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정부에서 일하면서 댓글 알바하는게 자랑?
게시물ID : sisa_70469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7418523
추천 : 1/14
조회수 : 866회
댓글수 : 36개
등록시간 : 2009/06/05 09:47:20
공기관에서 알바하며 업무시간에 댓글알바 짓하며 업무태만 하던 x님은
Work Etick도 정상인의 기본적 가치관도 없이 잘 한 짓이라고 할 수 있습니까?
공무원 아니라고 댓글 알바 하는게 정권의 일자리 창출 공기관 알바체용 기준입니까?

에휴...보나마나 업무시간에 주구장창 업무태만 했으니 이젠 짜렸겠지요.
아니라면 그게 더 이상하지요.

---------------------------------------------------------------------------------------------------
국정홍보처가 정부 홍보사이트 ‘국정브리핑’에 공무원들의 댓글 달기 실적을 점검하고 통계를 낸다는 명목으로 각 部處부처 공무원들의 IP 住所주소를 제출하라고 지시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한나라당 정병국 의원은 23일 국정홍보처가 지난 2월 각 부처에 “대통령님께서 국정브리핑을 적극 활용하고 애용하라고 지시하신 것과 관련해 부처별 공무원 방문 통계, 부처별 기고 통계를 관리하겠다”며 공무원들의 IP 제출을 요구했던 공문을 공개했다.

IP(Internet p로토col)란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통신망과 그 통신망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에 부여되는 고유 識別식별번호를 말한다. 사람으로 치면 주민등록번호다. 홍보처는 이 번호를 이용해 부처와 소속 공무원들의 국정브리핑 ‘출석’을 체크하겠다고 나선 것이다. 그러나 홍보처의 이런 해괴한 공무원 IP 수집은 며칠 만에 중단됐다. 홍보처는 “보안상 문제가 있었다”고 했지만 정병국 의원은 “공무원들 사이에 ‘해도 너무하지 않으냐’는 반발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홍보처는 지난달에도 공문을 보내 “국정브리핑에 실리는 언론보도에 다는 댓글 실적을 매일 오전·오후 두 차례 點檢점검해 부처 평가에 반영하겠다. 이는 대통령 지시사항”이라고 했다. 홍보처가 공무원의 댓글 달기를 독려할 때마다 ‘대통령 지시’를 끌어오는 걸 보면 대통령이 댓글 달기에 기울이는 집념은 정상인들의 상상 이상인 듯하다.


정부는 인터넷이 일방적 의사소통이 아니라 서로 의견을 주고받는 ‘雙方쌍방 커뮤니케이션’ 수단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그렇다면 공무원이 의견을 주고받아야 할 상대는 대통령인가 국민인가. 지금처럼 대통령이 댓글 달기를 지시하고 홍보처가 꼬박꼬박 댓글 숫자를 헤아리며 考課고과에 반영하겠다고 으름장을 놓는 상황에서 댓글은 국민과의 쌍방 커뮤니케이션이 아니라 대통령에게 보여주기 위한 공무원들의 강제 勞役노역에 지나지 않는다.


지난주 청와대 사이트는 이런 ‘공무원 강제 노역’이 “세계 어디에도 없는 행정시스템의 革新혁신사례이며 수출해도 좋을 혁신상품”이라고 했다. 이 정도면 청와대도 正常정상의 경계선을 넘어선 게 분명하다
---------------------------------------------------------------------------------------------------

에휴... 지금 정권에 X님이 저렇게 행동했으면 욕 엄청 먹습니다.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