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하루에 조금씩 번역 하는대도 쉽지 않네요 ㅎ
게시물ID : english_7123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이기ㅎ
추천 : 0
조회수 : 313회
댓글수 : 4개
등록시간 : 2013/07/18 16:45:26
와 오늘은 정말 덥네요!!! ㅎ 오늘도 조금 해보았습니다!
 
How did the scientific foundations of psychology develop?
심리학의 과학적 토대가 어떻게 발전 되었나 ?
 
People have always wanted to know why people do the things they do, so psychology as a field of inquiry has an extensive history, roots in every corner of the globe, and intellectual origins dating back to long before it was established as a formal discipline. Ancient Greek philosophers such as Aristotle and Plato pondered many of the same questions considered by contemporary psychological scientists. Ancient Greek physicians such as Hippocrates and ancient Roman physicians such as Galen recognized that the brain was important for mental activity. In china, the philosopher Confucius (551-479 BCE) emphasized human development, edu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all of which remain contemporary topics in psychology around the world.
사람들은 사람들이 왜 그렇게 행동하는지에 대해 항상 알기를 원해왔고, 그래서 연구의 한 영역으로서 심리학이 광범위한 역사(세계 곳곳에 근원이 있는)를 가진다. 그리고 지적 근원은 이것이 정규적인 지식분야로 확립된 아주 오래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아리스토텔레스와 플라톤과 같은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당대의 심리과학자로서 여겨지는)은 많은 사람이 왜 그렇게 행동하는지와 같은 물음들을 고심했다. 히포크라테스와 같은 고대 그리스 의사들과 갈레노스와 같은 고대 로마 의사들은 뇌가 정신 활동에 중요 하다는 것을 인식했다. 중국에서는, 철학자 공자가 인간발달, 교육, 그리고 대인관계를 강조했고, 그 모든 것이 당대의 심리학의 화제들로 세계 전역에 남아있다.
 
During the Handynasty (206 BCE-220 CE), the chinese developed multiple tests to select candidates for government jobs, and by the time of the Ming dynasty (1368-1644), multistage testing was used throughout the country. Only those with the highest test scores could serve in public office. Similarly, there is a long history of psychological thought in Muslim countries; in fact, some scholars claim that Western notions of psychology can be found in the writings of early Muslim scholars. For example, Al Kindi produced hundreds of writings about sorrow and grief. To combat depression, he used cognitive strategies-many of them similar to a type of psychotherapy, cognitive therapy, commonly used today. At-Tabari wrote about child psychology and emphasized the need for psychotherapy.
한 왕조 때, 중국은 관료 후보자들을 선발하기 위한 많은 시험을 개발했고, 명 왕조 때 까지 단계적인 시험이 나라 도처에서 사용되었다. 오직 최상의 점수를 가진 자들만 관청에서 일 할 수 있었다. 유사하게, 회교도 국가에서 심리학적 사고의 긴 역사 있었다. 사실은, 몇몇 학자들이 심리학의 서구적 관념은 초기 이슬람 학자들의 글에서 발견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면, 킨디는 슬픔과 비통함에 대해 수 백 개의 글을 남겼다. 우울증을 방지하기 위해서, 그는 인지전략(이것 들 중 다수는 오늘날 흔히 쓰이는 정신치료, 인지 요법의 유형과 비슷하다)을 사용했다. At-Tabari는 아동심리학과 심리치료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글을 썼다.
 
In the mid-1800s in Europe, psychology arose as a separate field of study using the experimental method. In a System of Logic, John Stuart Mill declared that psychology should leave the realm of speculation and of philosophy and become a science of observation and of experiment. Indeed, he defined psychology as "the science of the elementary laws of the mind" and argued that only through the methods of science would the processes of the mind be understood. As a result, throughout the 1800s early psychologists increasingly studied mental activity through careful scientific observation. Like the shift from philosophy to experimentation, rapid increases in knowledge about basic physiology were central to the development of psychological science-though, as discussed above, the field is only now drawing on biology`s full power to explain psychological phenomena.
1800년대 중반 유럽에서는, 심리학이 실험 방식을 사용한 개별 학문분야로 발달하기 시작했다. 논리학체계에서, John Stuart Mill은 심리학은 추측의 영역과 철학의 영역에서 벗어 나야하고, 관찰과학과 실험과학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사실, 그는 심리학을 정신의 기본 법칙의 과학 이라고 정의했고, 오직 과학적 방법을 통해서만 정신과정을 이해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 결과로, 1800년대 초 내내 심리학자들은 주의 깊은 과학적 관찰을 통해 정신 활동을 더 많이 연구했다. 철학에서 실험으로 변화하는 것 같이, 기초 심리학지식의 급격한 증가는 심리과학의 발전에 중심이 되었다. 위에 이야기 되었지만, 그 영역은 현재 심리학적 현상들을 설명하기 위해 생물학의 모든 힘에 의지한다.
 
As psychology developed from a young discipline to a vital field of science and a vibrant profession, different ways of thinking about the content of psychology emerged. These ways of thinking are called schools of thought. As is true in every science, one school of thought would dominate the field for a while; there would then be a backlash, and a new school of thought would take over the field. Today, as multiple levels of analysis are used to understand psychology, researchers rely on the scientific method to support their theories and to decide what is most likely true. The following section discusses some major figures and major schools of thought in the history of psychology.
심리학이 갓 나온 지식분야에서 과학의 필수적인 영역과 활발한 분야로 발전함으로, 심리학 내용에 대한 사고의 다른 방식이 나타났다. 사고에 대한 이 방법들은 학설(관점) 이라고 불렸다. 모든 과학은 진실함으로, 하나의 학설은 잠시 동안 그 분야를 지배했고, 그 때문에 반발이 일어나고, 다시 새로운 학설이 그 영역을 차지했다. 오늘날 다양한 분석수준이 심리학을 이해하기위해 사용되듯이, 연구자들은 그들의 이론을 지지하고 어떤 것이 가장 사실에 가까운 것인지 결정하기 위해 과학적 방법에 의존한다. 다음에 나오는 부분은 심리학의 역사에서 몇몇 주된 인물과 학설에 대해 논의 할 것이다.
 
마지막 문단에서  As is true in every science ,  이부분을 뭐라고 번역해야될지 몰라 제멋대로 해버렸습니다... 뭐 전체적으로 제멋대로지만..ㅋ 고수분들의 조언을 기다립니다!! ㅎ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