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어제 썰전에서 전변이 구라 이름 바꾸라고 일본 식이라고?
게시물ID : sisa_754138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Astair
추천 : 21/4
조회수 : 2207회
댓글수 : 53개
등록시간 : 2016/08/19 09:56:26
하아... 여러분... 구라... 일본 이름 아니에요...

불교 설화에 나오는 곤충 입니다.

정확히는 가라구라충이라고 하구요.


우리가 흔히 구라치면 한번으로 끝날게 아니라 횟수가 점점 많아져서 걷잡을 수 없이 커진다고들 이야기를 하잖아요?

근데 이 구라가 불교 설화에서 원래는 벼룩만큼 작은데.. 자기 힘보다 더 큰 바람을 만나면 이 구라가 점점 커져요.


그래서 우리가 거짓말과 비교를 한거라고 하더라구요.
우리가 흔히 거짓말을 하면 그 거짓말이 거짓말을 낳고 계속 그게 커지니.. 구라치지 말라고 비속어 비슷하게 이야기를 한건데.
사람들이 의외로 너무 구라라는 단어 어원을 모르는 것 같더라구요..


김구라씨... 일본식 이름 아니구요~
김구라씨도 어원을 몰랐더라구요~


여튼,, 욕도 의미를 알고 해야 한다는 것처럼
전변이 무식하게 일본식이라고 이야기하는 것에 한숨밖에 안나오고...

더 깜짝 놀랄만한 것은 국어사전에도 구라가 표준어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일본어로 거짓말은 '우소'라고 하는데... 우소가 구라라고 바뀌어서 부를리는 전혀 근거 없구요.
불교설화나 공부를 한 고승분들이나 불교에 심취한분들이 아닌 이상 불교 신자들도 잘 모르는 가라구라충...
우리가 흔히 말하는 구라.. 허풍, 허세, 그짓말!

일본어라고 하지 마세요~
엄연히 국어사전에 표준어로 등록된 단어이고, 불교에서 처음 나온 단어입니다^^

그렇다구요~ㅎ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2016-08-19 10:01:52추천 34/3
처음 알았어요!
댓글 1개 ▲
2016-08-19 10:16:54추천 17/12
저도 깜짝 놀랐습니다.
원래 이 가라구라충이.. 자기힘보다 더 쌘 바람을 맞으면, 몸이 점점 커지면서 먹는다고 하는데,
스님들이 원래는 어려움 풍파를 이겨내기 위해서 몸이 커지고, 그것을 이겨낸다는 좋은 의미에 곤충이라고 이야기해 주셨습니다.
대지도론이라는 대승불교 인도 스님의 저서에 나오는 곤충이라고 하네요.
[본인삭제]제한된닉네임
2016-08-19 10:06:18추천 0
댓글 0개 ▲
[본인삭제]정무적판단
2016-08-19 10:17:42추천 19/22
댓글 3개 ▲
2016-08-19 12:38:01추천 31/5
전원책 뿐만 아니라 거기 나왔던 유시민도 그렇고 저를 포함한 시청자 대다수가 몰랐던건데 한사람에게만 뭐라하지 마세요.
2016-08-19 12:53:49추천 20/3
brilliant5 // 하지만 자신도 제대로 알지 못하는 걸 갖고 일어라고 몰아붙이는 태도엔 분명히 문제가 있죠.
[본인삭제]정무적판단
2016-08-19 13:38:15추천 5
2016-08-19 10:26:11추천 50/3
와.. 이제껏 구라를 일본어라고 생각한적은 없지만,

그저 은어라고 생각해서, 애써 안쓰던 말중에 하나였는데 (그러면서 뻥이라는 말은 씀 ㅇ_ㅇ;)

