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영남패권주의’의 세 가지 차원
게시물ID : sisa_693018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느릅
추천 : 0
조회수 : 567회
댓글수 : 4개
등록시간 : 2016/03/18 17:03:02
옵션
  • 펌글
‘영남패권주의’의 세 가지 차원

2011년 5월 20일 김진표 민주당 원내대표가 영등포 당사 대회의실에서 열린 최고위원회 회의에서 이른바 ‘고소영(고려대, 소망교회, 영남권)개각’과 관련해 발언하고 있다. 동아일보

정동영 전 의원이 국민의당에 합류했다. 정체성이 맞지 않는다는 비판이 있지만, 정 전 의원 본인은 김대중-김종필 연대, 노무현-정몽준 연대를 상기시키며 자신의 선택을 정당화했다. 호남 정치를 부활해 정권교체를 이루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아마도 이런 바람은 정 전 의원 혼자만의 생각이 아니라 적잖은 국민의당 참여자와 지지자의 공통적인 소망일 것이다.
연대란 공동의 적이 있을 때 가능하다. 김대중-김종필 연대와 노무현-정몽준 연대는 다양한 세력을 통합해 이회창 당시 보수진영 후보에게 이기기 위한 공동전선이었다. 당시에는 서로 다른 당에 속해 있으면서 연합정부를 구성하는 느슨한 연대였으나 이번에는 같은 당 깃발 아래 모였다. 과거보다 더 강력한 연대라는 뜻이다. 
다양한 의문이 꼬리를 물지만, 국민의당 인사들의 말에 따르면 연대 이유는 ‘기득권 양당의 패권주의 극복’이다. 미국 민주당-공화당 체제에서 보듯 양당제에서 거대 양당이 기득권을 가지는 건 당연하다. 그렇다면 문제는 기득권 양당이 아니라 패권주의다. 정 전 의원은 친노(친노무현)패권주의를 비판했고, 국민의당 주승용 원내대표는 더불어민주당(더민주당)의 친노패권주의가 새누리당의 영남패권주의와 같다고 말했다. 결국 국민의당을 통해 이질적 세력이 연대한 이유는 ‘영남패권주의 극복’이라는 뜻이 된다.................


...............그러나 전남의 소외를 기반 삼아 지역 간 연대를 끌어낼 수 있을지는 의심스럽다. 다른 지역보다 발전 속도가 빠르고 인구도 유입되고 있는 충청지역에서 ‘반영남패권주의 연대’라는 구호에 동참할 것이라 기대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나 TK(대구·경북) 정권 하에서도 경북의 발전이 경기도나 경남보다 앞서나가지 못했음을 고려하면 정권교체가 지역 발전을 보장하지도 않는다는 결론이 나온다.
요약하자면 이렇다. 인종주의적 영남패권론에는 근거가 없다. 엘리트 계층 내부의 영남패권은 정권교체로 수정 가능하겠지만, 전남의 지역 발전 지체는 새로운 기획을 필요로 한다. 결국 영남패권주의 반대라는 깃발을 흔들어 여러 이질적인 세력이 연대한다는 그림은 현실성이 높지 않아 보인다. 다수 대중의 물질적 이해가 접하는 지점이 매우 협소하기 때문이다. 국민의당이 가고 있는 길이 그다지 현명해 보이지 않는 이유다. 
출처 http://weekly.donga.com/List/3/04/11/526558/1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