 현장과 가까운 병원과 연락해 사설 구급차를 이용하려는 시도조차 하지 않았습니다.
[인터뷰:해당 소방서 관계자]
"(병원 사설 구급차는) 응급처치 안 하고 단순히 환자 이송하는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우리가 마음 놓고 병원에 지원 (요청)할 수 없는 단계입니다."
구급환자 이송 업무를 맡는 119안전센터는 전국에 9백여 개!
24시간 긴급 출동을 나가야 하기 때문에 센터에는 구급대원이 하루에 3교대, 최소한 9명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시골 지역 센터는 70%가량에 불과한 6, 7명뿐으로 인력이 턱없이 부족합니다.
전문가들은 의료기관과의 긴급정보망을 구축하고 인력과 장비를 대폭 확충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인터뷰:김엽래, 전국소방학과교수협의회장]
"소방본부에서 지령이 내려가면 각 소방서에서 출동하되 인근 병원에서도 출동을 같이 받아서 다수 사상자일 경우에 같이 구급 지원 활동 될 수 있게끔..."
119의 구급 환자 이송 인원은 1년에 150만 명!
예산 문제와 인력 부족이라는 이유로 촌각을 다투는 응급환자들이 죽음의 문턱을 넘어야 하는 건 아닌지 전반적으로 되짚어봐야 할 때입니다.
[인터뷰:피해 학생 부모]
"금방이라도 나와서 아빠한테 다녀오셨느냐고 인사할 것 같고..."
YTN 한동오입니다.
==================================================================================
아침에 위와 같은 뉴스를 보고 마음이 아팠습니다.
현직 구급대원으로서 느끼는 바가 많았고 이런일이 다시 반복 되지를 않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글을 씁니다.
위 글과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기 위해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요?
 
그건 바로 응급처치 일 것입니다.
 
그럼 응급처치는 전문가들만 할 수 있는 것일까요?
 
아니요. 우리 모두가 할 수 있습니다. 드라마에 나오는 것처럼 현장에서 수술도 척척하고 죽어가는 사람을 딱 살려내고
이런일은 사실 드라마이니 가능한 부분들도 있습니다.
 
현 사건처럼 사탕이 걸렸을 경우에는 하이리히법이라는 응급처치 방법을 사용합니다.
그 방법에 아래 그림으로 설명합니다.
ㅎ1.JPG
ㅎ2.JPG
ㅎ3.JPG
원문:http://health.naver.com/firstAid/detail.nhn?firstAidCode=firstaid_010
 
네이버에서 찾아 본 하임리히 방법입니다.
 
 이 글을 읽었다고 해서 모두가 하임리히 방법을 현장에서 적용 할 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이런 응급처치를 어디에서 배울 수 있을까요?
 여러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지금 일하고 계신 사업장이나 공부하고 계신 학교에서 가까운 소방서로 연락하여
응급처치 법에 대해서 배우고 싶은데 어떤 방법이 있는지 문의 하는 것입니다.
 각 소방서 구조구급과 에서는 시민들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및 응급처치 방법에 대한 교육을 관할하고 있습니다.
교육 조교는 각 소방서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주로 현직 구급대원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응급처치방법은 여러상황들로 구성되어 있고 어른과 어린아이에게 하는 방법들이 약간의 차이가 있기에 어떤 응급처치를
배우고 싶은지 구체적으로 대상을 정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만약 오유 여러분들이 원하신 다면 다른 응급처치 방법에 대해서 좀 더 자세하게 다뤄보겠습니다.
하지만 가장 좋은 방법은 실습을 통해서 몸으로 습득하는 것입니다.
 날씨가 많이 추워졌습니다. 추위에 대비하여 따뜻한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 오늘도 안전!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