새로운 사실을 알고 가네여 ㄷㄷㄷㄷㄷㄷ

구라라는 단어가 저렇게 깊이 있는 단어였을줄이야..!
댓글 0개 ▲
2016-08-19 10:35:28추천 15/6
くらます[暗ます·晦ます]
[5단활용 타동사]
1.(모습을) 감추다.
2.속이다.
댓글 1개 ▲
2016-08-19 11:05:47추천 8/15
1위가 "구라"라는 기사를 보고 "구라는 거짓말이란 뜻인데 그게 일본어야?" 하고 놀랐슴...
찾아보니 일본어 暗(くら)ます에서 유래되었다는 포스팅이 좀 있음...
くらます의 뜻은 사라지다, 속이다 라는 뜻인데 거기서 왔다는 주장임...
근데 그렇게 주장하면 일본어에서 어두울 암(暗)자를 쿠라로 읽기 때문에 어둡다라는 일본어가  暗い(くらい)임...
훨씬 많이 사용되는 이 쿠라가 어둡다라는 의미로 건너왔다면 그런갑다... 하겠지만 뜬금없이 くらます의 쿠라가 건너와 거짓말이란 뜻의 구라가 되었다... 는건 좀 설득력이 떨어짐...
이라고~ http://blog.daum.net/josephhkang/756 이 블로그에서 설명해주네요^^
2016-08-19 10:35:58추천 91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46678&yy=2009

원래 ‘구라’라는 말은 도박판에서 쓰던 말이다. 일본말 ‘구라마스’(속이다)에서 유래돼 ‘구라’로 변형됐다는 게 정설이다. 그것도 일제강점기 시절에 일본인이 많이 거주했던 경상도의 도박판에서 주로 쓰이다 전국적으로 통용되기 시작했다고 한다.
댓글 2개 ▲
2016-08-19 12:30:17추천 64
도박판에 한표..
불교다닌다는 사람들도 생소하다는 가라구라충보다는
건설판,도박판,당구판같은 일본용어를 막 쓰는곳에서의
일상적인 전파효과가 훨씬 클것같음..
2016-08-19 12:50:22추천 9
방송인 김구라는 애초에 일본어에서 파생된 어원쪽으로 해석했으니 이름을 구라라고 지었겠죠. 현재에는 비속어로 쓰이고 있더라도 원래 어원이 본문처럼 건전한 것에서 파생 된 쪽으로 알았더라면 김'구라'라고 이름을 안지었겠죠.
2016-08-19 10:37:42추천 19
국어 사잔에 등록된 구라에

1. ‘거짓말’을 속되게 이르는 말.
2. ‘이야기’를 속되게 이르는 말.
3. 거짓이나 가짜를 속되게 이르는 말.

라고만 되어있지 저런 거창한 어원은 없는데요?
댓글 3개 ▲
2016-08-19 11:18:53추천 4/23
http://blog.naver.com/leeasaki/220356624777
이곳에서도 구라에 대한 어원에 대해서 설명을 하는데.
우선 제가 이해하고 있는 종교적인 관점에서에 구라라는 단어에 의미를 다시 언급을 하거구요.
결론은 구라가 일본말이 아닌 국어에 등록이된 단어라는 점. 아니라는 것을 알려드리고 싶었습니다.
위에 적어놓은 블로그에도 나왔지만, 쿠라마스가 구라가 됐다는 설은 신빙성이 떨어진다고 이야기 하고 있는 부분이 있다고 이야기하는 것을 보고 일재의 잔재는 아니라고 적어놓은 것입니다.
저는 흔히 사람들이 이야기하는 구라라는 것이 단순히 부정적인것으로만 생각해서, 좋은 의미의 불교에서 전해지는 구라도 있다라는 것을 알려드리고 싶었기에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
2016-08-19 11:22:22추천 3/20
실제로 국어사전에 등록을 할 때, 언어학자들이 일본의 잔재라고 생각이 들었으면, 아예 등록을 하지 않았을거라는게 제 생각이구요.
불교에서는 이렇게도 이야기하는구나~ 이런 의미도 있구나~라고만 이해해주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2016-08-19 12:44:14추천 7
//국립국어원 관계자는 “‘구라’와 ‘애매하다’가 우리말이나 한자어라든지, 혹은 일본어 표현이라는 공식적인 입장을 밝히기가 어려운 상황”이라며 “학계에서도 논쟁의 여지가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5&aid=0000770839
.
국립국어원도 잘 모르겠다는데요?
단지 국어사전에 등록됐다고해서 국립국어원이
다 조사하고 올린거라는 믿음은 안가지시는게 좋습니다..
사람들이 자주 쓰는 단어들이라서 안올릴수가 없을뿐
걔들도 삽질 많이 하거든요..ㅋ
2016-08-19 11:21:09추천 0
어쨌거나 표준어면 문제될게 없겠네요
댓글 0개 ▲
베스트 게시판으로 복사되었습니다!!!
2016-08-19 11:44:24추천 82
여러 썰 중에 하나 이난가요?

