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치명적인독을지닌 복어
게시물ID : humorbest_699395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전설의선수
추천 : 48
조회수 : 16325회
댓글수 : 9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3/06/21 01:42:31
원본글 작성시간 : 2013/06/20 13:24:17

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HUAcN
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n0LEq

 

봄에서 여름에 이르는 시기, 산란기를 맞은 복어에 독이 잔뜩 올랐다. 청산가리의 10배가 넘는 테트로도톡신이라는 맹독은 해독제조차 없다. 그러다 보니 복어는 언제나 사람들에게 두려움의 대상이다. 가끔 복어 독에 의해 목숨을 잃는 경우가 보도되면서 마치 복어가 흉측한 괴물이라도 되는 듯 비추어지기도 한다. 하지만, 복어의 독은 자기 방어를 위한 가장 수동적인 수단일 뿐이다.
 
해독제조차 없는 치명적인 독 때문에 복어는 언제나 사람들에게 두려움의 대상이다.
해독제조차 없는 치명적인 독 때문에 복어는 언제나 사람들에게 두려움의 대상이다.
 
 
복어의 위협적인 독은 사실 ‘수동적’ 자기방어의 수단
복어는 몸놀림이 그리 민첩하지 못해 쫓아오는 포식자를 따돌리기 어렵다. 위협을 느끼면 몸체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작은 가슴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를 열심히 파닥거리며 도망쳐보지만, 그런 느린 움직임으로는 생사의 위험에서 벗어날 수 없다. 한계에 부닥친 복어는 물을 빨아들여 몸을 서너 배까지 부풀려 포식자를 위협한다. 대개 복어를 쫓던 포식자는 돌변한 기세에 주춤할 수밖에 없다. 만약 이러한 경고에도 불구하고 이들을 잡아먹으면, 복어는 껍질과 고기, 내장 등에 포함된 테트로도톡신이라는 맹독 성분으로 포식자에게 치명상을 입힌다. 그런데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는 120~130종의 모든 복어가 독을 가지는 것은 아니다. 황복, 자주복, 까치복, 검복은 독성이 강하고 밀복, 가시복, 거북복의 독성은 약하다. 독이 강한 복어일수록 맛이 좋아 사람들이 즐기는 편이니, 복어 독과 맛은 어느 정도 상관관계가 있다고 볼 수도 있다.
 
복어는 움직임이 느리고 몸체에 비해 작은 지느러미를 가지고 있어, 포식자의 위협에 민첩하게 도망치지 못한다. 몸이 느려 해조류 사이에 몸을 숨기고 있는 복어의 모습(왼쪽). 복어가 작은 지느러미를 움직여 도망치는 모습(오른쪽).
복어는 움직임이 느리고 몸체에 비해 작은 지느러미를 가지고 있어, 포식자의 위협에 민첩하게 도망치지 못한다.
몸이 느려 해조류 사이에 몸을 숨기고 있는 복어의 모습(왼쪽). 복어가 작은 지느러미를 움직여 도망치는 모습(오른쪽).
 
 
최대 80% 치사율의 맹독은 바로 ‘테트로도톡신’

테트로도톡신은 주로 난소나 간에 있지만, 종에 따라 위와 장, 껍질, 정소에 맹독 성분이 있는 것도 있다. 복어는 반드시 전문가가 조리한 것만 먹어야 하는데 난소와 알, 간, 내장, 껍질 등 독성이 있는 부위를 완전히 제거하고 물로 깨끗이 씻어내야 한다. 혹시 있을지 모를 독을 씻어내기 위해 물을 많이 사용하다 보니 ‘복어 한 마리에 물 서 말’이란 속담이 생겨났을 정도다.
 
어류학자인 정문기 박사는 [어류박물지]에서 테트로도톡신의 위력이 청산가리의 10배가 넘는다고 밝히고 있다. 중독되면 입술 주위나 혀끝이 마비되면서 손끝이 저리고 구토를 한 뒤 몸 전체가 경직되는데 결국 호흡곤란으로 사망하게 된다. 이런 증상은 30분 이내에 시작되어 한 시간 반에서 여덟 시간 만에 치사율이 40~80퍼센트에 이른다. 복어 독에 의한 사망 여부는 보통 중독 뒤 여덟 시간 이내에 결정된다.
 
테트로도톡신은 해독제가 없다 보니 중독되면 독을 희석시키기 위해 다량의 물을 투입하여 위장을 씻어내야 한다. 중독 시 생사는 초기대응에 달려 있다. 일단 중독되면 몸이 마비되어 스스로 숨을 쉴 수가 없으므로 병원으로 이송하는 동안 반드시 인공호흡을 통해 호흡을 유지해야 한다. 구사일생으로 살아난 사람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의식은 있는데 몸이 마비되어 전혀 움직일 수 없어, 죽음에 대한 두려움으로 극심한 공포를 겪었다고 한다.

복어의 독은 테트로도톡신으로, 치사율이 최대 80%에 이를 정도로 위력적이다. 테트로도톡신의 분자구조. <출처: Yikrazuul at en.wikipedia>
복어의 독은 테트로도톡신으로, 치사율이 최대 80%에 이를 정도로
위력적이다. 테트로도톡신의 분자구조. <출처: Yikrazuul at en.wikipedia>
 
 
복어는 어떻게 독을 만들까?

