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사진을 배워봅시다 - 1차_심도란?
게시물ID : humorbest_72579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기달싸순™
추천 : 38
조회수 : 1700회
댓글수 : 17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3/08/06 03:02:26
원본글 작성시간 : 2013/08/05 14:36:25
심도..

사전적 의미는 "깊은 정도" 입니다...
다시 말하면 심도란 초점이 선명하게 잡히는 영역이라고 하면 쉽게 이해하실꺼에요

어느 대상에 초점을 맞추면 앞뒤로 초점이 맞는 공간이 형성이 되는데 이 공간이 넓으면 심도가 깊다고 표현하고
이 공간이 좁으면 심도가 얕다고 표현합니다.

심도를 이야기 하자면 렌즈의 F(조리개 값) 을 이야기 안 할수 없는데요..
여기서 잠시 짚고 넘어가자면..

F값의 수치를 보자면 1.4 / 2.0 / 2.8 / 4.0 / 5.6 / 8.0 / 11 / 16 / 22   (1스탑 차이로 표기 했습니다) 이런데요..
수치가 낮을수록 심도가 얕아지고 수치가 높을수록 심도는 깊어집니다.
수치를 낮추는건 개방한다라고 표현하고, 수치를 높이는건 조인다고 표현합니다.


심도가 깊으면 초점 맞는 공간이 넓기 때문에 사진에 많은걸 또렷하게 표현할수 있으나 대신 시선이 분산되어서 주제 표현은 힘듭니다.
단체사진이나, 여행가서 풍경을 찍을때 조리개를 조이라는 말을 종종 들으셨을꺼에요.. 
많은걸 또렷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심도를 깊게 해야지 다 표현하니깐 그런겁니다.
참고로 제일 좋은 화질은...  자신의 렌즈 F 값이 제일 큰 수치를 반으로 나눴을때 그 수치에서 보통 화질이 제일 좋다고 합니다.
제 렌즈가 F 값이 16이 제일 높다면 8 일때 화질이 제일 좋습니다.


그럼 반대로 생각한다면,
심도가 얕으면 초점 맞는 공간이 좁기 때문에 사진에 적은 부위를 또렷하게 표현할수 있으므로 주제 표현에 좋다라고 할수 있겠죠...
F 값 1.4 로 놓고 인물을 찍으면 인물 외에 배경은 다 흐릿하게 찍히기 때문에 인물이 부각될수 밖에 없는거죠..



심도에 대해서 좀 이해가 가셨는지 모르겠네요..


이제 유식하게 심도라는 단어를 사용해 BOA 요



===========================================================
제가 사진을 전공한것도 아니고....
그냥 남들보다 조금 더 찍어본건데..
강좌도 아닌 이런글을 쓸까 말까 고민 많이 했는데..

아무쪼록 틀린 내용있으면 댓글 달아주시고..
욕하실분은 출사 나오셔서 욕해주세요 ㅋㅋㅋㅋ


출사 나오면 생깁니다....ㅜㅜ  아니...생기더라고요...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2013-08-05 14:42:00추천 0
어잌쿠 고수님 ㄷㄷㄷㄷ 잘 몰랐는데 이렇게 친절히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잘보고 갑니다!! ㄷㄷㄷㄷㄷ
댓글 0개 ▲
2013-08-05 14:56:47추천 0
감사합니다^^ 잘 보고갑니다^^
댓글 0개 ▲
2013-08-05 15:53:10추천 0
그동안 축적하신 내공을 드디어 방출하시는군요~ 기대하고 앞으로 많은 가르침 부탁드려요^^
댓글 0개 ▲
2013-08-05 17:06:39추천 0
왜 이 간단한걸 몰라서 그렇게 찾아다녔는지ㅋ 감사합니다
댓글 0개 ▲
2013-08-05 17:27:39추천 0
다음 강좌는 뭔가요??? +_+
댓글 0개 ▲
2013-08-05 20:07:24추천 0

심도얕은 사진
댓글 0개 ▲
2013-08-05 20:07:50추천 0

심도 깊은 사진
댓글 0개 ▲
2013-08-05 23:17:39추천 0
심도
F(조리개)값 ::::::::: 1.4 / 2.0 / 2.8 / 4.0 / 5.6 / 8.0 / 11 / 16 / 22
심도가 ---------- 얕다 <--------------------------> 깊다
조리개를 -------- 개방한다 <----------------------> 조인다
초점이 맞는 공간이 좁다 <--------------------------> 넓다

