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자전거. 오해와 진실 - 싸이즈
게시물ID : bicycle2_1728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jogi
추천 : 11
조회수 : 4947회
댓글수 : 5개
등록시간 : 2014/02/03 22:08:29
자전거가 좋아서 현재 자전거 업에 종사하고있는 1인입니다.
많이들 아시겠지만 혹여 잘못된 정보로 손해를 보는 상황이 없도록 글을 남겨봅니다.
이 내용은 로드싸이클을 기반한 정보이며 다른 종류의 자전거와는 상이할수 있습니다.


 나에게 맞는 자전거는 어떤것일까?

-회사별 자전거 싸이즈

저희들은 신발을 구매할때 싸이즈를 보고 구매를합니다.
이는 제품을 구매할때 맞지 않는 제품을 선택하는 불상사를 막게 해줍니다.
하지만신발을 많이 구매해보신 분들이라면 아실꺼라 생각됩니다만
제조사마다 같은 싸이즈라고 해도 조금식 크기가 다르다는것을 아실수 있습니다.
신발을 예로 들자면 동일한 싸이즈라고 해도 발폭이 좁거나 넓은 경우가 있어서
한치수 작게 신거나 크게 신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각 회사에서 지정해주는 싸이즈가 소비자에게 맞는 절대적인 지표가 되지 못한다'
와 같은 말이며 자전거 또한 이와 마찬가지 입니다.
자전거의 지오메트리는 조금의 차이로도 탑승자의 느낌이 많이 달라질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싸이즈또한 동일한 싸이즈 일지라도 차이가 날수 있다는것은 명백한 사실입니다.
(물론 자전거의 역사가 많이 진행되어 큰 차이는 없을수도 있지만 각기 회사들이 내새우는 기술의 모토에 따라서 달라지게 됩니다)
(이는 공식 규격이 없기 때문에 일어날수 있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프레임 싸이즈

흔히들 키가 작으신분들은 44싸이즈의 자전거를 타셔야 된다고 말씀하시곤 합니다.
이는 절반만 맞고 절반은 틀린 대답이 될수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자전거 회사가 자전거의 싸이즈를 표기하는 방식은 시트튜브의 길이입니다.
이는 자전거를 데이터 상으로 분류하기 위한 표기이지 사람이 구매하기 위한 지표가 되지는 못합니다.
단지 이 싸이즈가 대략적으로 어떠한 지오메트리를 갖게 되고 그 싸이즈와 키가 맞아떨어지는 경우라고 보시는것이
가장 맞는 대답이 되겠습니다.
자신에게 맞는 자전거를 고르는 방법은 2개의 기준을 맞추어서 고르는 방법이 가장 맞습니다.

첫째로 안장코에서 핸들방향으로 5cm 거리가 되는 지점의 탑튜브에 탑승자가 섰을때 인심과 탑튜브의 거리가 1인치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이는 자전거를 타고 내리거나 사고를 당했을때 2차적인 부상을 막는 기준이 됩니다.
이 방법은 절대적이며 취향에 따라 이를 어기고 탈수는 있지만 그만큼 위험성은 감수해야됩니다.

두번째로 자신의 신장(앉은키와 팔길이) 대비 '유효 탑튜브'의 길이를 맞추어서 타는 경우입니다.
이 유효탑튜브 길이를 맞추시면 사실상 대부분의 자전거들은 첫번째 요소는 자동적으로 따라오게 됩니다.

많은 분들께서 시트튜브의 길이를 중요하게 보시는것 같지만
사실상 시트포스트의 길이로 대부분의 싸이즈를 조절하여 맞출소 있기 때문에 이는 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자전거의 앞뒤 거리는 조절할수 있는 부분이 스템과 안장레일의 조절이 있지만 이를 조절한다고 해도
자전거의 축이 변하는것은 아니기 때문에 조향감이나 힘 전달력 부분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시트튜브의 길이는 자신에게 맞는 자전거 싸이즈를 구하는 수치로는 부족하며
유효 탑튜브의 길이로 싸이즈를 정하는 편이 싸이즈 오류를 최소화 할수 있는 방향
혹은 자전거가 갖고 있는 최대의 능력치에 가깝게 타실수 있는 방향이 되겠습니다.

1386836829.png

* 유효탑튜브 = 사진상의 B1 (위의 표는 비앙키 울트레cr2 모델 기준이며 제조사마다 표기법은 차이가 있슴)
여기서 주의해야 할점은 사진상의 BS와 B1을 혼동하실수 있는 부분인데 BS는 탑튜브 길이를 나타낸다.
논슬로핑의 경우 유효탑튜브와 탑튜브의 길이를 동일하게 표시할수 있지만
슬로핑 타입의 자전거는 위의 경우처럼 따로 구분되어 있다.
유효탑튜브 = 탑튜브 정 중앙부터 시작해서 지면과 수평으로 가상의 시트튜브 중앙 라인과 만나는 거리를 유효 탑튜브라고 한다.


* 유효탑튜브 거리 계산
(상체길이 + 팔길이)*0.48 = 탑튜브 거리.
여기서 상체길이란 앉은 상태에서 어깨 까지의 길이를 말한다.

* 재미있는것은 굳이 유효탑튜브 거리 계산을 상체길이와 팔길이로 공식에 적용하지 않고 키만으로 구분할수 있는점인데
똑같은키에 상체가 길다면 팔다리가 짧고 상체가 짧다면 팔다리가 길기 때문에 신장만으로도 대략적인 싸이즈를 구분할수 있다.

* 사실은 자전거 지오메트리가 고만고만해서 자전거 회사에서 표기한 싸이즈만으로 자전거를 구매해도 큰 문제가 없을수 있다.
단지 탑튜브의 슬로핑 각도가 큰 자전거의 경우에는 이 싸이즈 표기와 별개로 유효탑튜브 길이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자신의 싸이즈보다 큰 자전거를 타게 될수도 있다.

예를들어 마지의 에볼루지오네 50 싸이즈는 탑튜브가 530mm 이고 프리미아레 시리즈는 50싸이즈에 탑튜브가 545mm 이다.
이렇게 되면 탑승자는 상체를 더 숙이게 되며 이에 따라 팔과 어깨 그리고 목에 통증을 유발할수 있다.
물론 스템을 줄여서 탄다면 되겠지만 위에서 언급한대로 자전거의 무개중심은 크게 틀엊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에보 50싸이즈를 타던 사람이 프리미아레 시리즈를 타게 된다면 탑튜브의 길이가 530mm 인 46.5 싸이즈를 타야된다.


더 쓸까 하지만 더쓰면 지루하므로 여기서 끝.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