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20살 '세월호 세대' 우리부터는 달라질 거에요
게시물ID : sisa_729819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허럴
추천 : 20
조회수 : 1086회
댓글수 : 18개
등록시간 : 2016/04/23 12:01:29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740740.html

97년생들에게 세월호 참사는 기성 언론에 대한 불신을 뿌리 깊게 심어놓은 계기가 된 듯했다. 예인씨는 “지상파 뉴스보다도 팟캐스트를 훨씬 믿는다”고 말했다. 지은씨도 “세월호 때 지상파에서 ‘전원 구조’ 오보도 냈고, 세월호 이슈를 빨리 접고 예전으로 복귀하지 않았느냐”며 “지상파 뉴스에서 어떤 이슈를 접하면 ‘이게 과연 맞을까’ 하고 인터넷이나 다른 방송도 찾아보게 됐다”고 말했다.

한국 사회는 좀 달라졌을까. 창신씨는 “좋은 방향으로 바뀌면 좋겠다고 생각할 즈음에 메르스가 터지고 안전에 대해서 다시 불안에 휩싸였다. 메르스 사태를 보면서 깨달은 건 ‘1년 동안 아무것도 안 달라졌구나’라는 거였다”고 말했다. 도윤씨는 “총선에서 안산 지역은 아픔을 가진 도시라며 내가 치유하겠다느니 발전시킨다느니 하는데 그것조차 ‘가짜’ 같다. 세월호를 정치에 이용하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이들의 이야기를 듣던 오지연 국장은 “선생님들도 여전히 마음이 아파서 교실에서 세월호에 대해 얘기하지 못하는 분들이 많다. 힘들지만 서로 얘기하면 의지가 되고 연대가 생긴다. 앞으로도 돈이 아닌 생명과 평화의 얘기를 만들어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변함없는 건 “우리부터는 달라지겠다”는 이들의 굳건한 믿음이었다. 김용환(19·명지대 경영학과)씨는 “그것만이 희망”이라고 했다. “세월호 이후에도 메르스, 국정교과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을 겪으며 한국에 사는 것에 대해 불신과 불만이 쌓였지만, 그래도 다음 대선엔 저희도 투표할 수 있잖아요. 아픔을 겪었으니 우리 세대는 그러지 말아야지, 우리 세대가 바꿔야지 하는 희망이 생긴 건 좋은 일 아닐까요?”
출처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740740.html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2016-04-23 12:06:34추천 31
참91년생들부터 지금세대까지 격동을 겪고 잇네요
광우병 메르스 세월호  새누리가 몰락 한다면청년들이 무너트린 겁니다.
댓글 3개 ▲
2016-04-23 12:08:56추천 13
전 메르스도 아직까지 너무 충격이네요 누가 감염자일지 몰라서 밖에 나갈 때마다 겪던 그 두려움;
2016-04-23 12:11:24추천 17
전 고등학교때 광우병 집회 나갓었습니다. 그리고 세월이 지나니 천안함.연평도.세월호.메르스 아주 차레대로 줄줄이 터지더라구요 적어도90년생부터 97년생들 까지는 새누리당 성향을 가지는게 신기한 세대 들입니다. 저들의 벙크를 다 격엇으니까요
2016-04-23 12:16:03추천 4
네 제가 스무살인데 광우병 장난아니었던건 어렸을 때였는데도 기억나요 그 광우병 영상 보고 소름돋았었는데..
세월호도 진짜 딱 그 기사 뜨고나서 한 한달간은 애들끼리 그 얘기하면서 울었던 것 같아요 내 친구가 죽은 것 같고 이런 사회가 너무 무섭고 슬퍼서ㅠㅠ
그런데 또 메르스 터지고 인터넷에는 환자 저 병원에 있다는데 뉴스에는 한참 늦게 뜨고 그러는 거 보면서 진짜 새누리당은 아니구나... 이랬죠...

