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국가별 물가논란이 많은데 그럴땐 PPP를 참고하세요
게시물ID : economy_7199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이거먹는거임
추천 : 1
조회수 : 1238회
댓글수 : 5개
등록시간 : 2014/07/30 16:14:21
1.JPG
 
 
구매력 지수로 물가를 참고하여 그 나라의 삶의 질을 파악하기 위해 만든 통계입니다.
이것 역시 GDP와 마찬가지로 통계상 오류를 내포하고 있는 경우도 많으나, 그래도 현재 나와 있는 거시적 통계중에 물가대비 삶의 질을 파악 하는데는 가장 근접한 통계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또 여기에 하나 더 중요한 것은 부의 분배 상태겠죠. 만약 이건희의 재산이 오늘 당장 10조가 더 증가한다 해도 재화의 한계효용상 이건희의 삶의 질이 더욱 높아졌다고 보기에는 무리이고, 대한민국 국민의 삶의 질이 높아졌다고 보기에는 더더욱 무리겠지만 통계상에는 10조만큼 대한민국 전체의 소득이 올라가고 그만큼 사람들의 삶이 질이 높아졌다고 착각하게 만드니까요.
 
즉 그나라 국민을 소득 순으로 줄 세웠을때의 중위값에 해당하는 사람의 재화로 인한 삶의 질은 북유럽(대단히 평등한 상태)-한국(세계적으로 봤을때 평균)-남아공(레알 개막장)을 비교하면 gdp에 의한 통계 이상으로 벌어질 수 있다는 얘깁니다.
 
 
아래는 위키에 나온 ppp의 대표적인 문제점이니 참고하시구요
 
구매력 평가지수는 GDP가 물가 수준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지만 문제점도 존재한다.
특히 재화의 질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예를 들자면 똑같은 차라고 하더라도 독일인과 인도인이 각각 자국의 차를 구입한다고 할때 독일차와 인도차의 질적 차이는 큰 차이를 보이지만 PPP는 그것까지 고려하지 않는다.

 
또한 PPP 자체가 GDP에 물가 변수를 통제한 수준에 그치기 때문에, 생활수준을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대표적인 한계점만 꼽더라도 1인당 GDP=소득이 아니다. 한 국가에서 창출된 부가가치에는 가계의 몫, 기업의 몫, 정부의 몫이 모두 포함되어 있기 때문. 또 가계에 흘러들어가는 소득도 얼마만큼 균등하게 분배되었는지도 감안해야 한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아예 의미가 없지는 않다. 일단 소위 선진국 소리 듣는 나라 중에 국민소득에서 가계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은 그렇게까지 큰 차이는 나지 않는다. 소득불평등의 경우도 미국 같은 예외적인(?) 케이스를 제외하면 평균 수준~빡세게 소득재분배를 하는 국가들(복지국가)로 나뉠 뿐. 거기에 재화의 질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로 꼽히는데 물론 인도와 미국의 재화는 엄청난 차이를 보이겠으나 터키와 한국, 한국과 일본, 일본과 북유럽 같은 경우는 명목 GDP에는 큰 차이가 있으나 재화에 그렇게까지 현격한 차이를 보이지도 않을 것이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