맞게 정리했나요? ^^
댓글 0개 ▲
2013-08-06 03:42:13추천 0
잘못된 정보가 있는 것 같아 지나가다가 한 마디 풉니다.
피사체는 빛의 반사를 담죠. 보통 거리에 따라 루트 제곱근을 적용합니다. 일단 이건 KEEP~ 조리개값은 셔터스피드 및 필름 광량(ISO/ASA)과 상호작용입니다. 또한 필름이 아닌 DSLR인 경우 CMOS 혹은 CCD의 크기에도 영향을 받습니다.  수많은 가변변수가 존재하죠. 심도가 낮게 표현하는 것은 포트폴리오와 같은 대상 피사체만 두드러지는 경우에 보통 쓰입니다. 단체사진을 찍을 경우(2열 이상) 당연히~! 심도는 높게 갑니다. 심도를 얕게하면 FOCUS-IN 된 지점과 분명 화질차가 보입니다. 물론 렌즈에 따른 심도표현이 상이하기에 안전빵으로 심도를 깊게합니다. 카메라는 기본적으로 빛을 담습니다. 정확히는 피사체에 반사되는 빛이지요. 촬영 현장의 조도 및 흔들리지 않는 사진을 얻기 위해선 피사체의 환경에 대해 고민을 하고 셔터를 누르는게 맞다고 봅니다. 참고로 최근 유행하는 진짜사나이라는 PGM 같은 경우 F/S에서 가운데만 초점이 맞고 나머진 날라가는 모습을 보게 되는데요, 이는 틸팅렌즈를 써서 써서 그렇지 않나 봅니다. 렌즈 뿐 아니라  포토샵이나 AE등 후반작업에서도 가능합니다. 결과적으로 후반작업을 감안하신다면, 심도를 깊게 하심이 좋습니다. 한 가지 팁을 드리자면, 인물을 사용할시 카메라의 A모드(조리개 우선) 두시고 최대 개방 후 셔터스피드를 자동으로 빠르게 하심이 순간포착을 하는데 유리하다 판단됩니다
댓글 0개 ▲
2013-08-06 03:48:54추천 0
그리고 굳이 포토샵이 귀찮다하시는 분께 알려드리는 팁입니다.
심도를 얕게 할 수 있는 방법~!!!!

최대 줌인을 할 것, 혹은 조리개값을 최대개방으로 할 수 있는 최대 접사로 할 것. 한 마디로 줌렌즈를 가지고 있다면 링을 돌려 가장 끝 지점의 부분에 맞춰 포커스인을 하는 겁니다.


물론 L렌즈가 아니고서야 줌인과 동시에 취대 F값이 몇스탑 떨어지겠지만 줌인 혹은 접사를 하게 될 시 심도는 확실히 얕아집니다. 웹용으로 촬영하신다면 ISO/ASA  감도는 어지간하면 커버가 되오니 감안하세요~~!!
댓글 0개 ▲
2013-08-06 11:53:15추천 0
할말은 한다//

저는 글에도 썼지만 사진전공도 아니고 현업이 사진에 관련된일도 아니고..
그저 사진을 처음 시작하시는분들께 쉽게 이해 하시라고 쓴글이니깐 이해 바랍니다..

저도 할말은한다님 글을 겨우 이해할정도인데...
이제 처음 시작하시는분들은 무슨소리인줄 모를겁니다..

그냥 일반 사진 커뮤니티가 아니니깐

게다가 저도 할말은 한다 님 의도는 충분히 이해 하고 공감합니다..
사진이라는게 어느 한 부분만 놓고 설명할수 없기 때문이죠..
다 연관성이 있는데 그걸 다 연계해서 설명한다면..
이제 시작하는분들은 그냥 시도 조차도 못하거든요..
댓글 0개 ▲
2013-08-06 15:08:11추천 0
11
사진전공이라도.. 현업이라도.. 글내용에 딱히 큰 문제없어보이는데요??
그리고 심도에 후반작업이라뇨;  블러효과로 비슷하게 만드는걸 말씀하시는건가요? 효과와 심도와 무슨상관일까나요;;
심도에 관해서는 렌즈의 초점거리, 피사체와 카메라위치, 조리개 개방치, 센서크기 외에 또다른 조건도 존재하나요?? 또 어떤 수많은 가변변수? 가 존재하지요? 요거면 설명 다 되지 싶은데..
렌즈에 따라 심도가 달라지다뇨? 동일한 피사체 조건일때 화각과 해당 화각의 조리개수치에 따라 달라지지 않나요??  캐논렌즈와 니콩 렌즈가 심도가 다른가요?? 아니면 24-70의  50mm 화각의 F2.8과 50mm F2.8 의 심도차가 눈에띄게 다른가요? 보케 모양이 달라지는건 봤어도..
심도가 낮다라는건 심도가 얕다라는걸 의미하는거죠?
수준높지는 않지만 저도 현업인데 뭔가 알기힘든 전문용어를 많이 사용하는것같은데다 주제와 관련없는 문장이 대부분이라 이해가 어렵네요
내용도 위에 내용에 잘못된 내용을 지적한게 아니라 더 보태는 정도인것 같으신데,,
댓글 0개 ▲
2013-08-06 15:44:13추천 1
잘못된 정보가 있는 것 같아 지나가다가 한 마디 풉니다. -> 네

피사체는 빛의 반사를 담죠. 보통 거리에 따라 루트 제곱근을 적용합니다. 일단 이건 KEEP~ ->??

