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북한 핵개발과 저지 시도에 대한 간략한 연표
게시물ID : sisa_76088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늑대와호랑이
추천 : 1
조회수 : 286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6/09/13 13:21:07
1962년 - 영변 원자력 연구소 설립. 
1985년 - 북한, NPT(핵확산금지조약) 가입
1989년 - 미국 정찰위성이 영변 플루토늄 재처리 시설 첫 포착
1991년 - 남한 내 배치된 마지막 핵무기 철수
1993년 - 북한, NPT 탈퇴 시사. 
         - 이 시기 핵실험 준비 완료(황장엽 증언)
1994년 - 클린턴 행정부, 영변 폭격 가능성 시사
  - 7월, 김일성 사망
         - 10월, 북-미, 제네바 합의 타결, NPT 잔류, 경수로 제공, 중유 제공, 북한에 대한 핵무기 사용 금지 등 합의
1997년 - IAEA의 감시 하 북한 폐연료봉을 강철컨테이너에 밀봉
1998년 - 이 시기까지도 경수로 건설이 시작되지 않음. 북한, 경수로 건설 지연 시 핵개발 재개할 것이라고 경고.
2000년 - 제 1차 남북정상회담
2002년 - 부시 대통령, '악의 축' 발언
         - 8월, 경수로 건설 개시 
         - 미, 북한의 우라늄 농축 프로그램 의심 제기 
         - 경수로 건설 중단
         - 북, 전력생산을 위해 원자력 시설 재가동 시사, 영변에 설치된 감시기구 해제
2003년 - 1월, 북한 NPT 탈퇴
         - 첫 6자회담 개시
2005년 - 6자회담의 성과로 9.19 공동성명 발표, NPT 재가입 및 핵개발 포기, 대북송전 및 경수로 무상제공 등 명시
         - 9.19성명 하루 뒤인 9월 20일, 미국 애국법에 의거 방코델타아시아의 북한 계좌 동결. 북한은 先경수로 제공 요구.
2006년 - 1차 핵실험
         - 경수로 공사 완전 포기 선언
2007년 - 2.13 합의 체결, 중유 50,000톤 제공 합의
         - 한국, 북측에 2차례에 걸쳐 13,200톤의 중유 제공
         - 7월, 영변 핵시설 가동 중지 공식 발표
         - 2차 남북정상회담
2008년 - 7월, 성 김 6자회담 수석대표 등 외국 대표단 참관 하 영변 원자력 연구소의 냉각탑 폭파 해체
         - 북한의 테러지원국 지정해제 지연, 북한은 핵시설 원상복구 시사
         - 10월, 북한 테러지원국 지정해제
         - 6자회담 의정서 채택 실패
2009년 - 이명박 정부, 북한의 핵연료봉 구입 협상하나 실패 
         - 이명박 정부, PSI(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 훈련 전면 참가
         - 2차 핵실험
2012년 - 김정일 사망    
2013년 - 3차 핵실험
         - 이시기 휴전선언 백지화 등 전례없는 전쟁위협
2016년 - 4차 핵실험, 첫 수소폭탄 실험 주장
         - 5차 핵실험
---------------------------------
1994~2007년의 기간동안 북한과 미국이 상호 불신으로 온갖 합의가 도루묵이 되었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008년 이후로 내용이 부실한 것은 실제로 이 시기 이후부터는 북한만 열심히 핵개발을 했을 뿐 이를 저지하기 위한 별다른 시도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출처 각종 뉴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