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초보 아서를 위한 개인적인 덱 짜는 방법
게시물ID : actozma_131491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추워요안아줘
추천 : 8
조회수 : 679회
댓글수 : 9개
등록시간 : 2014/01/10 00:11:04
요정1~10 레벨구간
밀리언아서.PNG 2.PNG3.PNG

란솔(3),비스크라브렛(2),류넷(5) Cost 10
초반구성은 지극히 간단합니다. 퍼포먼스류 스킬과 저코 고CP카드로 무장해서 요정을 잡는 방법입니다
란솔 키라풀돌이 없으신분은 비경으로 획득 가능한 리넷(3)으로 대체하시면 됩니다.
저같은경우 카드창고 생기기 이전에 류넷을 갈아버려서 대체품으로 시시라라 빠삐용소드(6)코스트로...

요정10~20(?) 레벨구간
4.PNG

시시라라 드래곤블릿(12) or 감사형 니무에 (12) Cost 12
이구간부터 퍼포먼스를 소스처럼 추가하셔도 되지만 사실 리넷(3)or란솔(3),류넷(5)의 스킬 발동율이 워낙 구려서 티도 안나서 일반적으로 전 안씁니다. 전 단계 10cost에서 2cost 증가라서 크게 티도 안나고 그냥 무난합니다. 시드블이 없으시면 감무에 쓰시면 됩니다. 

요정20~30(?) 레벨구간
5.PNG6.PNG

감사형 니무에 (12) 시시라라 드래곤블릿(12) Cost 24 or 십이지형 인율(20) Cost 20
니무에 + 시드블을 합해서 하셔도 되고 아니면 2배수 풀돌인 인율을 활용하셔도 됩니다. 인율대신 배수 명함을 활용하셔도 됩니다.
인율이 아무리 배수라도 니무에+시드블 체력에 비해서 체력이 낮기 때문에 보통 인율로 2~3마리 잡고 니무에 시드블로 넘어가시는것도 좋습니다.

요정30~50(?) 레벨구간, 각성요정 1~3 레벨구간
7.PNG

염하형 어우동 (24) 감사형 니무에 (12) Cost 36 
지원형 레프젠 (23) 시시라라 드래곤블릿 (12) Cost 35
여기서부터 조금 취향차이이긴 한데 전 무난하게 조건힐카드인 레프젠이나 염하형 우동 + 12코스트 시드블 or 감무에 or 전멀린으로 마무리합니다.
무과금유저이시면 레프젠이나 염우동 대신 화모드를 추가하셔도 됩니다.

7-1.PNG8.PNG

전환형 멀린 (12) 감사형 니무에 (12) 성야형 샤비 (15) Cost 39 
전환형 멀린 (12) 시시라라 드래곤블릿 (12) 감사형 니무에 (12) Cost 36
시드블 감무에 조합에 +전멀린을 추가하시거나 시드블 없으신 유저가 대부분이시니 시드블 대신 성야형 샤비를 넣으셔도 됩니다.
물론 힐막을 위해서 앞에 전멀린과 감무에로 힐막을 하셔서 마지막에 발동하게 하셔서 뻘힐을 막으셔야 합니다.

요정50~100(?) 레벨구간, 각성요정 3~10 레벨구간
9.PNG9-1.PNG

지원형 레프젠 (23) 전환형 멀린 (12) 시시라라 드래곤블릿 (12) Cost 47
화련형 모드레드 (19) 전환형 멀린 (12) 시시라라 드래곤블릿 (12) Cost 43
전형적인 조건힐 + 공카 조합입니다. 뻘힐을 억지로 막을려고 노력할 필요도 없고 그냥 무난합니다.
저같은 경우 레프젠을 쓰지만 레프젠 대신 화모드를 넣으셔도 됩니다. 시드블 역시 감무에로 대체하셔도 됩니다.

요정100~150(?) 레벨구간, 각성요정 20~30 레벨구간
10-2.PNG10.PNG10-1.PNG

지원형 레프젠 (23) 염하형 어우동 (24) 전환형 멀린 (12) Cost 59
화련형 모드레드 (19)  지원형 레프젠 (23) 전환형 멀린 (12) Cost 54
학도형 포비 (18) 화련형 모드레드 (19) 전환형 멀린 (12) Cost 49
뭐 따로 설명할것도 없고 일반적으로 고cp카드인 감무에나 시드블을 빼고 그자리에 염우동을 추가한겁니다.
일반적인 무과금러 기준으로는 포비랑 화모드로 하셔도 되고 다른 저코 힐카를 추가하셔도 됩니다.
근데 무과금조건힐카중에서 화모드 포비를 능가하는 조건힐카를 본적이 없네요.

