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시사인] 대구를 그렇게 보면 안 되구 (대구의 김부겸은 순천의 이정현)
게시물ID : sisa_727366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문빠아닌안까
추천 : 0/2
조회수 : 584회
댓글수 : 5개
등록시간 : 2016/04/18 22:46:43
★ 요새 김부겸 발언하는 거 보면 역시나네요. 작년에 문대표한테 백의종군 운운하며 공천권 내놓으라고 난리칠 때부터 느낌 쎄하더니.. 역시나 한나라당 출신 손학규계 김부겸이라 기대와 한 치도 틀리지가 않는..
시사인 천관율 기자가 대구의 지역주의에 대해 쓴 기사를 가져와 봅니다. 기사 읽은 제 결론은 김부겸은 지역주의 타파와 민주주의를 위해 싸웠던 부산의 노무현이 아니라, 철저히 지역에 파고들어 인물론으로 싸운 이정현이라는 겁니다. 기사 전문을 읽어보면 호남분들이 더민주의 후보가 아닌 새누리나 국민의당 찍은 것도 이해가 되고요. 대구를 무조건 지역주의로 모는 게 옳지 않다는 기사입니다. 꼭 전문 다 읽어보시길 권합니다.


2014.06.23. [시사인] 대구를 그렇게 보면 안 되구 말구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20598

(전략)

‘박정희·박근혜 마케팅’이라는 위험한 전략 

선거 초기에 내부 논쟁이 있었다. ‘아름다운 선거’를 할 것인가, ‘이기려는 선거’를 할 것인가. 이 논쟁에서 김 후보가 후자의 손을 들어주었다. 그로부터 위험한 전략이 나오기 시작했다. 이른바 박정희·박근혜 마케팅. 박정희 컨벤션센터 공약, 공보물에 박근혜 대통령과 나란히 웃고 있는 사진 싣기, “박근혜 대통령·김부겸 시장·대구 대박”이라는 메인 슬로건. 그야말로 거침이 없었다.

이 전략이 위험했던 이유는 김부겸이라는 브랜드를 야권 내에서 크게 손상시키기 때문이다. 대구시장 선거에서 패배한다고 그를 탓할 사람은 없지만, 이런 전략을 써서 패배한다면 얘기가 달라진다. 이를테면 전당대회나 대선 경선과 같은 ‘진영 내 정치’를 할 때 치명적인 약점이 된다. 한 캠프 인사는 “생각해봐라. 그때는 당내 경쟁 후보가 우리 공보물을 신나게 돌리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선거운동 마지막 날, 다음 유세 장소로 이동하는 후보의 차량 안에서, 왜 이렇게 위험하게 선거를 하는지 물었다. 김부겸은 한층 더 짙어진 대구 사투리로 이렇게 답했다. “선거전에 들어가니까 대구 시민들 사이에서 억눌린 분노가 들끓는 게 느껴지는데, 이게 장난이 아인기라. 야 이거 내가 이런 분노를 보고도 내 이미지 생각해서 선거를 대충 하면 안 되겠다, 진심으로 이분들에게 다가가야 되겠다 마음을 먹은 기지.” 

더 흥미로운 논쟁은 그 다음이었다. 대체 어떤 게 대구에서 ‘이기는 선거’일까? 캠프 좌장 구실을 했던 김태일 교수(영남대)는 철저한 우클릭으로 보수 유권자들의 경계심을 녹인 후, “새누리당의 오만과 독선에 경고를 주도록 야당 후보도 한번 써먹어 달라”는 메시지를 구사해야 한다고 보았다. 즉, 전선을 최대한 뭉개고 보수 표를 구슬려 잡아와야 한다고 본 것이다. 거침없는 박근혜 마케팅은 그 귀결이다.
▶ 김태일은 안철수/김부겸 등 반노/반문 야권 후보의 브레인격인 사람.

그런데 홍의락 의원(새정연 대구시당위원장) 등 지역 접촉면이 넓었던 인사들은 오히려 반대 전략을 제안했다. 박근혜 마케팅은 어느 정도까지만 하고(불필요하다고 보지는 않았다), 선거전 중반부터는 새누리당(박근혜 대통령은 예외다)과 선명하게 각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의 목표는 보수 표가 아니라 좌절한 무당파였다. 

홍 의원은 6월1일 캠프 전략회의에서, 새누리당을 심판하는 데 김부겸을 쓰라는 ‘회초리론’을 제안했다. 지금까지와 같이 전선을 뭉개는 캠페인으로는 심판론에 불을 붙일 수 없다고 보고, 선거 막판에 한 단계 더 강력한 메시지를 던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회초리론’에 동조했던, 대구지역 선거 경험이 풍부한 한 캠프 인사는 캠프 주류의 전략 기조를 두고 “레드 콤플렉스 콤플렉스”라고 표현했다. 대구의 ‘레드 콤플렉스’ 정서를 실제보다 과대평가한 나머지 “이번에는 바꿔보자”라는 바닥 기류에 충분히 불을 붙이지 못했다는 주장이다.

결정적인 차이가 이 대목이었다. 후보에서 캠프 좌장으로 이어지는 핵심 라인은 대구에 무당파 심판 표는 많지 않다고 보았다. 그보다 새누리당에 마음이 상한 보수 표를 살살 달래서 데려오자는 전략이었다. 반면 ‘회초리론자’들은 대구의 무당파 심판 표에 불을 붙여 투표장으로 끌어내는 것이 핵심 전략이어야 한다고 보았다. 

차이 못지않게 중요한 공통점도 있다. 두 노선 모두 ‘분노한 유권자’를 기정사실로 놓았다. ‘지역주의에 매몰되어 기호 1번을 묻지 마 지지하는 유권자’는 아예 머릿속에 없었다. 그런 유권자는, 투표 결과만 보는 다른 지역 관찰자의 상상 속에서나 다수파로 존재한다.

(중략)

대구 유권자는 ‘호남당’이라 2번을 안 찍는다?

(중략)

이로써 거대한 딜레마가 완성된다. 대구에서 야당은 ‘나쁜 생존법’의 침투에 취약해지며 후보군의 질 저하에 직면한다. 여당은 여당대로 유권자 확보 경쟁보다 공천 확보 경쟁에 특화된 라인업이 꾸려진다. 도시의 하락세를 체감하는 유권자가 새누리당을 심판하고 싶어도, 야당의 ‘더 나쁜 대안’을 받아들면 별수 없이 새누리당을 찍거나 아예 투표를 포기해버린다. 응징파 유권자의 투표율이 떨어질수록(대구는 2010년과 2014년 지방선거 투표율이 최하위였다) 새누리당 고정표는 더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착시’가 일어난다. 대안을 봉쇄당한 유권자의 분노는 쌓여가는데, 선거는 이전과 변함없는 결과를 되풀이한다. 선거 결과만 확인하는 다른 지역의 관찰자들은 “이번에도 지역주의”라는 말로 편안하게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 모든 과정은 서로가 서로를 강화하며 자가 증식한다.

(하략)
출처 2014.06.23. [시사인] 대구를 그렇게 보면 안 되구 말구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20598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