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영상리뷰
VIDEO
트루먼 쇼 일러스트 그리신 분의 출처를 찾습니다.
출처를 남기고 싶은데, 출저가 정확치 않아 말씀드리지 못하고 썼습니다.
2. 활자 리뷰
< 트루먼 쇼 > 는 지금으로부터 약 10 년 전인 1998 년 10 월 24 일에 개봉한 영화입니다 .
사람들이 < 트루먼 쇼 > 를 보고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이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너무도 많은 사람들이 엔딩 장면을 말할 것입니다 .
그런데 여기서 질문을 하나 드리고 싶습니다 .
< 트루먼 쇼 > 의 오프닝 장면을 기억하시는지요 ?
저는 영상을 보시는 많은 분들이 오프닝 장면은 크게 기억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그래서 이번 영상에서는 < 트루먼 쇼 > 의 오프닝 약 2 분을 분석하여 ,
그 속에 담겨져 있는 메시지와 의미 , 그리고 개인적 해석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
먼저 < 트루먼 쇼 > 가 상영됨과 동시에 나오는 장면입니다 .
영화 시작과 동시에 제작자 크리스토프가 ‘ 트루먼쇼 ’ 에 대한 설명을 합니다 .
그런데 바로 그 다음 장면에서
트루먼이 ‘ 이 쇼에서 자신을 데리고 나가 달라고 외치는 것 같은 모습 ’ 을 보여줍니다 .
여기서 한 가지 알아야 할 정보가 있는데 ,
‘ 트루먼 쇼 ’ 에서 트루먼은 자신이 살고 있는 공간이 하나의 프로그램이 라는 것을 알지 못합니다 .
그렇기 때문에 제작자가 있는지 없는지도 알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
그런데 이런 상황 속에서 트루먼이 이 세상에 대한 불평을 늘어놓는 장면을 가장 첫 장면으로 보여줬습니다 .
저는 이 장면이
쇼를 만든 주인공과 쇼 안에서 쇼인지를 모르고 살아가는 주인공의 대비된 삶과 생각을 보여주는 장면
이라 봤습니다 .
그리고 이를 통해 두 사람이 가공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지를 알려주는
‘ 복선 ’ 을 말하는 장면이 바로 오프닝과 동시에 보여주는 두 사람의 대사라 언급하고자 합니다 .
이와 동시에 영화 속 가장 큰 주제인 ‘ 당신은 관음증에 중점을 두고 영화를 볼 것인가 ? ’와 함께
‘ 태어났을 때부터 프로그램이라는 쇼 윈도우에서 삶을 지내는 트루먼을 중심으로 영화를 볼 것인가 ? ’
이 두 가지 질문에 대한 선택도 말해주는 장면이라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
< 트루먼 쇼 > 의 감독인 피터 위어는 이와 같은 편집을 통해
‘ 트루먼 쇼 ’ 제작자 크리스토프와 트루먼이 관객을 사이에 두고 대화를 하는 것 같은 느낌을 주게 합니다 .
그럼 두 사람의 대화를 좀 더 자세히 분석해보겠습니다 .
먼저 크리스토프가 말합니다 .
“ 관객들이여 . 트루먼은 가짜가 아니다 . 각본이 없기 때문에 그는 진짜 인생을 삽니다 .”
그러자 트루먼이 말합니다 .
“ 관객들이여 . ( 생방송 속에서 ) 나는 가망이 없다 . 하지만 죽는 한이 있어도 이 상황을 함께 극복하자 .”
그 다음 , 크리스토프가 말합니다 .
“ 이 프로는 시청자들에게 위안을 줍니다 . ( 당신도 그렇게 생각하나요 ?)”
이 말에 트루먼이 반박합니다 .
“ 크리스토프 , 자네 미쳤구먼 ? ( 당신도 그렇게 생각하나요 ?)”
그리고 이 장면이 지나가면 ,
트루먼의 부인 역할을 맡은 ‘한나 길 ’, 트루먼 쇼에서는 ‘메릴 ’ 라는 역할을 맡은 그녀를 보여주며
그녀가 트루먼 쇼에 임하는 자세에 대한 인터뷰가 나옵니다 .
아 !! 여기서 잠시 .
중간 중간에 배우들의 이름이 나오는 자막을 잠시 보겠습니다 .
이 배우들의 이름은 영화 < 트루먼 쇼 > 에 출연한 배우들의 이름이 아닙니다 .
TV 프로그램 ‘ 트루먼 쇼 ’ 에서 출연한 배우들의 이름입니다 .