조리개값은 셔터스피드 및 필름 광량(ISO/ASA)과 상호작용입니다. ->  필름광량??? [감도] 아닌가요? 광량으로 표기하는곳도 있나요? 그리고 글내용과 무슨상관이죠?

또한 필름이 아닌 DSLR인 경우 CMOS 혹은 CCD의 크기에도 영향을 받습니다. -> 필름과 디지털 센서와 상관없이 크기에 영향을 받습니다.

수많은 가변변수가 존재하죠.-> 심도에 렌즈의 초점거리, 피사체위치, 조리개, 센서크기 외에 어떤 가변변수가 존재하죠?

심도가 낮게 표현하는 것은 포트폴리오와 같은 대상 피사체만 두드러지는 경우에 보통 쓰입니다. ->포트폴리오와 심도와 무슨관계죠? 피사체와 장소, 표현하려는 범위와 주제에 따라 심도를 다르게 하는건 봤어도... 역시나 심도가 낮다라는건 어디서 들으신거죠? 보통은 [얕다]라고 표현하죠.

단체사진을 찍을 경우(2열 이상) 당연히~! 심도는 높게 갑니다. 심도를 얕게하면 FOCUS-IN 된 지점과 분명 화질차가 보입니다.-> 다 아는거죠. 그리고 보통은 심도가 높다가 아니라 [깊다]라고 표현합니다

물론 렌즈에 따른 심도표현이 상이하기에 안전빵으로 심도를 깊게합니다.-> 렌즈에 따라 심도표현이 다르다구요? 동일조건, 화각과 조리개에 따라 다르죠.안전빵으로 단체사진찍을 때 심도를 깊게 한다구요? 안전빵이라는 조리개 수치도 있나요? 그저 때에따라 적당히 조여서 촬영하죠..

카메라는 기본적으로 빛을 담습니다. 정확히는 피사체에 반사되는 빛이지요. -> 조명등 스스로 발광하는 빛도 있지만.. 여튼 심도와 무슨상관이죠?

촬영 현장의 조도 및 흔들리지 않는 사진을 얻기 위해선 피사체의 환경에 대해 고민을 하고 셔터를 누르는게 맞다고 봅니다.->글내용과 무슨상관?

참고로 최근 유행하는 진짜사나이라는 PGM 같은 경우 F/S에서 가운데만 초점이 맞고 나머진 날라가는 모습을 보게 되는데요,
이는 틸팅렌즈를 써서 써서 그렇지 않나 봅니다. 렌즈 뿐 아니라  포토샵이나 AE등 후반작업에서도 가능합니다. ->무슨상관이죠?? 후보정얘기가 왜..

결과적으로 후반작업을 감안하신다면, 심도를 깊게 하심이 좋습니다. 한 가지 팁을 드리자면, 인물을 사용할시 카메라의 A모드(조리개 우선) 두시고 최대 개방 후 셔터스피드를 자동으로 빠르게 하심이 순간포착을 하는데 유리하다 판단됩니다 ->인물을 뭘 사용을하죠? 순간포착과 A모드와는 무슨관계죠? 제대로 잘못된 내용인듯 싶은데.. 순간포착은 셔터속도 확보에 있고 이는 어떤 모드를 사용해도 크게 상관없죠. 목적없이 후반작업을 감안하는것과 심도와도 역시나 상관없구요.


잘못된 내용도 아닌데 잘못된 내용 지적이시라면서 주제와 상관없는 정말 잘못된 내용을 쓰시는것 같아 리플달아 봅니다.
윗글은 글쓴님 말씀따라 초보자들이 이해하기 쉽고도 틀리지 않는 좋은 내용인데
틀렸다고 주장하시면서 주제에 맞지도 않는 장황하고 괜히 제대로된 전문용어도 아닌 주워들은듯한 전문용어를 남발하는듯한데다 잘못된 내용의 리플이
초보자가 보기에 더 이해하기 어렵고 돌아가게 만듭니다.
댓글 0개 ▲
2013-08-06 15:47:53추천 0

심도 얕은 사진은 접사때도 쉽게 얻을수 있습니다.
댓글 0개 ▲
2013-08-06 23:56:29추천 0
1 이 사진은 심도랑은 조금 틀린이야기 인거 같아요..
그냥 아웃포커싱 잘되는 방법이라고 표현하고 싶네요...
댓글 0개 ▲
2013-08-07 00:03:55추천 0
오공뽄드님 의견에 한표 던집니다
댓글 0개 ▲
2013-08-07 14:22:18추천 0
11 저사진도 50mm 렌즈로 조리개 1.8로 찍은겁니다. 필카라서 접사 마크로 렌즈가 아니라 접사는 아니구요.
댓글 0개 ▲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