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현기는 차량 문제보다도
게시물ID : car_6833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수프라
추천 : 14
조회수 : 782회
댓글수 : 72개
등록시간 : 2015/07/27 09:02:06
단가 인하 문제를 가지고 가장 먼저 까야 합니다.
왜냐하면 이 문제가 우리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 및 차량 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기 때문이죠.
 
왜 우리나라에는 보쉬나 델파이 덴소와 같은 유명 부품 업체가 하나도 없을까요?
자동차 산업은 전세계 순위권에 들만한 규모인데도 말이죠.
 
결론부터 말하면 현기때문입니다.
현기에 부품이나 소재를 납품하여 수익을 올리는 회사는 매우 많습니다.
아시다 시피 자동차는 수만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고 따라서 그 고용인 수도 장난이 아니게 많죠.
따라서 수익 구조가 합리적이라면 현기가 이만큼 성장하는 동안
내노라 하는 부품 업체가 몇개 생겼어야 합니다.
근데 현실은 대부분의 부품 회사가 진짜 입에 풀칠하고 살기 바빠요.
이유는 현기가 부품 납품 단가를 후려치기 때문이죠.
즉 차를 팔아 벌어들인 수익이 현기에서 그 아래로 흐르지를 않는거죠.
부품은 철저히 기술입니다.
부품 질이 좋아지려면 부품 업체도 나름 연구 개발하고 투자를 해야하는데 그럴 현실이 안되요
그러니까 철저히 현기에 종속될 수 밖에 없습니다. 악순환이죠.
 
이러다보니 현기에 납품하는 회사의 고용인들의 급여 수준도 그렇고 회사 투자 수준도 그렇고
맨날 그모양 그꼴이구요
나아가 부품 질마저 하락합니다.
납품 단가를 낮게 쳐주는데 업체들이 어떻게 나갈까요?
좀더 싼소재 집어넣고 재생 플라스틱 쓰고...
별수 있나요?
그들도 먹고 살아야 하는데...
현기는 이거부터 까고 넘어가야 합니다.
그렇게 한푼 두푼 모은돈으로 얼마전에는 10조짜리 땅도 샀더만...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