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당뇨를 앓고 계신분 및 식사조절로 체중감량하고싶은분 클릭하세여
게시물ID : diet_7658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엡베베베베
추천 : 6
조회수 : 2055회
댓글수 : 26개
등록시간 : 2015/08/02 07:31:39

(영상 1은 당뇨병 환자의 치료에 관한 일본어 내용입니다, 영상 2는 영어로 된거구요

한국어로는 이와 비슷한 내용을 찾지 못해서 일본어와 영어 영상을 가져왔습니다. 한국어가 아닌점은 양해바랍니다)

오유에 당뇨를 앓고 있으신 분들의 글을 보고 뭔가 오해가 많다는 생각이 들어서 적게 되었습니다

영상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일본이나 미국의 경우도 기본적으로 당뇨병 환자를 치료하는 방식은 기본적으로 '칼로리 제한식' 입니다. 

한국도 이와 같은 방식을 사용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영상 2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미국에서도 당뇨병을 치료할때 한 끼 40g 수준의 탄수화물 섭취를

권장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당뇨병의 매커니즘을 보면 그러합니다

당뇨병은 기본적으로 인슐린에 관련되어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많은 탄수화물을 섭취하면 혈당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그럼 인슐린이 분비되어 혈당을

낮추려고 듭니다. GI가 높은 음식을 먹으면 혈당이 가파르게 오르고 (Blood Sugar Spike) 인슐린이 대량으로 분비되어 저혈당이 오게되면 

다시 탄수화물을 몸에서 요구하게 되고, 다시 고혈당이 오고 무한 반복입니다. 그러다가 보면 인슐린 저항성(Insulin Resistance)이 생겨 

전 당뇨단계(Pre-diabetes)를 거쳐 2형 당뇨가 생기게 됩니다. 그러면 탄수화물을 아예 끊으면 되지 않을까? 그러면 매우 위험하다고들 합니다

하지만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간경변, 신기능장애, 1형당뇨 환자, 췌장염환자 등은 섣불리 적용하지마세요)

영상 1(11분 50초부터)을 보면 왜 그런지 이야기가 나옵니다. 우리의 몸은 탄수화물의 공급이 없고, 그러한 이유로 글리코겐이 부족하게되면 지방을 

사용하게 됩니다. 지방이 케톤체로 변환되게 되어, 이것이 새로운 에너지원이 됩니다. 그러해서 탄수화물을 섭취하지 않아도 살 수 있게 됩니다

보통 사람들이 이러한 이야기를 하면 케톤산혈증(ketoacidosis)를 초래할 수 있다고 하지만 그것은 인슐린의 분비가 정상이 된 상태

(2형당뇨의 인슐린분비 및 혈당컨트롤이 되는 상태)가 되면 별로 걱정을 할만한 문제가 아닙니다

(설명하자면 매우 길기에 줄입니다. 특히 1형당뇨의 경우 인슐린 생산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가 있으므로 1형당뇨는 예외이기에 위에 적용하지 말라고 적었습니다.)

그럼 탄수화물의 섭취를 끊고, 혈당치를 조절하여 정상의 몸이 되는 구체적인 방식은 무엇이냐? 




위와 같은 방식입니다. 영상 3에 등장하는 江部康二 의사는 본인이 2형 당뇨입니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을 본인도 직접 적용하고 있습니다.

영상 4에 등장하는 渡辺信幸 의사는 본인이 오키나와에서 3천명가량의 당뇨병환자를 치료한 경험이 있는 의사입니다.

기본적인 내용은 탄수화물 및 녹말을 아예 끊자는 것입니다.

그래도 배가 고프지 않느냐? 라는 것에 관해선 Carb Craving 이나 렙틴이라는 호르몬의 생성 매커니즘을 찾아보시면 될거같습니다

저도 지금 하고 있는데,, 배가 고프질 않네요

또한 기본적으로 당뇨병 치료식을 일반인에게 적용하면 체중을 줄일 수 있습니다

물론 당뇨와 살이찌는 매커니즘, 자신이 뭘 먹고있는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겠죠?

자료는 무궁무진하니 원하시는 자료를 말씀하시면 찾아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질문은 남겨주시면 볼때마다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나중에 시간날때, 탄수화물을 먹으면 왜 살이 찌고, 고기랑 지방을 먹으면 살이 안찌는지에 대해서

서술하겠습니다, 사실 이미 적은것에 내용이 다 들어있고 영상에도 있지만요



요약

1. 당뇨는 탄수화물의 섭취로 인해서 생기는 병(일부제외)

2. 그래서 칼로리제한식이 아닌 당질제한식, 탄수화물 제한식을 해야함

3. 그럼 됨 
출처 출처 :

영상 1 : TBS (일본 방송국)

영상 2 : TED

영상 3 : https://youtu.be/KpTMKvRCkUI

영상 4 : https://youtu.be/mHQR3OyDmkg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