저도 전원책 변호사를 좋아하는 사람이 아니지만, 여러 썰 중에 하나를 근거로 한 발언을 가지고 타인을 무식하다고 표현하는게 더 무식한 것 같네요.
댓글 1개 ▲
2016-08-19 11:46:22추천 10
저도 동의..
2016-08-19 11:44:46추천 7
구라(口罗) 이거 말 잘 하는 사람한테 구라가 좋다라고 한자로도 쓰는데 그 구라가 아닌가요?
댓글 1개 ▲
2016-08-19 13:32:35추천 1
저도 요기에 한표~ 옛분들은 말 잘하는 사람 보고 '구라'라고 불렀음..... 성 붙여서 이구라 최구라 정구라 이런식으로....(ex.무릎팍도사에서 유홍준씨 편 보면 구라라는 말을 말 잘한다는 의미로 사용함.)
김구라 이름이 거짓말친다 말고 위의 말 잘한다는 의미가 맞다면 일본어도 불교용어도 아니고 걍 한자어 ㅇㅇ.....
구라에 거짓말하다-라는 의미만 있는게 아닙니다 요로분........ 근디 또 사전 찾아보면 안나오네요 홀홀
[본인삭제]GooseHouse
2016-08-19 11:45:07추천 0/7
댓글 0개 ▲
2016-08-19 11:49:40추천 31
요약하면 어원이 다양하니까
판별할수없다. 가 맞는듯하네요..
댓글 0개 ▲
[본인삭제]요네스뵈
2016-08-19 11:54:53추천 14
댓글 0개 ▲
2016-08-19 12:03:27추천 9
도박판 노름꾼들이 사용하던 '구라'가
일본어에서 나온 말이 지금껏 쓰이는 거라고 들었습니다. 예전 어렸을때 동네 나이많은 어르신들이 회관에서 화투치시면서 구라라는 말을 쓰시길래 여쭤봤더니 혼내시면서 알려주시더군요. 원래 노름꾼들이 쓰는 말이라면서 일본어니 어쩌니 하시면서.
댓글 0개 ▲
2016-08-19 12:15:05추천 27
어원 자체가 확실하지 않은 말인데다가,

보통 일반인 분들은 일본어라고 알고 있는 사람이 많은 상황에서,

이런 이런 썰도 있답니다~

하면 될걸

자기가 마음에 안드는 사람이 했다고 무식하니 뭐니 하는 꼴이라니..
댓글 0개 ▲
베오베 게시판으로 복사되었습니다!!!
2016-08-19 12:22:51추천 0
소나기가 왜 소나기인줄 아세요? 비오는걸로 소내기해서 그럼 깔깔깔
댓글 0개 ▲
2016-08-19 12:23:01추천 0
아닌데!
입 구
아름다울 라
인데!!
댓글 0개 ▲
2016-08-19 12:24:14추천 9
저도 비공 드립니다
전변이 맘에 안드는건지 아니면 어제의 그 발언이 맘에 들지 않은건지는 몰라도 어원의 유래가 여러 설에서 나온건데 이렇게 한 사람을 '무식하다'고 비하하는 건 옳지 않기 때문입니다
댓글 1개 ▲
2016-08-19 12:51:31추천 4
애초에 김구라도 전변이 말한 어원쪽을 생각해서 예명을 지었는데 말이죠.
2016-08-19 12:27:53추천 0
니가 가라 하와이
댓글 0개 ▲
2016-08-19 12:29:23추천 8
김구라 예전을 생각해보면 대부분이 생각하는 그 구라일텐데요?
댓글 0개 ▲
2016-08-19 12:30:16추천 0
치다 라고 하는게  구라치다와 사기치다가 있죠.
불교설보다 일본설에 더 신빙성이 있는것이 그전에는 구라치다 라는 말이 없고 강점기이후에 생겨났죠.
댓글 0개 ▲
2016-08-19 12:36:24추천 0
100프로가아니고 설령 9대1 이라도  어원이 다양한것이니

