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깜박이 안켜는 차량이 많아진 이유.
게시물ID : car_70591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푸쉬킨
추천 : 9
조회수 : 1671회
댓글수 : 7개
등록시간 : 2015/09/04 15:04:19
70.png
운전을 하다 보면 우리나라 운전자 분들 

방향전환, 차선 변경때 깜박이 안켜는 분들 엄청 많습니다. 

특히 비오는 날 그런 차들 보면 깜짝 놀랄 때가 한두번이 아니네요 

개인적으로 대체 왜들 이렇게 하시나 생각해 보았는데 이런게 아닐까요 


<기본> 

방향지시등은 운전자 간 상호 정보교환이다 

방향전환, 차선 변경 30미터 전에 미리 깜박이를 켜서 뒷 차에 이를 알려준다 


<전개>

=> 한국의 도로에서 차선 변경을 위해 깜박이를 켜면 뒷 차는 속도를 줄이는게 아니라 

"어딜 끼어들어!" 하며 오히려 풀악셀을 밟고 들어 온다. 

=> 한국에서는 깜박이를 켜던 안켜던 양보 안해주는 것은 같고 독일처럼 벌금을 무는 것도 아니다 
 

<결론> 

1. 깜박이를 안켜고 걍 드리민다. 

2. 들어가며 동시에 깜박이를 켠다. 



생각해 보면 

1. 깜박이를 켜는 차량을 보면 일단 속도를 줄인다. 

2. 횡단보도 주변에 사람 냄새만 나도 일단 정차한다. 

즉 양보하며 운전한다. 


이 두가지만 지켜도 대한민국 차량간 접촉 사고, 보행자 사고 절반 이상은 줄어 들거 같습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