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입맛대로 모드팩 생존기 - 12 - 기술모드의 시작 : TE3
게시물ID : minecraft_18009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뀨끼뀨끼
추천 : 6
조회수 : 884회
댓글수 : 3개
등록시간 : 2014/02/03 13:35:16
안녕하세요?
연휴가 주것네요....ㅠㅠ 설날빠이

뭐, 그건 백수에게 상관없으니... 마크나 하도록 합시다.

오늘 저는 기술 발전에 진입하면서 TE3 모드를 사용할건데요, 이건 서멀 익스펜션 3입니다. 
자체 전력 단위인 RF를 사용하고, 규모가 그리 크지 않은 기술모드이지만 있을건 다 있고 인터페이스 측면에서 선구자 격인 메이저모드지요.
여튼...요 며칠 쉬는 동안 저는 팅커스 용광로를 사용해서 광물을 괴로 바꿔뒀는데요.

2014-02-03_12.21.48.png

순서대로 금 은 동 철 철 철 주석 구리 순입니다.
일단 필요한 광물들을 적당한 양만큼씩 만들어둔겁니다.

2014-02-03_12.22.02.png

이중 동은 자연광물이 아니고 합금인데. 포레스트리가 있다면 괴 상태에서 구리 3 주석 1로 조합을 해도 되고, 
아니면 광물가루상태에서 같은 비율로 조합을 해도 되는데, 전 팅커스 용광로를 사용해서 합금을 만들었습니다.
비율은 똑같이 3:1입니다.

2014-02-03_12.09.04.png
2014-02-03_12.09.05.png
2014-02-03_12.09.06.png

이런 식이죠.

이제 괴도 준비되었고, 레드스톤도 캐온 것이 있으니 바로 기계들 제작에 들어갑시다.
기술발전을 할 때 가장 중요한 건 역시 전력공급이죠.
그러니 서멀익스펜션의 발전기인 Dynamo부터 만들도록 합시다.

2014-02-03_12.28.00.png

옆 nei를 보면 dynamo 처럼 생긴 것이 5가지가 보입니다. 이중 맨 오른쪽 다이나모는 로터리크래프트에서 추가하는 에너지호환용이므로 일단 뺴두고..

서멀에서 추가하는 다이나모의 종류에는 총 4가지가 있습니다.
지금 레시피가 떠있는, 물과 고체연료를 사용해 스팀 다이나모, 용암을 사용하는 마그마틱 다이나모,
액체연료와 냉각수를 사용하는 컴프레션 다이나모, 액체연료와 반응물질을 사용하여 컴프레선보다 더 많은 발전을 하는 리액턴트 다이나모 입니다.
예전엔 전부 출력이 달랐는데, 지금은 출력이 80 RF/t으로 전부 같습니다. 컴프레선과 리액턴트는 같은 연료일 경우, 연료당 발전량이 다릅니다.
스팀 다이나모의 경우 이름에서 볼 수 있듯이 증기발전을 하는데, 차후 레일크래프트의 보일러 등을 통해 스팀만을 받아와 발전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이중 저는 초반에 가장 운영하기 쉬운 스팀 다이나모를 만들겁니다. 청동으로 제작하죠.
청동 기어가 들어가는데, 빌크레시피와 서멀 레시피 둘 다 가능합니다. 빌크레시피가 좀 더 복잡하지만 싸고, 서멀 레시피는 좀 비싸지만 편합니다.
사실 별 차이 없으므로 그냥 서멀 레시피로 제작하겠습니다.

2014-02-03_12.34.21.png

두개 만들어줍시다.
위의 빨간 막대기는 레드스톤 트랜스미션 코일입니다. 

2014-02-03_12.36.48.png

가운데에는 은이 들어갑니다.
코일의 경우 세가지가 있는데, 가운데에 들어가는 재료로 종류가 바뀝니다,
레드스톤 리셉션 코일은 금, 레드스톤 트랜스미션 코일은 은, 레드스톤 컨덕턴스 코일은 일렉트로늄이 들어가죠. 
일렉트로늄은 금과 은의 합금입니다.

