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산업모드] 원자력 발전에 대하여 (약 스압?)
게시물ID : minecraft_17334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귀찮고
추천 : 5
조회수 : 14426회
댓글수 : 7개
등록시간 : 2013/12/14 02:14:11
저는 일본 마인크 위키에서 보고 배웠고
 
그 내용 대충 번역해서 옮겨와 봅니다 요악해서
 
원자로란?
 
원자로는 연료가 되는 우라늄 > 우라늄 셀을 천천히 소모시키며 열에너지를 생성시켜 발전하는 발전기입니다
원자로안의 우라늄셀은 열이 있어야 발전을 하지만 최종적으로 열은 식혀주지 않으면 안됩니다 
각 우라늄셀은 하나당 최저 틱당 5EU = 초당 10 의 발전력을 가지고 원자로 내부에서 10000초 (약 2시간 47분)동안 연소합니다
토탈 우라늄셀 하나당 100만의 발전이 가능하다는 말이됩니다
 
원자로의 장단점
 
장점
 
어떤 발전기보다 발전단위가 크다
화력이나 지열은 비교도 안될 정도로 연비가 좋다
태양광이나 풍력처럼 장소를 가리지 않고 아무곳에나 설치 할 수 있다
발전기 자체의 제작 비용이 싸다
 
단점
 
대충 설계했다간 대참사
파츠교환이라거나 정기적인 점검이 필요함
파츠가 비쌈
 
 
리액터의 구성
 
챔버
 
원자로
챔버
 
 
 
 
먼저 원자로를 설치 하고 그 근접 6방향(상하전후좌우)에 챔버를 붙여주는걸로 원자로의 슬롯(공간)이 넓어집니다
원자로내의 공간이 넓어질수록 고효율 고출력의 발전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원자로 하나만 설치했을경우 빨간선 부분의 영역, 챔버를 6개 모두 설치했을시에 사진과 같은 공간이 확보 됩니다
 
 
일단 원자로를 설치하고 원자로안에 파츠를 집어 넣고 원자로에
레드스톤 동력(원자로 위에 레버를 설치 추천)을 집어넣는걸로 원자로가 가동하며
스위치를 내리면 원자로가 멈춥니다
원자로 점검을 하때는 꼭 전원을 내리고 하는 습관을 가집시다 (명심)
 
 
원자로 본체의 온도 상승에 의한 주변의 영향
 
원자로자체는 냉각파츠가 없어도 어느정도 열까지는 버틸 수 있지만 아주 일시적인 냉각기능일 뿐
듀얼셀 하나에 7분, 쿼드셀 하나에는 2분밖에 버티지 못하고 터져버립니다
원자로엔 반드시 냉각 계획을 새워서 구성해 줘야 합니다
 
본체온도[%] 주변에 끼치는 영향
40 원자로 중심으로 5x5x5칸의 가연성 블럭이 타오름
50 원자로 중심으로 5x5x5칸의 물이 증발
70 원자로 중심으로 3x3x3칸에 들어가면 피폭피해를 입음
85 원자로 중심으로 5x5x5칸의 블럭을 녹여버리고 용암이 흘러내림
100 핵폭발 발생, 직경 약 27칸의 구체형으로 날라갑니다
 
 
 
우라늄 셀
 
발전의 최중요 키 아이템, 이게 없으면 벌전이 성립이 안됩니다
 
싱글셀
(Uranium Cell)
발전력 5 * P 발열량 P * ( 4 + ( 2 * a )) 펄스1 + a
듀얼셀
(Dual Uranium Cell)
발전력10 * P   발열량P * ( 8 + 4( a + 1 )) 펄스2 + a
쿼드셀
(Quad Uranium Cell)
발전력20 * P  발열량P * ( 16 + 8( a + 2 )) 펄스3 + a
 
여기서 펄스라는건 간단히 말해서 1틱(0.5초)마다 셀이 몇번을 발전하나 라는 말입니다
a는 셀옆에 다른 셀을 하나 붙일때마다 1씩 증가합니다
 
 
 
