옵션 |
|
n차원의 구의 볼륨을 플랑크 볼륨으로 보고 r을 계산해서 플랑크시간으로 나누면?
n차원의 구의 볼륨을 가장 작은 단위의 볼륨으로 보면 가장 작은 1차원적 길이 단위는 n차원 구의 반지름이 될것이고
그러면 가장 작은 길이를 가장 작은 시간으로 나누면 속력이 나온다.
그런데 n을 무한대로 발산시키니 r이 플랑크 길이로 수렴하고
당연히 속력의 결과값이 현재 우리의 광속이 나온다.
정리하면 차원을 무한대로 가져가니 구의 볼룜을 플랑크 볼륨으로 볼 때 r이 플랑크 길이가 되고 현재의 광속으로 수렴한다.
이렇게 되는 것을 검증은 해봤는데 의미를 알지 못하겠네요.
수학적으로 당연한건가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