2014-02-03_12.39.24.png

쉬프트키를 눌러보면 자세한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발전기를 만들었고...이젠 기계가 필요하겠네요.

서멀익스펜션의 기계들은 머신프레임이라는 기본 틀을 필요로합니다.

2014-02-03_12.41.52.png

넉넉하게 여덟개 만들도록 합니다.

그리고.. 광물정제...라기보단 광물갈갈이 기계인 펄버라이저를 만들도록 합시다.
광물정제 비율은 1:2로 팅커스 용광로와 같지만, 10%정도의 확률로 부산물이 튀어나오기도 하고, 
레드스톤이나 다이아몬드, 청금석 등도 원석을 갈아서 행운보다 더 높은 비율로 얻을 수 있기도 합니다.

2014-02-03_12.48.16.png

비싼 피스톤이 들어가네요.. 정확히는 만들기 귀찮은거지만. 그리고 리셉션 코일이 들어갑니다. 금이 필요하다고 했었죠?

2014-02-03_12.49.17.png

서멀의 화로인 레드스톤 퍼네스에도 필요하니 두개 만들어줍니다.
피스톤은 만들지 않고, NPC마을의 팅커스집에서 뜯어온 걸로 씁니다. 팅커스집에는 양털 9개와 피스톤 한개가 꼭 있거든요.

2014-02-03_12.52.37.png

하나만 만듭시다... 밑의 두 괴는 구리입니다.

2014-02-03_12.53.04.png

레드스톤퍼네스입니다. 벽돌이 필요하네요. 아껴뒀던 점토를 구워줍시다

2014-02-03_12.53.53.png

구워질 때까지 휴식시간!

2014-02-03_12.54.34.png

...동안 매지컬크롭을 캐줍시다. 엔더릴리는 덜 자랐네요.

2014-02-03_12.55.21.png

좋아 이거면 충분해!

2014-02-03_12.55.47.png
2014-02-03_12.55.51.png

이렇게 기계가 두개 완성되었습니다.
자, 발전기 하나에 기계 두 개! 무엇이 더 필요할까요? 
바로 전선입니다.

서멀익스펜션은 산업모드와 비슷하게 전선에 등급이 있습니다. 전선의 등급이 높을수록 전송할 수 있는 에너지량이 달라지죠.
다만 전선이 받을 수 있는 전력보다 더 높은 출력을 준다고 해도 전선이 녹아버리거나 하진 않습니다. 정확히 자신이 전할 수 있는 양만큼만 전송할뿐...

전선의 이름은 에너지 컨두잇입니다. 3단계가 있으며 리드스톤 에너지 컨두잇, 하든드 에너지 컨두잇, 레드스톤 에너지 컨두잇으로 나뉘고
리드스톤 에너지 컨두잇이 가장 낮은 등급입니다.

그리고 이름에서 볼 수 있듯이 납이 필요합니다...그런데 제가 납을 안만들어뒀네요 이런..!!
좀 더 자원을 아낄 수 있는 방법이 있지만 귀찮으므로 그냥 팅커스에 투척하도록 하겠습니다.

2014-02-03_13.03.30.png

어서 녹으시오 어서!

2014-02-03_13.05.13.png
2014-02-03_13.05.32.png
2014-02-03_13.05.44.png

여튼 이런식으로 리드스톤 에너지 컨두잇을 만들어줍시다. 한번만 만들어도 여섯개가 나오니 한번만 만들어줍니다.

2014-02-03_13.06.34.png

한번에 전송 가능한 에너지량이 80 RF/t입니다.  80 RF는 8 MJ 입니다. 빌크전력과 1:10의 비율이죠...
뭐, 자세한 건 나중에 기회가 되면 설명하고... 일단 만들어진 기계들을 설치해봅시다.