요정150~200(?) 레벨구간각성요정 30~50 레벨구간
11-3.PNG11.PNG11-1.PNG

염하형 어우동 (24) 휘황형 란 (25) 의매형 월맨 (28) Cost 78
지원형 레프젠 (23) 염하형 어우동 (24) 휘황형 란 (25) Cost 72
화련형 모드레드 (19) 학도형 포비 (18) 멸염형 스사노오 (28) Cost 65
이젠 고cp카드보다 조건힐 3장으로 하는 구간입니다. 이때부터는 고cp카드보다 한번에 잡아야지 라는 생각으로 하기때문에 한줄덱시 고cp카드는 안씁니다.
일반적으로 레프젠 염우동 란을 이용해서 해보다가 그다음 염우동 란 월맨 구간으로 갑니다.
과금힐카 같은경우 힐발동에 있어서 걱정을 안하지만 슬프게도 딱 50%구간에 칼발동하냐 아니면 한대맞고 20% 구간에 발동하냐에 따라서 더잡고 덜잡고 하는 구간이라 가끔가다가 전투를 끝까지 구경해서 어느정도까지 잡는지 체크해주시는것도 좋습니다.
귀찮으시면 슈퍼의 변동을 체크하시고 막피를 체크하시는 방법도 있습니다.
무과금 기준으로면 화모드 포비 스사노오가 있지만 40%기준은 카드가 왜 뒤에 있지?라고 생각하시는분이 있으시겠지만 저같은경우 화모드를 믿지 못합니다.  가장 안터진는 카드를 앞에다가 모셔두시는게 좋습니다.
레프젠같은경우 10%기준에서 발동하면 풀피를 못채우기때문에 앞에다가 두고 활용하기때문에 앞에 둡니다.
과금카드라도 란같은경우 변덕이 심합니다. 안할때는 그냥 파업해요

12.PNG12-1.PNG13.PNG

             Cost 98                                Cost 88                                  Cost 115
좀 다른경우지만 조금 불안하다 싶으시면 두줄덱으로 하셔도 됩니다. 저코 고cp 카드인 전멀린 시드블 감무에 + 힐카 성샤비를 넣는 겁니다.
레프젠과 염우동자리를 화모드 포비를 대체하셔도 되고 다른카드를 대처하셔도 됩니다.
이렇게 두줄덱 운용하시다가 안잡히시면 고cp카드를 두장을 갈아치우시면 됩니다. 한장만 바꾸셔도 되지만 보통 조건힐 발동하는 쪽에서 연속으로 조건힐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조건힐만 하나인쪽 경우 조건힐 하고 다음50%에는 그냥 쌩으로 맞아야합니다. 2만씩~3만씩 치는 구간인 만큼 리스크를 크기 때문에 조건힐을 두장씩 배치함으로써 2:1에서 리스크를 줄이기에 2:2비율을 마춰주는겁니다.

요정150~200이상 레벨구간,각성요정 50이상
14.PNG
    
             Cost 147                           

이제부터 고cp카드는 무쓸모입니다. 배수명함도 공카아니면 역시나 무쓸모입니다. 이제부터 조건힐카 두줄덱 운용해서 잡아야합니다.
사실이때부터 조건힐카가 얼마나 일을 잘했냐? 아니면 얼마나 적절하게 발동했냐에 따라서 1~3대 더 때리고 차이가 납니다.
설명을 드리자면 40% 조건힐카인 포비랑 스사노오를 앞에다가 넣습니다. 조건힐카 발동 안하는 순서를 앞에다가 넣으시고 뒤에는 발동 잘하는 카드를 넣습니다. 그리고 발동 잘하는걸 한곳에다가 몰아넣지 마시고 적당히 섞어서 활용해주셔야합니다.
이구간부터 한대에 3만씩 박히는 구간이기에 몇대 맞으면 그냥 50%까입니다. 50%에서도 2~4대면 죽습니다. 힐량보다 조건힐카는 발동이 생명입니다.

그리고 이이후부터는 엑칼덱(엘,페이,리페 cost30+추덱)넣고 치시던지 or 발동 짱짱인 배수공카 한장 (로즈린)같은 무조건에 발동 짱짱인 카드로 쉬지않고 때리시면 됩니다.

배수명함을 안넣었지만 공카던 힐카던 배수명함은 고cp카드 자리 대신 넣으셔도 됩니다.

그리고 추가로 배수명함에 대해서 이야기드리자면 조건힐카 같은경우 초반에는 매우 좋습니다. 하지만 후반가면 힐량보다 맞는 피해가 많아지는 경우 조건힐카 배수카드는 고인이 됩니다. 조건힐카같은경우 3만씩 때리는 200구간부터는 오히려 독입니다. 힐량도 그렇지만 명함배수 피가 낮아서 무쓸모입니다. 
그에비해 조건공카같은 경우 명함이라도 30씩 주말기준 50만씩 때리기때문에 혼자서 1인분은 합니다. 어느상황에서든지 그래서 공카는 후반에 갈수록 빛을 봅니다. 피 2만을 버리고 데미지 혼자서 50~60만씩 때린다면 코스트가 몇이되건 혼자서 밥값은 합니다.
진휘 160기준으로 400만이 넘어가는데 주말에 50만 때리면 혼자서 3번때리는 양을 스킬딜로 빼놓은거기때문에 1인분이상한겁니다.

말그대로 힐카는 초반에 빛을 보고 공카는 후반에 빛을 봅니다. 명함 배수의 경우입니다.
6배수 밀렉같은경우 그냥 5배수 노-1돌 한거라고 생각하시고 쓰시면 됩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