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입맛대로 모드팩 생존기 - 7 - 석기시대 탈출
게시물ID : minecraft_1791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뀨끼뀨끼
추천 : 8
조회수 : 1146회
댓글수 : 2개
등록시간 : 2014/01/26 23:18:09
자, 이제 용광로도 완성되었으니 본격적으로 석기시대를 탈출해보죠.
철기시대여 기다려라!!

음? 왜 청동기는 빠지냐구요?
마크는...청동이 더 만들기 힘듭니다...심지어 청동이 철보다 쎕니다...
모드들을 탓하세요 모드가 그렇게 만들었습니다.

여튼 철이건 청동이건간에 돌도구를 버리고 금속으로 갈아탑시다.
용광로에서 금속을 녹이는 것까진 저번화에 했었죠?
녹은 금속을 도구 파트로 만들기 위해서는 패턴 대신 cast라는 아이템이 필요합니다.
패턴은 나무로 되어있어서 쇳물을 굳힐수가 없거든요. 

2014-01-26_19.49.19.png

오른쪽 NEI에 나무로 된 패턴과 비슷한 모양의 아이템들이 바로 cast입니다.
금색이네요.그말인즉슨, 금이 필요합니다
그런데 금은 돌곡괭이로는 못캡니다.
결국 전 그렇게 금속 도구를 사용하지 못하고 서버를 닫았다고합니다 ~ BAD END ~




...라는 상황을 막기 위해 팅커스에서는 다른 방법을 준비했습니다!
금 대신 쓸 수 있는 금속을 준비해둔 것이죠.
이름하여 알루미늄 브래스!
그냥 알루미늄이 아닙니다. 합금입니다.

팅커스 용광로의 또다른 기능입니다. 바로 합금만들기!
다양한 광물을 녹인 쇳물을 섞어서 합금을 만들어주죠.
물론 아무 광물이나 다 되는 것도 아니고, 비율도 맞춰줘야합니다.

합금을 어떻게 만드는지 보려면, 저번화에 용광로를 만들다 얻었던 검은색 표지의 책을 읽으면 됩니다.
책 이름이 Mighty Smelting 이네요. 정말 쎄보입니다.

2014-01-26_19.56.15.png

책을 펴서 페이지를 넘기다 보면 이렇게 합금 만드는 방법이 있습니다.
참고로 1권 책은 시작하자마자 주고 2권은 툴스테이션을 만들면 주던가? 그럽니다. 
그리고 2권 책을 보면 도구의 재료로 무엇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능력치에 대한 설명과 업그레이드 파츠에 대한 설명이 있습니다.

여튼, 우리가 필요한건 알루미늄 브래스입니다.
색이 금짝퉁이네요.

알루미늄 3개와 구리 1개...라고 되어있네요. 
다행히 알루미늄과 구리는 돌곡괭이로도 캐집니다.

알루미늄이라니..석기시대에서 순식간에 현대로 넘어올기세네요.

2014-01-26_22.45.50.png

3:1의 비율입니다. 저는 알루미늄 9개와 구리 3개를 넣었습니다.

2014-01-26_22.46.39.png

광물마다 녹는점이 다르다는 설정때문에, 알루미늄이 구리보다 빨리 녹습니다.

2014-01-26_22.46.54.png

이제 구리가 녹을때까지 기다리면 되겠네요.

2014-01-26_22.47.35.png

구리가 다 녹는 순간, 구리와 알루미늄이 합쳐져 알루미늄 브래스가 됩니다.
알루미늄 18괴 + 구리 6괴 = 알루미늄브래스 24괴

좋아요! 이제 cast를 만들 수 있게 되었군요.
cast 만드는 법도 마이티! 스멜팅! 에 나와있습니다.

2014-01-26_22.49.07.png

이런 식으로요. 좀비의 습격이 있어서 피가 좀 까졌습니다.

2014-01-26_22.49.53.png

우선 패턴과 돌을 사용해서 기본파트를 만들어줍시다.

2014-01-26_22.51.57.png

만든 파트를 이렇게 캐스팅 테이블에 올리고..

2014-01-26_22.52.13.png

꼭지를 우클릭해주면 안에 있던 알루미늄 브래스가 튀어나옵니다.

2014-01-26_22.53.10.png

굳으면 이렇게 cast가 튀어나옵니다!

2014-01-26_22.53.23.png

알루미늄브래스 괴 하나만큼 필요하네요.
금으로 만들 경우에는 괴 두개분량이 필요하더군요.