이렇게 배치했을대 가운데 1번셀은 펄스가 1+ 4로 5 주변 사방 2번셀들은 1+1로 2펄스를 가집니다
 
우란셀5개를 모두 따로따로 놓는다면 각 1펄스로 틱당 5발전으로 합 틱당 25이지만
이런 배치라면 가운데 1번셀은 5펄스x5 로 틱당 25 발전, 주변2번셀들은 2펄스x5x4로 40 합 틱당 65의 발전을 하게 됩니다
 
여기까지만 봐도 알 수 있듯이 같은 량의 자원이라도 적당한 배치를 하는것만으로 배이상 차이가 납니다
 
중성자반사기
 
우라늄셀이 발생시키는 펄스를 우라늄셀에게 돌려주는 파츠입니다
따라서 반사기에 인접한 셀은 옆에 우라늄셀이 붙어있는 마냥 펄스+1의 합산이 됩니다
그러니까 반사기 1개당 100만EU, 두꺼운 반사기는 400만EU의 발전량을 가지는것과 같습니다
 
그런데 소모품!
 
명칭 조합법 내구도
중성자 반사기
(Neutron Reflector)
10,000
두꺼븐 중성자 반사기
(Thick Neutron Reflector)
40000
(어라 왜 깨졌지)
 
근접한 셀의 종류에 따라서 틱당 내구 감소가 달라집니다
셀종류 소모속도
싱글 1
듀얼 2
쿼드 4
 
역시 소모품!
 
냉각셀
 
 
냉각은 중요합니다 아주 중요합니다 대참사를 피하려면 최고로 중요합니다
 
그런데 냉각셀도 소모품!
 
名称 조합법 축열치[Heat]
10K냉각셀
(10K Cooling Cell)
10,000
30K냉각셀
(30K Cooling Cell)
30,000
60K냉각셀
(60K Cooling Cell)
60,000
 
음...이건 버전마다 조합법이 좀 다른듯
 
축열치란 열을 얼마나 담아 낼 수 있는지하는 양입니다
 
 
콘덴서
 
콘덴서는 우라늄셀과 열교환기에서 분배되는 열을 흡수하는 특별한 파츠입니다
냉각셀따위와는 다르게 레드스톤이나 라피즈로 수리가 가능합니다
 
명칭 조합법 축열치[Heat] 레드스톤으로 수리 라피즈로 수리
레드스톤열콘덴서
(RSHCondensator)
20,000 10,000 0
라피즈열콘덴서
(LZHCondensator)
100,000 5,000 40,000
 
(냉각셀과는 다르다.. 냉각셀따위와는!!)
 
 
배열기
 
주변파츠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해서 식혀줍니다 그리고 동시에 1초마다 자기를 냉각해서 열을 내려줍니다
몇몇 파츠는 원자로 자체(아마 원자로 전체의 의미인듯)의 열을 흡수합니다
 
명칭 조합법 자기냉각[H/s] 본체와의 열교환[H/s] 축열량[Heat]
기본형
(Heat Vents)
6 0 1,000
발전형
(Advanced Heat Vent)
12 0 1,000
균등형
(Reactor Heat Vent)
5 5 1,000
오버클럭형
(Over Clocked Heat Vent)
20 36 1,000
광역냉각형
(Component Heat Vent)
4* 0
 
소모품이 아닙니다
열받은 정도에 따라서 내구도가 감소된걸로 표시가 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알아서 회복됩니다
하지만 축열량(열 허용치)을 초과하면 펑!
 
