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오늘은 조금 긴분량을 해봤습니다.
게시물ID : english_7075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이기ㅎ
추천 : 0
조회수 : 248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3/07/10 21:42:54
1. CULTURE PROVIDES ADAPTIVE SOLUTIONS For humans, many of the most demanding adaptive challenges involve dealing with other humans. These challenges include selecting mates, cooperating in hunting and in gathering, forming alliances, competing for scarce resources, and even warring with neighboring groups. This dependency on group living is not unique to humans, but the nature of relations among and between ingroup and outgroup members is especially complex in human societies.
문화는 적응적 해결책을 제시한다. 인간에게, 가장 많이 요구되는 적응적 도전들은 다른 사람들과 거래 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런 도전들은 친구를 선택하고, 협력해서 수렵과 채집을 하고, 동맹을 구성하고, 부족한 자원을 위해 경쟁하고, 이웃 집단들과 전쟁까지 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집단적 삶에 대한 의존은 인간에게 특이한 것은 아니지만, 이중 내집단멤버와 외집단멤버의 자연관계는 인간 사회에서 특히 복잡하다.
 
2. The complexity of living in groups gives rise to culture, and culture`s various aspects are transmitted from one generation to the next through learning. For instance, our musical and food preferences, our ways of expressing emotion, our tolerance of body odors, and so on are strongly affected by cultures we are raised in. Many of a culture`s "rules" reflect adaptive solutions worked out by previous generations. In contrast to human biological evolution, which has taken place over several million years, cultural evolution has occurred much faster, and the most dramatic cultural changes have come in the last few thousand years. Although humans have changed only modestly in physical terms in that time, they have changed profoundly in regard to how they live together.
집단 내 삶의 복잡한 특징은 문화가 생기게 했고, 문화의 다양한 관점은 학습을 통해 대대로 전해졌다. 예를 들면, 우리의 음악적 선호도와 음식 선호도는(우리의 감정을 표현하는 방식이고, 우리 체취에 대한 내성이고, 기타 등등) 우리가 자란 문화에 의해 강하게 영향을 받는다. 다양한 문화적 규칙은 지난 세대에 의해 진행된 적응적 해결책을 반영한다. 인간의 생물학적 진화와는 대조되어, 이것은 지난 수 백 만년 동안 발생해왔고, 문화적 진화는 훨씬 더 빨리 발생 했다, 그리고 가장 극적인 문화적 변화는 지난 몇 천 년 전에 발생했다. 비록 그때 인간의 물리적(신체적) 변화가 약간 이뤄졌을 지라도, 어떻게 서로 함께하는지에 관련해서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3.Even within the last century, there have been dramatic changes in how human societies interact. The flow of people, commodities, and financial instruments among all regions of the world, often referred to as globalization, has increased in velocity and scale over the past century in ways that were previously unimaginable. Even more recently, the Internet has created a worldwide network of humans, essentially a new form of culture with its own rules, values, and customs.
지난세기에는, 인간이 어떻게 사회적 소통을 하는지에 있어 극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사람의 흐름, 상품, 세계 전 지역 간 경제적 수단. 종종 언급되는 세계화처럼, 지난 100년간 과거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방식들로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변해왔다. 더 최근에는, 인터넷이 전 세계적 네트워크를 만들었고, 이는 이 스스로의 규칙, 가치, 그리고 풍습이 있는 근본적으로 새로운 형태의 문화이다.
 
4.Over the past decade, recognition has grown that culture plays a foundational role in shaping how people view and reason about the world around them-and that people from different cultures possess strikingly different minds. Research by the social psychologist Richard Nisbett, for example, has demonstrated that people from most Asian countries have a world view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people from most European and North American countries. Metaphorically speaking, Nisbett`s work has suggested that westerners tend to miss the forest for the trees, focusing on single elements in the forefront, whereas those from eastern cultures tend to overlook single trees, focusing on the entire forest in the background.
지난 10년 동안, 문화가 사람들이 어떻게 보고, 그들 주위의 세계를 추론하는지를 조성하는 기초적인 역할을 한다는 인식이 자랐다. 그리고 다른 문화를 가진 사람들은 현저하게 다른 의식을 가진다. 예를 들면, 사회심리학자 리챠드 니스벳의 연구는 대부분의 아시아권 사람들은 대부분의 유럽, 북아메리카의 사람들과는 다소 다른 세계관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비유적으로 말하자면, 니스벳의 연구는 서구권 사람들은 나무를 위해 숲을 놓치는 경향이 있고, 중심의 단일 요소에 중점을 두는 반면, 동양권 사람들은 나무 한그루 보다는 배경의 숲 전체에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다.
 
5.Nisbett and his colleagues have documented many differences in these groups` thinking styles. The general pattern is that Westerners are much more analytic-they break complex ideas into simpler components, categorize information, and use logic and rules to explain behavior. Easterners tend to be more holistic in their thinking, seeing everything in front of them as an inherently complicated whole, with all elements affecting all other elements. In his book The Geography of Thought, Nisbett argues that these essential cultural differences date back to ancient Greek and Chinese societies from roughly the eighth through the third centuries BCE.
니스벳과 그의 동료들은 이 집단들의 사고방식의 많은 차이를 기록했다. 서구권 사람들은 좀 더 분석적이다 그들이 복잡한 문제를 단순한 요소들로 분해하고. 정보별로 분류하고,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논리와 규칙을 이용한다. 동양권 사람들은 더 전체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모든 것을 보고, 그들의 앞쪽에 내제된 복잡한 전체와 같이, 모든 구성요소들은 다른 모든 요소들에 영향을 미친다. 생각의 지리학 이라는 그의 책에서, 니스벳은 근본적인 문화차이는 대략 기원전 3세기 고대 그리스와 중국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6.He characterizes the Greeks of that time as focusing on personal freedom, logic, and debate; their Chinese contemporaries as focusing on harmonious relationship with family and with other villagers. Indeed, crosscultural research has found that "family orientation" and "harmony" are two major dimensions of personality for the Chinese but not for people from Western cultures. As psychological scientists come to better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behavior, they make clear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behavioral phenomena in their cultural contexts.
그는 그 시대의 그리스 사람들은 개인적 자유, 논리, 논쟁에 중점을 두었고, 동시대의 중국인들은 가족, 마을주민과의 조화로운 관계에 중점을 두었다고 나타냈다. 게다가, 비교문화연구는 가족지향성과, 조화 라는 두 개의 주된 성격관점을 중국인들에게선 발견했지만 서구권 사람들에게선 발견하지 못했다. 심리과학자들이 문화와 행동 간의 관계를 좀 더 잘 이해하는 동안에, 심리과학자들은 그들의 문화적 맥락 안에서 행동현상을 고려하는 것의 중요성을 확실히 했다.
 
길다고 생각했는데 길지 않네요..;;ㅋㅋ
6번 문단에 마지막줄 As importance  ~    이 문장에서 as를 어떻게 번역해야되는지 감이 잘 안오네요..
그리고 5번 문단에 마지막 문장의 끝부분 the eighth through the third centuries BCE. 이것도 어떻게 처리해야될지... 잘안되네요 ㅎ
언제나 조언을 기다립니다!! ㅎ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