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48/2(9+3) 이게 왜 학회에서도 답이 없는거지?
게시물ID : humordata_76611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우웩
추천 : 1
조회수 : 596회
댓글수 : 4개
등록시간 : 2011/04/10 10:22:06
내용을 전체적으로 읽어보니 2와 (9+3) 사이에 곱하기가 있는것인데 단순히 생략된 것 뿐이다라고 해서
답이 288이라는 분도 계시고 2와 (9+3) 사이에 곱하기가 생략되어 있는것은 2*A를 2A라고 보는것처럼 이미 우선순위를 넣어주기 위해서 앞뒤로 괄호를 친 것과 같은 효과로 2(9+3)을 24로 보겠다 라고 해서 답이 2가 나오는 것이라고 생각하신는 분도 계신데,

제가 궁금한것은 숫자와 숫자 사이에 곱하기가 생략이 가능한 것인지, 가능하다면 그것이 2(9+3)을 
{2(9+3)}으로 보겠다는 의미인지 아니면 단순히 수식을 단순히 나타내기 위해서 그야말로 '생략'의 의미만을 갖는 것인지가 확실하지 않은것 같네요. 
숫자와 숫자 사이에 곱하기 기호의 생략은 숫자와 문자 사이에 곱하기를 생략하는것과 같은 논리다 라고 한다면 답이 2가 될 것이고 
숫자와 숫자 사이에 곱하기 기호는 생략이 불가능하다면 수식이 잘못되었으므로 답이 없을 것이고
숫자와 숫자 사이에 곱하기 기호가 생략된 것은 단순히 복잡한 수식을 단순화 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곱하기를 다시 넣은 것과 같다 라고 한다면 답이 288이 될 것이고...

이게 왜 학회에서도 결론을 내리지 못한건지 이해가 되지 않네요. 자주 있을만한 논쟁거리인데 이렇게 하자 하고 규칙을 정하지 않은것이 의문이에요.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