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살아서 사죄 않은 나치전범, 죽어선 영면하지 못해 고생
게시물ID : humorbest_76613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機巧少女
추천 : 51
조회수 : 2155회
댓글수 : 10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3/10/16 22:57:59
원본글 작성시간 : 2013/10/16 21:58:17
출처 : http://media.daum.net/foreign/europe/newsview?newsid=20131016210008874

85살에 잡혀 가택금지 종신형
바티칸, 가톨릭식 장례식 금지
아르헨티나서도 주검 입국 막아


이탈리아에서 종신형을 살던 나치 전범이 끝내 사죄하지 않고 세상을 떠나자 장례식과 주검 매장을 거부하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바티칸 교회는 가톨릭 신자인 전범의 장례식 거행을 이례적으로 금지했고, 그가 50년 가까이 도피 생활을 했으며 묻힐 장소로 희망한 아르헨티나뿐만 아니라 독일·이탈리아 도시들도 앞다퉈 주검 매장을 거부했다.

16일 <비비시>(BBC)는 나치 친위대 장교로서 1944년 14~75살의 이탈리아인 335명을 처형한 '아르데아티네 동굴 학살'에 가담한 에리히 프리브케가 11일 100살로 숨진 뒤 장례식과 주검 매장을 두고 사회적 논란이 일고 있다고 전했다. 15일 극우·반유대주의 성향의 가톨릭 분파와 나치 추종자들이 로마 교외 지역에서 프리브케의 장례식을 시도했으나, 반나치 시위대 500여명이 반발해 예식이 중단됐다.

독일 태생인 프리브케는 이탈리아 로마에서 나치 장교로 복무 중 레지스탕스의 공격으로 나치 병사 33명이 숨지자 나치 한 명을 살해한 데 대해 10배로 보복하라는 상부 명령에 따라 이탈리아 공산당원 등 330명의 처형 명단을 작성했고, 이들을 총살했다. 그는 적어도 2명을 직접 쏴 죽였으며, 처형 명단 작성에서 실수를 저질러 335명을 끌고간 탓에 5명의 억울한 희생자를 추가했다. 그는 나치 패망 이후 아르헨티나로 도피한 뒤 50년 가까이 지역 유지로 행세하며 평온한 삶을 살았다.

하지만 미국 <에이비시>(ABC) 뉴스보도팀이 1994년 그의 행적을 추적해 성사시킨 인터뷰에서 프리브케가 전혀 반성하고 있지 않다는 사실이 드러나 공분을 자아냈다. 결국 프리브케는 우여곡절 끝에 이탈리아로 송환돼 종신형을 받았다. 그는 희생자들을 "이탈리아 테러리스트"라고 비난하고, "상부 명령을 따랐을 뿐"이란 뻔뻔한 태도를 고수했다. 그는 선고 당시 85살이란 고령을 이유로 가택연금으로 상대적으로 편안한 수감 생활을 했으며, 단순 노쇠로 숨졌다. 하지만 유럽 시민사회는 단 한 마디도 사과하지 않은 전범의 죽음에 싸늘한 분노로 대응하고 있어 안식을 취할 장지를 찾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