내말도 맞고 네말도맞고

정확한건 전원책도 어떤면에서는 무식하긴한데 저 구라라는 말에대한 언급은 무식보다는 전원책이 알고있는 사실도 사실이다 라고해야하는데

문제는 이제부터 김구라가 제 구라는 불교에서 온구라입니다 라고 하면  그렇다할지라도 그냥 ㅇㅇ 해야된다는점.
댓글 0개 ▲
2016-08-19 12:38:03추천 0
가라 라는 말도 저희 지방서 많이 썻는데 관계잇을까요? ㅋㅋ
보통 가짜 라는 뜻으로 썻는데 일본어 어원인줄알앗는데 이글보니 아닌듯도하네요
댓글 3개 ▲
2016-08-19 13:19:12추천 1
"가라"라는 말은 일본어의 카라(空)에서 온 말일겁니다. "속이 비었다"는 뜻이죠. 그래서 허풍, 거짓말, 가짜의 의미로 쓰입니다.
2016-08-19 19:35:34추천 0
아 글쿤요 감사합니다~
2016-08-20 00:38:24추천 0
가라는 무늬를 뜻하는 말아닌가용
하나가라 花柄 꽃무늬인 것처럼
겉에만 치장되어잇는 느낌?
2016-08-19 12:38:13추천 14
구라 하우스용어 맞음

저건 진짜 억지임
댓글 0개 ▲
2016-08-19 12:39:06추천 5

구라 라는 단어가 유독 도박판에서 많이 쓰이긴하죠
댓글 0개 ▲
2016-08-19 12:56:05추천 5
구라의 어원에 대해서 명확히 밝혀진 바는 없습니다. 유력한 설이 있을 뿐입니다. 신선한 해석이기는 하지만 자신이 알고 있는 설만이 정설이라고 내놓는 꼴이 보기 좋진 않군요. 비공드립니다^^;
댓글 0개 ▲
2016-08-19 13:02:14추천 0
외래어 중에 유독 일본어에만 박하네...
댓글 0개 ▲
2016-08-19 13:03:05추천 7
저도 비공드려요.
옳고 그르고를 떠나서 작성자님 태도가 나쁘네요.
사실관계를 따져도 틀리신 거 같고.
댓글 0개 ▲
2016-08-19 13:03:15추천 5
댓글에 여러분들이 언급한 것 처럼 일본어에서 유래된 것이 맞고
일반적으로 "구라"라는 명사와 더불어 "구라+치다"의 형태로 사용됩니다.
작성자분의 새로운 견해 잘 보았으나
근거가 희박한 주장이고
설령 명확한 근거가 있고, 많은 사람들이 그 유래를 모른다고 해서 무식하다고 단언하는 거 좋아보이지 않습니다.
얼마든 좋게 알려주실 수 있지 않나요
댓글 0개 ▲
2016-08-19 13:10:52추천 0/3
글쓴님 말도 맞는거 아니에요?

