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서울시청앞 광장ㆍ명동성당서 `6월의 함성' 재현
게시물ID : humorbest_698991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시사뷰타임즈
추천 : 53
조회수 : 2260회
댓글수 : 0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3/06/20 13:42:59
원본글 작성시간 : 2013/06/20 13:30:13
 
 
서울시청앞 광장ㆍ명동성당서 `6월의 함성' 재현

 "6월 항쟁은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민주 열사들의 정신을 계승해 민주주의를 완성합시다"

1987년 6월 민주주의를 갈망하는 시민의 함성이 전국 방방곡곡에 울려 퍼진 지 꼭 20년째인 10일. 서울 광화문과 명동 성당에서 그 날의 함성이 재현됐다.

`87년 6월항쟁 20주년 계승 민간조직위원회' 소속 500여명은 이날 오후 서울 시청앞 광장에 모여 6ㆍ10 항쟁의 의미를 되새겼다.

6월 항쟁 당시 학교 동기들과 함께 거리로 뛰쳐나와 `독재타도'를 목이 터져라 외쳤던 건국대 사학과 87학번 정용수(40)씨는 이날 집회에 참가해 20년 전 당시를 다시 떠올렸다.

정씨는 "학과에서 집회에 참여키로 결의, 친구들과 광화문으로 뛰쳐나와 독재정권 타도와 민주화를 외쳤다"며 "군부정권이 무너진 뒤 당시 민주세력이라고 하던 김대중, 노무현 정권이 잇따라 들어섰지만 아직 우리의 삶이 크게 나아진 게 없어 아쉽다"고 말했다.

그는 "아이들이 어려서 아직은 민주주의에 대해 잘 이해하지 못 하겠지만 아버지 세대가 했던 일에 대해 조금씩 이야기해줄 것"이라며 함께 나온 아들과 딸을 사랑스러운 눈길로 바라봤다.

민간조직위는 고(故) 박종철 열사의 아버지 박정기씨와 이한열 열사의 어머니 배은심씨의 `범국민 대행진 선포식'을 가진 뒤 명동성당까지 행진을 벌였다.

박씨는 "87년 6월 항쟁 뒤 20년이 지난 지금 시청앞 광장은 상전벽해란 말이 무색하리만큼 많이 변했지만 민주주의를 바라는 우리들의 뜻은 아직 이뤄지지 않았다"며 "민족과 민중의 뜻이 이뤄지는 그 날까지 행진을 멈춰서는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20년전 그 장소에서 집회하는 시민들
20년전 그 장소에서 집회하는 시민들

조직위는 20년전 그 날처럼 `호헌철폐', `독재타도'를 외치면서 시청앞 광장에서 남대문을 거쳐 명동성당까지 2∼3개 차로를 이용해 행진했으며 행진대열이 지나는 길목 곳곳에선 6월 항쟁의 의의와 과제 등이 담긴 유인물이 뿌려졌다.

행진대 속에는 윗통을 벗고 태극기를 펼쳐들며 허리가 휘어지도록 민주화를 외치던 흑백사진 속의 청년과 6월 항쟁에 앞장 섰던 종교계 인사들, 산업 노동자, `넥타이 부대', 학생들이 오롯이 숨쉬고 있었다.

이화여대 84학번으로 항쟁에 참여했던 배외숙(43.여)씨는 "아직 민주화는 완성되지 않았다. 고된 서민들의 삶이 당시와 비교해 달라진 게 없다"며 "민주 열사들의 정신이 살아 숨쉬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행진을 지켜보던 박노철(54)씨는 "당시 집회에 참여하진 못 했지만 마음은 함께 했었다"며 "오늘 행진대를 보니 20년 전 그 날이 떠올라 감개무량하다"고 전했다.

조직위는 이날 6월10일을 국가기념일로 지정하자는 시민 서명운동을 펼치기도 했다.

남윤인숙 한국여성단체연합 대표는 6월 항쟁의 정신을 이어받아 미완의 민주주의를 완성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6월 항쟁은 수많은 민주 투사가 피와 땀을 흘린 결과이지만 사회 양극화와 치솟는 교육비, 집값 등으로 우리는 아직 민주주의를 느낄 수가 없다. 사회공동체에 대한 고민으로 민주주의를 꽃 피워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학별 시국선언문 보기
http://thesisaviewtimes.com/bbs/board.php?bo_table=m11&wr_id=880
 
[SVT]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