2014-01-26_22.54.07.png

참고로 철괴나 벽돌같은 것을 사용해서 캐스트를 만들면 괴도 뽑을 수 있게 됩니다.

2014-01-26_22.55.31.png

일단, 곡괭이를 만들기 위한 캐스트들을 만들기로 하죠.

2014-01-26_22.56.35.png

도끼와 삽을 만들 캐스트도 만듭니다.

2014-01-26_22.56.59.png

남은 괴가 딱 18개네요. 블럭 두개분량입니다.
다른 캐스트는 아직 필요가 없으니 블럭으로 만들어 보관할 계획입니다.
생각해보니, x자모양의 바인드캐스트는 만들 필요가 없는데 만들었네요 이런.

2014-01-26_22.59.50.png

팅커스에서 곡괭이를 만들 때는 이런 식으로 곡괭이머리와 손잡이, 그 둘을 고정시켜주는 바인드 이렇게 세가지 파트가 필요합니다.
그런데 바인드의 경우 채집속도나 채광레벨, 내구도 셋 전부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굳이 금속으로 만들 이유가 없어요...
모디파이어에 영향을 끼치긴 하지만 그마저도 금속으로 만들 이유가 없으니...이부분에 대한 설명은 나중으로 미루겠습니다.
아까운 알루미늄브래스...

뭐, 그래도 남은게 많으니 넘어가도록 하죠.

이제 드디어 금속도구를 만들 시간이 왔습니다.
마을을 처음 들렀을 때, 대장간에서 강철곡괭이를 강탈해왔었습니다. 기억안나면 다시 보고오세요.
그 곡괭이를 화로에 집어넣으면!!
2014-01-26_23.03.27.png
2014-01-26_23.03.37.png

강철이 탄생합니다!
제가 이걸 위해 이 곡괭이를 지금까지 아껴뒀습니다...
내구 100%인 아이템만 가능하거든요 이게.

2014-01-26_23.04.22.png
2014-01-26_23.04.23.png

캐스트에 보면 이런 식으로 Material Cost가 써져있습니다.
저 파트를 만드는데 필요한 괴의 개수입니다.
바인드를 제외하고 강철헤드와 강철 손잡이를 만드는데 1.5개의 강철이 필요하군요.
3개의 강철이 있으니 강철곡괭이 2개분량을 만들 수 있군요!
굳이 강철로 만드려는 이유는... 철보다 튼튼하고 채광레벨이 높기 때문입니다.
강철은 옵시디언도 캘 수 있어요! 굳이 아까운 다이아 곡괭이를 만들 이유가 없다는 말씀!


2014-01-26_23.06.09.png

빨리 녹았으면 조케땅...

2014-01-26_23.08.11.png
2014-01-26_23.08.07.png

두개씩 만들어줍니다.

2014-01-26_23.09.34.png

도구를 만들 때 위쪽에서 이름을 바꿔줄 수 있습니다.
제 네이밍센스는 후지기 그지없으므로 그냥 강철곡괭이라고 지어줍니다...

오른쪽을 보면 Durability(내구도), 채광속도, 채광레벨, 남은 모디파이어 횟수가 보입니다.
채광레벨 코발트는 다이아곡괭이보다 한단계 높은 레벨입니다. 코발트 라는 광물을 캘 수 있다는 뜻이지요.
코발트는 네더에서만 얻을 수 있는 광물로, 팅커스 컨스트럭트 도구를 만드는 재료 중 최상급 재료입니다. 
엄청난 속도와 내구도를 가진 도구를 만들게 해주죠. 후후... 한번에 강철로 온 데는 코발트를 캐기 위한 이유도 있습니다.

그리고 모디파이어라는 건 간단히 강화횟수입니다.
메이플에는 장비마다 최대 강화횟수가 있는데.. 그것과 비슷합니다. 강화 한 종류를 할 때마다 하나의 모디파이어가 소모되죠

업그레이드중에 모디파이어 횟수 늘리는 것도 있고, 파트 재료중에도 그런 것이 있지만...일단 나중에~~

2014-01-26_23.14.00.png

하악하악..이렇게 저는 석기시대에서 단번에 강철도구를 얻게 되었습니다...
다만 단점이 있는데...

2014-01-26_23.17.57.png

수리할 때 강철이 필요합니다....하지만 전 더이상 강철이 없죠...그렇담 일회용이란 말인가?!


네 맞습니다. 일회용입니다.
바로 코발트로 건너가기위한 징검다리일 뿐이죠...

그럼 다음 화에서 뵙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화 예고 - 과연 강철곡괭이의 운명은?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