일본도 불교문화가 굉장히 강한 나라이니 불교용어가 하나의 단어로 굳어진게 아닐까요

따라서 둘다 맞는 말..아닐라나요
댓글 1개 ▲
2016-08-19 13:16:21추천 5
둘 다 맞는 말이라고 볼 수 있는데 작성자님은 하나만 알고 계시면서 다른 하나를 얘기하는 사람을 무식하다라고 비난하셨으니 문제가 좀 있죠.
2016-08-19 13:26:14추천 6
뻔히 답이 있는데 애쓴다...
댓글 0개 ▲
2016-08-19 13:56:46추천 2
그냥 비슷한 말로 끼워 맞추기~

그렇게 따지면 수미르가 수밀국이었고 우리나라가 옛날에 중동을 지배했다는 증거가 되나요?
댓글 0개 ▲
2016-08-19 14:06:25추천 0
구라 두 가지 의미로 쓰지 않나요?
거짓말 등 속이는 말이나
언변 유창하고 대화를 잘하거나 이야기를 잘 꾸며 말하는 것 등에...
댓글 0개 ▲
2016-08-19 14:06:52추천 3
원래 근원어가 일본어인 것은 맞습니다.
참고로 군대 용어인 가라치다도 暗ます(쿠라마스)
에서 왔다는 설도 "空”(가라: 텅빈)
에서 나왔다는 말도 있습니다.

그리고 김구라같이 유식한 사람이 구라가 일본어잔재라는 사실을 몰랐으리라는 것도 설득력이 떨어지죠
예전에 구라가 일본어 잔재에 비방용 은어 라서 "구라"라는 말을 한자로 예쁜 뜻을 만들었다고 하는 인터뷰도 봤었구요
단지 이제는 일본사람들도 잘 안쓰는 일본어인데다 우리나라 은어로 굳었으니 굳이 언급을 안할뿐....

이 글에서 쓴 주장은... 솔직히 좀 너무 억지입니다.
댓글 0개 ▲
2016-08-19 14:18:43추천 0
아닌것 같아요 93년에 처음 거짓말 치지말란뜻의 은어로

"구다"치지마 라고 들었고 ㅡ 부산 남구ㅡ 95,6년도에
구라치지마 구라까지마라고 쓰더군요
참 그때쯤 존나를 졸라라고 쓰더군요
댓글 0개 ▲
2016-08-19 14:20:21추천 1
설마 김구라가 그런 의미로 썼겠어요? ㅋ
별 쌍욕과 상스러운 말들을 쏟아내던 사람이었는데.

어원을 따지는 건 무의미한 것 같네요.
가끔 보면 하지 않아도 될 것을 분석하거나 평가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솔직히 연쇄살인범이 한 달에 만 원씩 기부한 것에 대한 평가만큼 불피요한 사실에 매달리고 논란을 만들고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러니 정치인들이 큰 잘못을 저지르고 작은 사실에 의해 큰 잘못이 덮히거나 모호해지는 경우가 생기는 것 같고요.
이와 반대로 여러가지 좋은 일을 잘 하다가 작은 실수로 쓰레기가 되는 경우도 있고요.

가끔 보면 참 어이없을 때가 있네요.
댓글 0개 ▲
2016-08-19 14:37:50추천 2
이게 베오베...
댓글 0개 ▲
2016-08-19 14:59:27추천 1
이거 솔직히 조들호 작가가 기업을 일어날 기起 쓴 그 기업으로 자기 마음대로 해석한 것이랑 비슷한 것 같은데요.
애초에 김구라는 본명도 아니고 개그맨으로서 지어낸 이름인데 그걸 본인도 모르는 것 같다고 막 가져다 붙이는 게...
댓글 0개 ▲
2016-08-19 15:29:26추천 3
뭔 해몽이 이리 거창함

김구라본인이  가명지을때 일본어 구라에서 따왔을텐데ㅡㅡ
댓글 0개 ▲
2016-08-19 15:57:27추천 0
구라마스~
댓글 0개 ▲
2016-08-19 23:25:43추천 0
누군가가 잘모른다면...무식하다고 깔보고 욕보이는것이 아니라 친절히 알려주는게 올바른 자세라고 생각되네요...ㅋ
댓글 0개 ▲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