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정부, 메르스 병원명 모두 공개…일반국민 전염 없어(종합)
게시물ID : mers_7199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데이바이데이
추천 : 2
조회수 : 903회
댓글수 : 4개
등록시간 : 2015/06/07 16:17:04
옵션
  • 펌글
 
1.jpg
 
 
정부가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MERS)의 추가적인 확산 방지를 위해 전격적인 병원명 공개에 나섰다. 그간 주장해 온 병원명 공개에 따른 부작용보다는, 메르스 확산에 따른 국민들의 불안감이 더 크다는 진단에서다.

최경환 국무총리 직무대행 겸 부총리는 7일 오전 11시 정부세종청사 국무총리실에서 브리핑을 열고 "확진환자가 나온 병원 명단 등 정보를 국민안전 확보 차원에서 공개하고자 한다"며 메르스 관련 병원 명단을 밝혔다.

최 총리대행은 "메르스의 실제 감염경로가 병원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어 병원에 대한 강력한 통제가 불가피하게 됐다"며 "지금까지 정부에서 대응해왔던 기조와 달리 보다 차원 높은 총력적인 대응체제를 갖춤으로써, 메르스 사태를 조기에 종식시키기 위한 정부의 방향성"이라고 명단 공개 이유를 설명했다.

공개된 병원 24곳 가운데 6곳은 확진환자가 발생한 곳으로, △평택성모병원(37명) △삼성서울병원(17명) △대전 건양대병원(5명) △대전 대청병원(3명), 아산서울의원(1명) △365서울열린의원(1명) 등이다. 나머지 18곳의 병원은 확진환자가 단순 경유한 곳으로 감염 위험은 크지 않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향후 총력적인 메르스 대응의지를 밝히면서도, 지방확산 의혹이나 경계단계 상향 요구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다. 최 총리대행은 "지금은 메르스가 지역사회에 광범위하게 퍼져 나가고 있는 단계는 아니기 때문에 '주의'단계를 유지한다"며 "실제로 펴고 있는 조치 내용은 사실상 '경계'를 넘은 '심각'단계 수준에 해당하는 조치들을 취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현재 치료를 받고 계시는 환자분들은 음압격리병상이 설치된 병원에서 안전하게 치료를 받고 있어 일반 국민들께 전염될 가능성은 전혀 없다"고 덧붙였다.

메르스 발생 초기 미흡하게 수행됐던 자택격리자 모니터링은 지자체 공무원을 1대1로 매칭해 책임관리키로 했다. 관계부처와 협의를 거쳐 휴대폰 위치추적도 추진한다고 밝혔다.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은 "휴대폰 위치추적은 자택격리에 있어, 혹시 그것을 지키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들을 방지하기 위해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일부에서 우려하고 있는 공기를 통한 전염에 대해서는 가능성을 일축했다. 발생 병원에 대한 집중 관리가 이뤄지면, 일반 국민들에 대한 확산 우려는 크지 않다는 분석이다.

최 총리대행은 "메르스는 공기를 통해 감염되지 않는다"며 "전문가들은 일반 독감 수준으로 적절한 격리가 이뤄지고 개인위생 규칙만 잘 지키면 사회적 확산은 없는 통제가 가능한 질환으로 평가한다"고 전했다.

김우주 대한감염협회 이사장은 "초기 평택성모병원 단계에서는 어느 정도 통제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접촉자 추적에서 추적이 안 된 분들이 타병원을 가면서 원내 감염을 통해 환자가 속출하다보니 (사태가) 커졌다"면서 "이런 상황에서는 명단 공개로 인한 접촉자 추적으로 감염이 연이어 발생하는 체인을 끊는 데 효과적이라고 판단했다"고 현 상황을 진단했다.

이어 "연결고리가 이어지면 더 큰 문제가 될 수 있지만, 지금은 지역사회로의 전파가 아닌 병원에서의 직·간접 전파여서 원내 감염 관리를 철저히 하면 효율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2.jpg
 
 
 
 
 
그럼 걸린 사람은 특수한 국민인가요?진짜 단어 자체가 저질이네요 에휴~

출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08&aid=0003484620&sid1=001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