이게 무슨 말이냐면 , 관 객이 보는 영화 오프닝이 < 트루먼 쇼 > 오프닝 장면이 아닌 ,
TV 프로그램 ‘ 트루먼 쇼 ’ 의 오프닝 장면이라는 것입니다 .
한나 길 , 루이스 콜트레인
이 이름은 TV 프로그램 ‘ 트루먼 쇼 ’ 에 출연한 출연자들의 본 이름입니다 .
TV 프로그램 ‘ 트루먼 쇼 ’ 에서 한나 길이라는 배우는 트루먼의 아내인 ‘ 메릴 버뱅크 ’ 라는 역할을 맡고 있는 것이고 ,
배우 루이스 콜트레인은 트루먼의 둘도 없는 친구 ‘ 말론 ‘ 역을 맡은 배우라는 걸 소개하는 영상입니다 .
그렇습니다 .
처음 2 분의 오프닝 장면은 영화 < 트루먼 쇼 > 의 오프닝이 아닌 ,
TV 라이브 프로그램 ‘ 트루먼 쇼 ’ 의 오프닝 장면 인 것입니다.
그리고 소개 자막이 넘어가면 ,
트루먼의 아내 ‘ 메릴 버뱅크 ’ 역할을 맡은 한나 길라는 여배우가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
“‘ 트루먼 쇼 ’ 는 나의 삶이다 .”
하지만 영화 < 트루먼 쇼 > 의 중후반부에 메릴이 트루먼에 의해 겁을 먹고 일을 못하겠다 말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
그래서 ‘ 트루먼 쇼 ’ 가 자신의 삶이라 말하는 연기자 한나 길에게 트루먼이 말합니다 .
“ 그게 어쩔 수 없다고 ? 그럼 내가 죽거든 내 시체를 먹고 힘을 내줘라 . 메스꺼운 인간아 .”
트루먼의 대사가 끝나면 트루먼의 영원한 친구 말론 역할을 맡은 루이스 콜트레인이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
“ 약간의 통제는 있지만 ‘ 트루먼 쇼 ’ 는 진짜다 .”
하지만 그 역시도 자신이 직접 트루먼을 위로하는 것이 아닌
제작자 크리스토프의 아바타가 되어 그를 위로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
이처럼 두 사람의 인터뷰엔 어폐 가 있습니다 .
그들은 이미 ‘ 트루먼 쇼 ’ 가 진짜 자신의 인생이 아님을 알고 있습니다 .
뿐만 아니라 약간의 통제라 말하는 것이 트루먼이라는 한 인간에게 너무도 많은 상처를 남기게 했죠 .
이처럼 영화 < 트루먼 쇼 > 는 2 분이라는 오프닝을 통해 제작자 , 출연자 , 그리고 그들에 의해 착취를 당하는
주인공 트루먼의 편집된 대화를 보여주면서 이것이 ‘ 미친 방송 ’ 이라는 걸 밝히고 있습니다 .
즉 트루먼이라는 인물에게 수백 명의 사람들이 빨대를 꼽고 그를 착취하는 현장인 것이죠 ,
그래서 저는 영화 < 트루먼 쇼 > 의 감독인 피터 워어가
“ 나의 시체를 먹고 힘을 내줘라 . 메스껍다 .” 라는 대사를 넣었다고 생각합니다 .
그런데 여기서 또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제작자 크리스토프가 했던 말을 되새겨 보고자 합니다 .
크리스토프는 TV 라이브 프로그램 ‘ 트루먼 쇼 ’ 에 대해 설명을 합니다 .
그리고 2 분 간 봤던 장면은 영화가 아닌 라이브 프로그램의 오프닝이었습니다 .
왜 영화 < 트루먼 쇼 > 를 만든 피터 워어가 이렇게 연출을 했을까 ?
저는 개인적으로 이걸 보고
관객도 모두 트루먼 쇼를 구경하는 관객이자 , 시청자이자 , 이 범죄의 공범으로 만드는 기법으로 사용하기 위해
이러한 연출을 한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
물론 누군가는 ‘ 인간의 존엄성을 해치는 영화 ’ 를 끝까지 볼 수 없을 수도 있겠죠 .
그런데 그렇다고 해도 그 관객이 극장을 나갈 수는 없습니다 .
왜냐하면 외로운 주인공 ‘ 트루먼 ’ 이 자신과 끝까지 함께 하자고 말했으니까 요.
이처럼 < 트루먼 쇼 > 는 영화의 첫 시작부터 영화가 가지고 가려는 아이덴티티를 분명하게 밝히고 있습니다 .