2014-02-03_13.10.39.png

좁아터진 집...슬슬 이사나 확장을 해야겠군요.

2014-02-03_13.11.42.png
2014-02-03_13.11.44.png

대충 바깥쪽에 이런 식으로 배치해줍니다.
우선 기계에 대한 설명 이전에 다이나모부터 봅시다.

2014-02-03_13.13.08.png

석탄을 넣었지만 작동하지 않습니다...왜냐면 증기발전이니까요. 물공급을 해야합니다.
깜빡하고 만들질 않았군요..이런..

2014-02-03_13.14.32.png
2014-02-03_13.14.34.png

일단 양동이로 물을 부어주니 이렇게 스팀을 이용해 발전하는 모습이 보입니다.

2014-02-03_13.16.19.png
2014-02-03_13.16.21.png
2014-02-03_13.16.25.png

다른 기계에 전기를 먼저 공급한 후, 더이상 전기를 보낼 곳이 없으면 자체저장공간에 저장합니다.
그마저도 가윽차면 전기 생산을 중단하죠. 그리고 전기가 소모되면 다시 생산하기 시작합니다.
똑똑한 발전기입니다.

2014-02-03_13.18.05.png

인터페이스 우측 아래 레드스톤버튼을 클릭하면 레드스톤으로 엔진 제어가 가능하단 것을 알려줍니다.
기본설정은 전부 레드스톤이 꺼졌을때 작동, 켜지면 멈춤입니다.
왼쪽은 레드스톤 신호 무시 설정이고  오른쪽은 레드스톤 신호가 들어올 때만 작동하는 것으로 기본설정과 반대입니다.
서멀 모든 기계 공통입니다.

이젠 다른 기계의 인터페이스를 확인해보죠.
레드스톤 퍼네스를 봅시다.

2014-02-03_13.21.13.png

조약돌을 구워 돌을 만들어 봅시다.
오른쪽 맨 아래의 기어모양은 아이템, 액체등의 입출력 설정을 나타냅니다.
아이템 들어간 칸의 색을 보면, 기계가 아이템을 받는 부분은 파란색, 결과창은 주황색으로 나옵니다.

그리고 오른쪽 아래는 육면체 기계의 각 면별 설정을 나타내죠. 대충 감이 오시나요? 
정면을 기준으로 오른쪽 면으로는 결과물을 출력하고, 정면과 오른쪽 면을 제외한 다른쪽 면으로는 아이템을 입력받을 수 있습니다.
현재 설정으로는요.
이 설정도 바꿀 수 있습니다.

2014-02-03_13.24.22.png

간단히 저 컨픽창의 면을 클릭하는거만으로 바꿔줄 수 있죠.

2014-02-03_13.25.04.png
2014-02-03_13.25.06.png

결과물이 나오는 면에 상자를 달아주니 바로 넣어줍니다. 참 편리합니다.
대신 아이템 입력은 호퍼나 파이프 등을 사용해서 직접 넣어줘야만 합니다.

이 입출력 설정이 좀 이해가 안간다 할 경우엔...

2014-02-03_13.31.41.png
2014-02-03_13.31.19.png





2014-02-03_13.31.37.png
2014-02-03_13.31.22.png

이런 식으로 기계를 직접 보고 확인 가능하니 이해가 금방 됩니다.

이 인터페이스 설정이 서멀익스펜션을 기술모드의 탑으로 끌어올려줬다고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알아보기 쉽고 편하고...
애초에 아이템 입출력 설정 자체가 서멀 첫 등장때 당시로서는 획기적이었습니다.
꽤나 준수한 기계 텍스처, 모드의 안정성과 최적화 등도 한몫 했지만요.

글이 꽤 길어졌네요.
이번 화는 여기서 그만!

다음 화 예고 - 발전 또 발전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