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오늘도 번역을 해봤습니다!!
게시물ID : english_709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이기ㅎ
추천 : 0
조회수 : 373회
댓글수 : 11개
등록시간 : 2013/07/13 18:01:00
 오늘도 번역은 이상하지만! 속도가 조금은 빨라진거 같아 기분이 좋네요..ㅎ
영게분들 모두 즐거운 주말 보내시고 ! 시간되시면 조언 해주세요!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ㅎ
 
Psychological Science Crosses Levels of Analysis
심리과학은 분석수준들을 포괄한다
 
Throughout the history of psychology, studying a phenomenon at one level of analysis has been the favored approach. Only recently have researchers started to explain behavior at several levels of analysis, providing an increasingly complete picture of behavioral and mental processes. Because mind and behavior can be studied on many levels of analysis, psychologists often collaborate with researchers from other scientific fields, such as biology, computer science, physics, anthropology, and sociology. Interdisciplinary efforts share the goal of understanding how biological, individual, social, and cultural factors influence our specific behaviors.
심리학의 역사 동안, 하나의 분석수준으로 현상을 연구하는 것은 선호되는 접근 방법이었다. 최근에서야 연구자들은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여럿 분석수준을 사용하기 시작했고, 행동과정과 정신과정의 갈수록 더 증가하는 완벽한 모습을 제공하였다. 정신과 행동이 여럿 분석수준에서 연구 될 수 있기 때문에, 심리학자들은 생물학, 컴퓨터공학, 물리학, 인류학, 그리고 사회학 과 같은 다른 과학영역의 연구자들과 종종 협력한다. 학제간의 노력은 생물학적, 개인적, 사회적, 그리고 문화적 요인들이 어떻게 특정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기 위한 목표를 공유했다.
 
Four broadly defined levels of analysis reflect the most common research methods for studying mind and behavior. The biological level of analysis deals chemical and genetic processes occurring in the body and brain. The individual level of analysis focuses on individual differences in personality and in the mental processes that affect how people perceive and know the world. The social level of analysis involves how group contexts affect people`s ways of interacting and influencing each other. The cultural level of analysis deals with how different cultures shape the thoughts, feelings, and actions of the people in them.
대략 4가지 영역으로 정의된 분석수준은 정신과 행동을 연구하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연구 방법을 반영한다.
생물학적 분석수준은 몸과 뇌에서 발생하는 화학적, 유전적 과정을 다룬다. 개인적 분석수준은 성격과 사람이 세계를 어떻게 지각하고 아는지에 영향을 미치는 정신과정의 개인적 차이에 중점을 둔다. 사회적 분석수준은 집단상황이 어떻게 사람들 서로 영향을 주고 상호작용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포함한다. 문화적 분석수준은 문화차이가 어떻게 그들의 생각, 감정, 그리고 행동을 조성하는지를 다룬다.
 
To understand how research is conducted at the different levels, consider the many ways psychological scientists have studied listening to music, a pastime important to most people. Researchers have examined how musical preferences vary among individuals and across cultures, how music affects emotional states and thought processes, and even how the brain perceives sound as music rather than noise. For instance, studies of musics effects on mood at the biological level of analysis have shown that pleasant music may be associated with increased activation of one brain chemical, serotonin, that is known to be relevant to mood.
다른 수준에서 어떻게 연구가 이뤄지는지 이해하기 위해, 심리과학이 음악 감상(과거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중요한)을 연구한 다양한 방식을 고려해야 한다. 연구자들은 개인들 그리고 문화마다 음악적 선호도가 얼마나 다양한지를 실험했고, 음악이 어떻게 감정 상태와 사고과정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심지어 뇌가 어떻게 소리를 소음이 아닌 음악으로 인지하는지를 실험했다. 예를 들면, 생물학적 분석수준에서 기분에 대한 음악 효과의 연구는 즐거운 음악이 아마도 하나의 뇌 화학물질(세로토닌: 기분과 연관되어 있다고 알려진)을 활성화 시키는 것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
 