그리고 광역냉각형은 힐끗 보면 장점이 없어보이지만 이놈은 근접하는(상하좌우)모든 파츠를 초당 4씩 냉각 해줍니다
 
열교환기
 
(고환기가 아냐)
 
원자로에서 발생하는 열을 골고루 퍼트려 줍니다  뜨거운건 차갑게 차가운건 뜨겁게...
는 열을 발하는 녀석에게서 열을 빼와서 열을 식혀주는 놈에게 전해주는 파츠라 보시면 됩니다
원자로 전체의 열을 균등하게 해주는놈이랑 근접한놈만 케어 해주는 놈이 있습니다
 
명칭 조합법 본체와 열교환율[H/s] 근접파츠와 ㅇㄹ교환률[H/s] 축열량[Heat]
기본형
(Heat Exchanger)
4 12 2500
발전형
(Advanced Heat Exchanger)
8 24 10,000
코어특화형
(Reactor Heat Exchanger)
72 0 5,000
사이드특화형
(Component Heat Exchanger)
0 36 5,000
 
 
리액터플레이트
 
리액터(원자로) 자체의 열 허용량을 줄여주고 폭발시의 피해를 줄여주는 놈이긴 한데...
써본적이 없습니다 패스
 
名称 レシピ 내열강화[Heat] 융해피해감소[Heat] 폭발범위감소[%]
기본형
(Reactor Plating)
1,000 850 -5
내열형
(Heat-Capacity Reactor Plating)
1,700 425 -1
대폭발형
(Containment Reactor Plating)
500 1,700 -10
 
 
증식로
 
원자로 발전효율을 늘리는걸로만 만족하시면 아직 멀었습니다
우라늄셀은 발전이 끝나면 일정확률료 열화 우라늄셀을 남기고
이걸 다시 농축하는 작업을 거쳐서 재사용 할 수 있습니다 (우오옹 우라늄 절약!)
 
발전이 끝났을때 랜덤하게 뜨는걸 기대 할수도 있지만 일부러 열화 우라늄셀을 만드는 법도 있습니다 (는 불려서 쓰기)
 
농축 방법은 발전중인 우라늄셀 옆에 놓고 열받게 하는겁니다 농축이 완료되면 농축 우라늄셀로 바뀌고
이걸 석탄가루와 조합하면 우라늄셀 하나(새거)가 뙇하고!
 
名称 レシピ 備考
열화 우라늄셀
(Near-Depleted Uranium Cell)
우라늄을 일부러 쪼끔넣은 셀, 이대로는 사용 못함
농축용열화우라늄셀
(Depleted Isotope Cell)
열화우라늄셀에 석탄가루를 끼얹은것, 이걸  원자로에 넣어서 농축하면..!!
농축된우라늄셀
(Re-Enriched Uranium Cell)
석탄가루 밑에 있는게 농축이 막 끝난놈
이걸 석탄가루와 섞어주면 이렇게 크고 아름다운 새 우라늄셀이..!!
가열셀(Heating Cell)
일부러 열을 발생시키는 장치
앵간히 농축로 설계를 잘하거나
앵간히 미친사람 아니고는 쓸일이 없으니 패스
 
 
원자력 발전을 하면서 함께 농축작업을 할 수도 있지만 아예 따로 농축로를 하나 더 설치해서 가동하는게 관리하기 편합니다
 
온도에 따른 농축 속도
 
농축용 열화 우라늄셀의 내구도는 9999로 이게 0이 되야 농축이 완료되며
본체가 뜨거우면 뜨거울수록 초당 농축 속도가 올라갑니다
 
본체 온도[Hull] 농축 속도
0-2,999 1
3,001-5,999 2
6,001-8,999 3
9,001-11,999 4
 
뜨거울수록 좋지만 위 험 해
 
 
실제로 리액터를 구성해 보쟈
 
ReactorPlannerVersion3
 
http://www.talonfiremage.pwp.blueyonder.co.uk/v3/reactorplanner.html
 
(링크가 안걸렸었다니)
 
요게 뭐냐면 리액터 플래너입니다
영어긴 하지만 (못알아먹진 않을거 아냐) 여기다가 각 파츠를 넣어보고 효율이 얼마나 되는가 언제터지는가 알아 볼 수 있습니다
 
 
 
음...
 
 
뭐 더 쓸게 있나?
 
 
 
 
(뭐 이상하거나 궁금하신게 있으면 댓글러)
(아는 범위에서 설명이 설명설명)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