이번에 투표 못한 게 아쉽네요...ㅠㅠ
2016-04-23 12:15:40추천 8
젊은 사람들의 참여없이는 바뀔수 없다.
댓글 2개 ▲
[본인삭제]허럴
2016-04-23 12:17:20추천 0
2016-04-25 09:09:18추천 0
한마디 덧붙인다면 젊은세대들의 참여만으로는 완전히 바뀔수는 없습니다.
젊은세대의 표도 한표 기성세대의 표도 한표지요.
기성세대의 투표참여율이라고 좋은 나라는 아닙니다. 오로지 일 없는 노인들의 투표율만이 정상수치죠.
2016-04-23 12:54:51추천 48
한홍구 선생님이 10대들의 사회참여에 대해 이런 뉘앙스로 언급했었는데 그게 생각나네요..

나이든 사람들은 민주주의를 글로 배워 긴가민가한 것이 있는반면에,
지금의 아이들은 민주주의를 배우지 않았어도 생활속에서 체득한 것이라
비민주적인 것에 본능적으로 거부감을 느끼는 거라고,
그래서 광우병 투쟁에서 역사교과서 국정화 반대에 이르기까지
10대들의 참여가 두드러지는 것이다. 이들에게 민주주의는 그냥 생활이다.
댓글 0개 ▲
베스트 게시판으로 복사되었습니다!!!
2016-04-25 08:56:19추천 1
이제야 싹을 틔운것 같아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20대 화이팅!
댓글 0개 ▲
2016-04-25 11:21:19추천 5
90년생입니다 고2어맹뿌부터 지금까지 온갖 병크들을 다 보며 자랐죠. 특정당을 미워하는게 당연할정도로요.
댓글 0개 ▲
2016-04-25 17:24:47추천 5
저도 90년생인데 중딩때 조중동이 노대통령 죽어라 까고 차떼기 한주제에 일진짓하고 노통 뒷통수치는 무리들 보면서 자라서, 조중동이나 새누리당 좋아할일은 치매걸리지않는한 없을듯.. 솔직히 저희부모님세대보다 정치에 훨씬 관심도많은거같아요.
댓글 0개 ▲
2016-04-26 14:16:55추천 0
토하세욧!
댓글 0개 ▲
베오베 게시판으로 복사되었습니다!!!
2016-04-27 02:37:57추천 1
십몇년전 저도 이렇게 생각했었는데.. 저와 친구들만의 착각이었죠..

이번엔 정말 달랐으면 좋겠네요. 동생님들 화이팅 이에요!!!!
댓글 0개 ▲
2016-04-27 02:40:07추천 3
올해 스물 97년생입니다.
생각보다 새누리성향 친구들 많아요 ㅋㅋㅋㅋㅋ.....
정치에 관심은 없지만 아버지한테 들은거 그대로 믿는 친구들 애들 앞에서 자기 정치좀 안다고 새누리 옹호하고 더민주 까는거 보면  진짜 정떨어져요 ㅜㅜ
박정희를 좋게 평가하는 친구들도 꽤있구요~
다까끼없었우면 우리나라 이만큼 까지 안됐다 말하는 애들보면 진심 피가 거꾸로 솟아요;;
댓글 1개 ▲
2016-04-27 02:40:45추천 0
하지만 새누리극혐하눈 친구들이 더 많아요
2016-04-27 02:42:50추천 1
그럼에도... 사람들이 너무 일찍... 너무 빨리 잊어버리는게 문제...

우리민족 특성인가...

쉽게 익숙해지거나... 쉽게 실증내는거...

적응 즉응이 빠른만큼... 빨리 식상해하고, 지루해하는듯...

심지어... 절대로 결코 잊지말아야 할 시대적 비극의 역사까지도.... 금세....
댓글 0개 ▲
2016-04-27 03:12:03추천 0

화이팅
댓글 0개 ▲
2016-04-27 08:00:19추천 1
정치는 멀리 있지 않습니다
우리의 생활이 정치입니다
댓글 0개 ▲
2016-04-27 09:06:09추천 0


댓글 0개 ▲
[본인삭제]▶◀RT
2016-04-27 13:53:19추천 0
댓글 0개 ▲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