Other researchers have used brain systems analysis to study music`s effects. Does perceiving music use the same brain circuits as, say, perceiving the sounds of cars or of spoken language? Processing musical information turns out to be similar to general auditory processing, but it also may use different brain mechanisms. Case studies have indicated that some patients with certain types of brain injury become unable to hear tones and melody but not speech or environmental sounds. One 35-year-old woman who had brain damage lost the ability to recognize even familiar tunes-a condition known as amusia- even though other aspects of her memory system and language system were intact.
다른 연구자들은 음악효과를 연구하기위해 브레인 시스템 분석을 사용했다. 음악을 인지하는데 말하기, 차 소리 인지, 말소리 인지와 같은 뇌 회로를 사용하는가? 음악적 정보를 처리하는 것은 일반적인 청각처리과정과 비슷하다고 밝혀졌지만, 이것은 아마 다른 뇌 메커니즘을 사용 할 것이다. 사례연구는 특정 뇌 영역에 부상을 입은 몇몇의 환자는 어조와 멜로디는 들을 수 없지만 말과 환경적 소리는 알아들을 수 있다는 것을 나타냈다.
뇌 손상을 가진 한 35살 여자는 비록 그녀의 메모리 시스템과 언어 시스템의 다른 측면들이 온전했지만, 심지어 익숙한 곡조차 인식하는 능력을 잃어버렸다.
 
In studies conducted at the individual level of analysis, researchers have used laboratory experiments to study music`s effects on mood, memory, decision making, and various other mental states and processes. They have discovered, for instance, that "Russia under the mongolian Yoke" from Prokofiev`s Field of the Dead, played at half speed, reliably puts people into negative moods. Moods may be affected not only by tempo of the music but also by whether the music is in major or minor mode. By age seven or eight, however, children can reliably distinguish the mood effects of major and minor modes.
개인적 분석수준에서 수행된 연구에선, 연구자들이 기분, 기억, 의사결정, 그리고 다양한 정신 상태와 과정에 대한 음악적 효과를 연구하기 위해 실험실 실험법을 사용했다. 예를 들면, 그들은 Prokofiev의 Field of the Dead 앨범의 Russia under the mongolian Yoke"를 중간속도로 틀면 사람들에게 부정적인 기분이 들게끔 한다는 것을 확실히 발견했다. 기분은 아마 음악의 박자뿐만 아니라 음계의 장단에도 영향을 받을 것이다. 하지만, 7,8살 어린이들은 음계의 장단의 기분영향을 확실히 구분 할 수 있다.
 
A study of music at the social level of analysis might compare the types of music people prefer when they are in groups with the types they prefer when alone, or how group preferences for some types of music influence individuals` preferences when they are not in a group. For instance, when people are alone they might like quiet, contemplative music, whereas with others they might like more upbeat music that encourages dancing.
사회적 분석수준에서 음악연구는 아마 사람들이 집단에 속해 있을 때 와 혼자 있을 때 선호하는 음악유형을 비교 하거나, 그들이 그룹에 속해있지 않을 때 몇몇 음악유형의 집단선호도가 어떻게 개인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비교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사람들이 혼자 일 때는 아마 조용하거나 사색적인 음악을 선호 할 것이고, 반면 다른 사람과 함께 있을 때는 아마 춤을 유발하는 경쾌한 음악을 선호 할 것이다.
 
The cross-cultural study of music preferences has develped into a separate field, ethnomusicology. An ethnomusicologist has noted, for example, that african music has rhythmic structures differences in turn may reflect the important role of dancing and drumming in african folktales. Ethnomusicologists also note that, as mentioned above, the influences of major and minor modes on mood hold only within certain cultures, because these associations are not innate and must be learned. As these examples show, research across the levels of analysis is creating a greater understanding of the psychology of music. Adding to that understanding is innovative research combining two or more levels of analysis.
음악 선호도의 비교 문화적 연구는 민족 음악학 이라는 독자적 영역을 발전시켰다. 예를 들면, 민족음악학자들은 아프리칸 뮤직은 리듬구조차이를 가지는 것을 주목(언급)했고 이는 아마 결국 아프리카 사람들의 민화에서 춤과 드럼연주의 중요한 역할을 반영한다. 민족음악학자들은 또한 위에 언급 된 것처럼, 이런 연관성들은 유전되는 것이 아니고 학습되어 지는 것이기 때문에, 기분에 대한 음계의 장단의 영향이 단지 특정 문화 안에 있다는 것에 주목(언급) 했다. 이런 예들이 보여주는 것처럼, 여러 분석수준을 사용하는 연구는 음악에 대한 심리학의 더 큰 이해를 만든다. 더해서 저 이해는 두 가지 또는 더 많은 분석수준이 결합된 획기적인 연구 이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