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노래들으며 철학하기4(동방신기 풍선-맹자 성선설)
게시물ID : phil_8409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궤변론자
추천 : 3
조회수 : 928회
댓글수 : 2개
등록시간 : 2014/02/27 15:43:46

원곡 다섯손가락 풍선


리메이크 동방신기 풍선



웅~ 순수해!



가사 한번보죠.


지나가 버린 어린 시절엔
풍선을 타고 날아가는 예쁜 꿈도 꾸었지


노란 풍선이 하늘을 날면
내 마음에도 아름다운 기억들이 생각나

내 어릴 적 꿈은 노란 풍선을 타고
하늘 높이 날으는 사람


→어린시절의 노란 풍선을 타고 하늘을 나는 예쁜 꿈 = 어릴 적 순수한 마음 즉 성선설



그 조그만 꿈을 잊어버리고 산 건
내가 너무 커 버렸을 때


→어른이 되어 순수한 꿈을 잊어버림 = 원래는 순수했는데 사회속에서 살다가 순수성을 잊어버림



하지만 괴로울 땐 아이처럼 뛰어 놀고 싶어
조그만 나의 꿈들을 풍선에 가득 싣고


→그러나 지금도 그 꿈을 꾸고 아이처럼 뛰어 놀고 싶어함 = 본성은 선함!!



공자와 맹자 순자가 살던시기에 춘추전국시대라고 해가지고 사회가 막 혼란하고 하극상풍조가 만연했다.

요새 지하철 막말남 막말녀 처럼 어른들에게 욕하고 때리고 도덕적으로 개판이였다는 거라고 이해하면 간단할듯?



아니 유치원때는 아이들이 막 순수하게 뛰어놀고 그러는데

왜 고삐리가 되니깐  대마초 마리화나 피고 욕을 찍찍 하나요? 맹자한테 물어보면 뭐라고 답변할까?

맹자는 유교의 공자님 사상을 받든 제자이다. 공자 역시 말로는 표현 안했지만 인간은 선하다라고 했다.


그걸 맹자가 강조하게 되어 맹자의 성선설이 유명하다.  

맹자는 원래 인간자체는 선했는데 사회가 이렇게 만들어버렸다. 라고 답변 할것이다.

즉 공자가 주장한 사회적규범인 "예"가 공자님 때 보다 더 망가졌다라고 생각 할 것이다.


맹자는 인간의 선한 마음을 구체적으로 4가지로 표현했다. 통상 4단이라고 한다.

단이 한자로 시초 시작 이라는 뜻이다.


4단은

측은지심(불쌍히 여기는 마음)

수오지심(부끄러워하고 미워하는마음)

사양지심(겸손과 양보하는 마음)

시비지심(옳고 그름을 분별을 분별하는 마음)


이게 4덕인 인의예지의 뿌리라고 말했다.

즉 공자가 인간은 착하다!라고 말했다면 근데 왜 착해요? 누가 질문 했을때

맹자가 응 그건 4단이 있기 때문이야라고 구체적으로 설명해준거다.


공자의 4덕중에 강조한것은 인(내면적 도덕성 사랑)과 예(사회규범)였다. 그러나 맹자는 사회규범 즉 사회자체가 망가졌는데

무슨 예가! 중요해!! 라고 비판 한 것이다. 원래 우리 아이들이 커서 풍선을 타는 착한 마음을 가져야 하는데

입시교육때문에!! 이렇게 되었으니 예는 받아들이지 않고 인과 의가 더 중요하다고 했다.


공자라고 인과 예만 하자! 라고 하진 않았다.

인의예지 다 중요한데 꼭 필요한게 있다면 인과 예!다. 라고 말한 것이지.

다시 정리해보자면 인(내면적 도덕성 따뜻한사랑) 의(옳을의 사회적 정의) 예(사회규범) 지(지혜지=그냥 의와 유사하다.)


그러면 맹자님은 어떤게 가장 중요해요? 라고 물어 봤을때 인과 의라고 했다.

공자님이 중요하다는 인을 받아드렸고 예는 버리고 의를 받아드렸다.

의란 옳고그름을 명확히 판단할 수있는 사회적 정의이다


이런 걸 계속 열심히 하는 이상적인 인간을 대장부 대인이라고 한다.

옳은 일을 반복적으로 하는 행위를 집의라고 다른말로는 호연지기라고 한다. 뭐 용어는 외울필요는 없어요.


왕도 인과 의로 다스려야 한다는 왕도정치를 주장하였다.

백성들이 왕이 지멋대로 백성들 괴롭히고 수탈하고 하면 왕을 끌어내려도 좋다!

역성혁명을 주장 했다.


공자보다 사실 더 혁명적인 거죠.

공자는 아무리 왕이 못살게 해도 왕을 엎어버리자라고는 안했다.

공자가 만약에 박정희가 막 독재하면서 사람 때려죽인걸 봤다면 사람들에게 뭐라고 말할까?

많이 힘들겠지만 견뎌 냅시다.라고 하겠지. 왜냐 정명사상을 주장했으니깐 왕은 왕답고 백성은 백성 다워야 하니깐

그러나 맹자는 박정희가 백성들 못살게 굴면 혁명을 일으켜도 좋다! 라고 생각 하겠지요.


요약하자면 공자는 인간은 착해!라고 주장했다면 왜 착해 맹자가 4단이 있기 때문이지!

공자는 개인이 잘하면 사회도 좋아진다. 하지만 왕 역시도 도덕적으로 살아야하고!

맹자는 개인이 아무리 착하고 잘해도 사회가 개망이라 나아지지 않는다. 왕이 도덕적으로 안살면 엎어버려!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