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한국 학생들 왜 자꾸 ‘정답’만 묻나
게시물ID : sisa_75541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한결
추천 : 11
조회수 : 630회
댓글수 : 2개
등록시간 : 2009/10/12 06:45:56
http://www.hani.co.kr/arti/society/schooling/381252.html

한국 학생들 왜 자꾸 ‘정답’만 묻나 
‘21세기 하멜’이 본 한국 

(전략)
특히 한국 대학의 경쟁력이 세계적인 수준에 오르지 못하는 이유로 대학에 왔는데도 열심히 공부하지 않는 학생들을 꼽았다. “한국 학생들은 좋은 점수를 받는 데 엄청난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없는 것 같아요. 과제로 낸 리포트의 수준이 네덜란드 고등학생들의 그것보다도 못하다고 느껴질 때가 있었으니까요. 연구를 하는 사람들도 학위를 준비할 때만 공부할 뿐 학문의 총체적인 지식이나 이론을 정립하고 있는 학생들은 많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그는 우리나라가 중등교육 단계에서 학생들을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에 대한 철학과 방법을 고민해야 대학의 경쟁력도 높아질 수 있을 것 같다고 조언했다. 

더빗은 우리나라에 ‘협상의 문화’가 없다는 것을 네덜란드와 가장 큰 차이로 꼽았다. 네덜란드는 사회 문제를 다양한 이해 집단이 양보하고 협력해 풀어낸다. 경제 위기에 맞서 노조, 정부, 기업이 타협한 ‘폴더모델’(poldermodel)이 그 사례다. 더빗은 대학에서도 이해 당사자인 학생을 배제한 채 일방적으로 이뤄지는 의사 결정 과정을 지적했다. “네덜란드에서는 학교의 변화에 학생의 발언권이 상당히 중요해요. 그런데 한국의 대학은 등록금을 올리는 중요한 사안에도 참여할 수가 없더라고요.”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