그리고 이를 통해 , ‘ 우리는 모두 TV 라이브 프로그램 ‘ 트루먼 쇼 ’ 제작에 공범이고 , 또 방관자이며 , 시청자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트루먼의 여정을 끝까지 함께 바라봐야 한다 .' 라고 감독은 말합니다 .
왜냐하면 아까도 이야기 했 듯 ,
그는 수백 명에게 착취당하는 외롭고도 슬픈 주인공이기 때문입니다 .
그래서 관객은 그를 응원하고 그의 행동에 끝까지 환호와 찬사를 보내야 한다고
감독 피터 워어는 < 트루먼 쇼 > 오프닝 장면을 통해 말해주고 있습니다 .
그런데 여기서 조금 재밌는 현상이 만들어집니다 .
이와 같은 연출기법으로 인해 영화 < 트루먼 쇼 > 를 제작한 ‘ 피터 위어 ’ 감독이
마치 TV 라이브 프로그램 ‘ 트루먼 쇼 ’ 의 제작현장을 고발하는 고발자처럼 보이게 만들어버렸습니다 .
즉 ‘ 픽션 ’ 으로 만들어진 영화가 ‘ 팩트 ’ 가 돼버리면서 순식간에 다큐멘터리의 색을 가지게 된 것 입니다.
이로 인해 감독이자 고발자인 ‘ 피터 위어 ’ 가 철저하게 중립적인 노선을 걷는 것처럼 보이게 되면서
관객의 감정선을 보다 쉽게 움직이게 만드는 위치에 놓이게 됩니다 .
감독은 이 위치를 이용하여 영화를 보는 관객에 게 트루먼이 겪고 있는
아픔과 고통 , 그리고 공허함을 보다 쉽고 깊이 있게 전달하는 효과를 누립니다 .
그래서 이 영화를 본 많은 사람들이 ‘ 나 역시 트루먼 쇼 속에서 살고 있진 않을까 ?’ 라는 질문과 혼란을 가지게 했다고 생각 합니다.
이처럼 < 트루먼 쇼 > 는 영화 도입부를 통해 복선과 메시지 그리고 감독의 인자기급 위치 선정을 통해
관객들이 영화 속에 깊이 빠져들게 만들었습니다 .
그리고 이를 통해 , 트루먼의 여정을 심히 공감하며 영화를 바라볼 수 있게 만들기도 했습니다 .
그리고 이야기 끝에서 그의 선택에 박수와 갈채를 보내게 합니다 .
그럼 여기서 우리는 제작자 크리스토프를 악으로 봐야 할 것인가 ?
저는 아니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
그는 트루먼을 자신의 자식처럼 생각한 인물 입니다 .
그것을 단적으로 말해주는 장면이 한 바탕 소동을 벌인 뒤 ,
잠자는 트루먼을 쓰다듬는 장면으로 유추할 수 있습니다 .
이 전 장면에서 트루먼의 첫 사랑인 ‘ 실비아 ’ 가 작은 화면에 비치는 트루먼을 쓰다듬는 장면이 나옵니다 .
그리고 곧이어 크리스토프가 트루먼을 쓰다듬는 장면이 나옵니다 .
실제로 크리스토프는 트루먼에게 썩은 진짜 세상이 아닌 사회와 유사한 유토피아를 만들어주고자 했습니다 .
이상하지만 , 행복한 나라의 앨리스를 만들고자 했습니다 .
허나 아기가 소년이 되고 , 또 청소년이 되고 , 청년이 되면 , 부모의 곁을 떠나 자신의 삶과 길을 만들어나갑니다 .
그래서 영화의 첫 장면에서 트루먼은 자신의 아내역할을 맡은 한나 길과
친구인 말론 역할을 맡은 루이스 콜트레인에게는 ‘ 나의 시체를 먹고 힘을 내라 ’ 비난 했지만,
크리스토프에게는
‘ 당신이 생각하고 만든 세상은 내가 원하는 것이 아니다 . 내가 그런 세상을 원한다고 생각하면 당신은 미친 거다 .’
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
그렇기 때문에 트루먼이 마지막에 그와 같은 엔딩을 보여주며 자신의 길을 떠났다 생각합니다 .
저는 < 트루먼 쇼 > 가 부모가 아이의 삶에 너무도 많은 관여를 하여 생기는 가족 간의 이념적 갈등 과
관음증이라는 인간의 습성 ,
그리고 더 나아가 썩어버린 현실 세계 ( 대표적으로 빌 클린턴의 지퍼 스캔들 ) 에 대한 우회적 비판을 담은 영화 가
바로 < 트루먼 쇼 > 라고 소개 하면서 리뷰 마치고자 합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