복어가 어떤 방식으로 독을 만들어내는지는 오래 전부터 연구의 대상이 되어왔다. 혹자는 유전적으로 독을 가지고 있다고 말하기도 하지만, 일본 나가사키 대학의 아라카와 오사무 해양생물학 교수가 독이 없는 복어 양식에 성공하면서 복어 독에 대한 비밀이 벗겨졌다. 아라카와 교수는 복어에게 고등어 등 무독성 먹이만 먹여 양식했는데, 이렇게 수 년 동안 양식된 복어에서는 독 성분이 조금도 검출되지 않았다고 한다. 결국, 복어는 불가사리갑각류, 납작벌레 등 자체에 독이 있는 먹이를 먹기 때문에 몸에서 독이 만들어진다는 사실이 입증된 것이다. 독이 없는 복어를 양식하는 데 성공하긴 했지만, 본격적으로 유통되기는 어렵다. 독이 없는 양식 복어와 독이 있는 자연산 복어의 겉모습이 똑같아 자연산 복어를 독이 없는 양식 복어로 착각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독보다 가시, 독특한 외양으로 주목 받는 가시복어

독이 없는 복어 중 특이한 외양을 가진 것으로는 가시복어가 있다. 가시복어는 독 대신 몸에 강하고 긴 가시를 가지고 있다가 포식자에게 쫓기게 되면 다른 복어와 마찬가지로 몸을 부풀리는데, 이때 평상시 옆으로 누워 있던 가시들이 몸이 팽창되면서 꼿꼿하게 곧추서게 된다. 이쯤 되면 가시복어를 쫓던 포식자가 놀랄 수밖에 없다. 몸이 부풀어 커진데다 가시까지 돋아 있으니 한입에 삼킬 수도, 물어뜯을 수도 없는 노릇이다. 또한, 가시복어는 튼튼한 이를 가지고 있어 포식자의 기가 꺾이면 바로 반격에 나서기도 한다. 가시복어는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온대와 열대의 전 세계 해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며, 고기에 독이 없어 식용할 수 있다.
 
가시복어는 위기의 순간 독 대신 강하고 긴 가시로 자신을 방어한다. 평상 시 가시복어의 모습(왼쪽)과 가시를 곧추세운 모습(오른쪽).
가시복어는 위기의 순간 독 대신 강하고 긴 가시로 자신을 방어한다. 평상 시 가시복어의 모습(왼쪽)과 가시를 곧추세운 모습(오른쪽).
 
 
물이나 공기를 채워 몸을 부풀리는 특성, 이름의 유래가 되기도
복어는 물 속에서는 입으로 물을 마셔 위장 아랫부분에 있는 ‘확장낭’이라는 신축성 있는 주머니에 물을 채운 후 식도의 근육을 축소시켜 물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여 몸을 부풀린다. 낚시에 걸려 물 밖으로 나왔을 경우에는 아가미구멍을 통해 공기를 들이마셔 확장낭을 채운다. 물 속에서 들이마시는 물의 양은 체중의 배 이상도 가능하다. 이처럼 배를 부풀리는 습성을 이름에 담아내고자 했던지, 복어의 이름은 ‘배(腹)’와 관련이 있다. 영어로 '퍼퍼(Puffer)'라 부르는 것도 복어가 물과 공기를 빨아들이면 ‘펍’하고 부풀어 오르는 데서 따왔다.
 
복어는 몸의 ‘확장낭’이라는 주머니에 물이나 공기를 가득 채워 몸을 부풀린다.
복어는 몸의 ‘확장낭’이라는 주머니에 물이나 공기를 가득 채워 몸을 부풀린다.
 
 
세계의 별미, 복어

복어는 전 세계적으로 120~130종이나 있지만, 식용 가능한 종류는 참복과 황복, 자주복, 검복, 까치복, 은복, 복섬, 밀복, 졸복, 가시복, 거북복 등 몇 종류가 되지 않는다. 복어가 가진 독특한 미감은 오래 전부터 전 세계의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아 왔다. 미식가들은 복어를 철갑상어 알인 ‘캐비아’와 떡갈나무 숲의 땅속에서 자라는 버섯인 ‘트러플’, 거위 간 요리인 ‘푸아그라’와 함께 세계 4대 진미로 꼽기도 한다. 중국 북송 시대의 시인 소동파는 복어 맛을 가리켜 “사람이 한 번 죽는 것과 맞먹는 맛”이라 극찬했다. 복어를 좋아하기는 일본인도 매한가지이다. “복어를 먹지 않는 사람에겐 후지산을 보여주지 말라”는 말이 있을 정도다. 우리나라에서는 참복을 최고로 치지만, 중국에서는 황복이, 일본에서는 자주복이 인기가 있다. 복어는 이외에도 가까이는 동남아시아 지역의 사람들과, 멀리는 이집트인들도 먹는다. 이집트에서는 복어 껍질로 만든 지갑이 행운을 가져다준다는 믿음이 있다. 아마 복어의 몸이 부풀어 커지는 데서 연유한 상징적 의미일 듯하다.
 
 
ps. 저는 태어나서 복어한번도안먹어봤고 앞으로도 죽을때까지안먹려고요.  하지만 생긴게되게 까리해서 나중에키우볼생각은있어요.
출처-네이버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